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금융권 망분리 규제 개선해 AI 신기술 활용 확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위 부위원장 "인구·기후·기술 메가트렌드에 선제 대응"
금융연구원 주최 '미래금융세미나'서 기조연설
금융연구원 주최 '미래금융세미나'서 기조연설

김 부위원장은 이날 금융연구원이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주최한 '미래금융세미나'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이번 세미나의 주제는 '미래의 거대 트렌드가 가져올 금융의 변화'다.
김 부위원장은 인구구조와 관련해서는 "부양비 상승과 성장 둔화 가능성으로 금융시장 및 산업 침체가 나타날 수 있으며 요양·의료·연금 등 늘어나는 금융 서비스 수요에 대한 산업 대응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금융사에는 노후 대비 자산 관리 서비스와 고령층 대상 서비스를 확대하고 해외 진출 경로를 다각화하는 등 산업 영역을 확장해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금융위는 인구·기후·기술의 변화에 대비해 미래대응금융 태스크포스(TF)를 조직하고 부문별 정책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 부위원장은 "그간 금융당국은 급변하는 금융 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해야 하는 여건으로 인해 주로 긴급한 이슈에 집중했지만, 금융 정책이 구조적·거시적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중장기적인 시각과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