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재정적자 끔찍한데…'독이 든 성배' 건네받는 새 정부 [이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영국 프랑스 등 줄줄이 문제 직면해
재정모범국 독일도 2010년대 들어 '적자국'
재정모범국 독일도 2010년대 들어 '적자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현지시간) "새로운 의회를 선출하는 영국 해협 양안의 유럽 국가들은 공공부채가 수십 년 만에 최고치에 근접했다"며 이 같이 보도했다. 프랑스와 영국 등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지출과 예산 적자 비율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이날 치러진 프랑스 의회 2차 투표의 출구조사에서 1위로 '깜짝 부상'한 좌파 연합 신민중전선(NFP)은 앞서 물가 동결과 최저임금 대폭 인상, 각종 보조금과 급여 인상, 세수 감소 등을 제안했다. 강경우파 성향의 국민연합(RN) 역시 전면적 감세,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국민연금 수급 연령 인상안 철회 등을 내걸었다.
RN은 이날 출구조사에서 NFP와 범야권 등의 뒤를 이어 3위로 밀려났지만, 어떤 정당이 다수당이 되든 재정 지출을 줄이는 것에 대해 '쓴소리'를 한 정당은 없었다는 의미다. 프랑스의 공공 부문의 적자 비율은 GDP의 5%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다양한 정당들이 정부 구성에 합의하지 못해 의회가 공전하면 국가 부채를 억제하려는 노력이 지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5월 프랑스 국채 신용등급을 AA-로 강등시켰다.
2007년 43%에 불과했던 영국의 GDP 대비 공공 부채 규모는 2019년 86%에 이어 올해 104%를 넘길 전망이다. 프랑스의 국가 부채 비율도 2007년 65%에서 2019년 97%, 올해 112%로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에 따르면 주요 선진국의 GDP 대비 공공 부문 적자 비율은 팬데믹 이전 수준보다 3% 포인트 높아졌다.
닐 시어링 수석 경제학자는 "더 이상 팬데믹과 관련 없는 지출도 급격히 늘어나면서 이제 대규모 재정 확대의 여지가 많지 않다"고 했다. 유럽에서 재정 건전성 모범 국가로 통했던 독일도 2010년대 들어 흑자에서 대규모 재정 적자로 전환됐다.
영국 재정에 대한 독립적 분석을 제공하는 예산 책임 사무소의 데이비드 마일스는 "정부의 지출이 크고 경제 성장이 저조할 경우 채권 투자자들은 정부의 재정 상황을 불안하게 보고 국채의 안전성에 의문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2022년 말 영국에서 리즈 트러스 당시 총리가 대규모 세금 감면과 차입을 발표해 채권 수익률 급등으로 이어진 사례가 대표적이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