"주식 1주 팔아도 운동화 하나 못 산다" [이민재의 쩐널리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옛 명성은 간데없고…연초 이후 30% 하락 <해외주식편>
!["주식 1주 팔아도 운동화 하나 못 산다" [이민재의 쩐널리즘]](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B20240705151701703.jpg)
'과도기', 그리스 신화 속 '승리의 여신 니케(Nike)'에서 따온 나이키에 대한 증권가의 대체적인 시각입니다. 나이키 온라인 매출이 감소한 게 이유이고, 라이프 스타일 제품과 클래식 신발 라인업 수요가 줄어든 게 원인입니다. 지난 3일(현지시간) 뉴욕 거래소에서 나이키는 전 거래일과 비교해 1.05% 떨어진 75.24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ADVERTISEMENT
● "나이키 아니어도"…판 키우려다 빈틈
나이키는 지난 2020년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소위 '고마진' 부문을 키울 계획을 세웁니다. 스포츠 스타를 앞세워 농구, 축구 등 스포츠 별로 나누어져 있었던 부서를 남성, 여성, 아동 등 조직으로 개편하고 라이프 스타일 사업을 강화했습니다. 운동복이 일상복이 되고, 운동화가 구두 대용으로 쓰이고 있다는 점에서 라이프 스타일 영역으로 진출은 대세였습니다.
ADVERTISEMENT
한 러닝 크루 운영자는 "러닝, 테니스, 클라이밍 등 다양한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며 "비슷한 (나이키) 운동화 보다는 기능성과 차별화을 모두 챙길 수 있는 제품이 인기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스포츠웨어 분야에서는 미국 브랜드 룰루레몬(Lululemon), 스위스 브랜드 온(On)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안다르, 젝시믹스가 약진 중입니다. 결국, 이들에게 시장 점유율을 빼앗긴 나이키 실적은 내리막길을 걷게 됩니다.
!["주식 1주 팔아도 운동화 하나 못 산다" [이민재의 쩐널리즘]](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B20240705151809187.jpg)
ADVERTISEMENT
이에 나이키는 실수를 인정하고 경쟁력을 되찾기 위한 전략 개편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예컨데 지난 달 28일(현지시간) 나이키는 '100달러 이하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서 에어 조던1(Air Jordon1) 가격을 인상하던 모습과 상반됩니다. 또 나이키는 이 달 열리는 파리 올림픽을 마중물 삼아 반등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난 2016년 온라인 채널이 성장하던 시절, 오프라인 매장 중심이었던 나이키 매출이 2년 가량 줄어든 적이 있습니다. 이때 주가는 20% 가량 하락했습니다. 이후 나이키는 직접판매채널(DTC) 전략을 세워 마진율을 개선하고, 소비자 데이터를 확보해 경쟁에서 우위에 섰습니다. 이 때 처럼 나이키의 전략이 또 다시 먹혀들 수 있을지 시장은 주목하고 있습니다.
!["주식 1주 팔아도 운동화 하나 못 산다" [이민재의 쩐널리즘]](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B20240705151851643.jpg)
ADVERTISEMENT
하나증권은 "가이던스 하향 조정으로 현재 경영진 신뢰도가 다소 약해진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실적을 통해서 전략 조정에 따른 긍정적인 변화, 하반기 실적 개선 예상대로 달성, 급부상하는 브랜드 속에서 시장 점유율 방어 등이 확인되기까지는 주가 상승 탄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NH투자증권은 "잠시 사이드라인에서 지켜볼 시기"라며 "혁신 프로덕트 파이프라인 효과는 빨라야 내년쯤 가시화될 전망"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한화투자증권은 "(나이키) 반발 매수세가 나타날 수 있다"면서도 "어려운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전략을 내놓은 후 접근해도 늦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나이키에 대해 투자의견을 제시한 증권사는 44곳입니다. 매수 비율은 47.7%, 평균 목표 주가는 94.14달러입니다.
!["주식 1주 팔아도 운동화 하나 못 산다" [이민재의 쩐널리즘]](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B20221223171032787.jpg)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