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 덕분에 외국인 북적북적…日 도쿄 겐다이 '씁쓸한' 흥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트페어 흥행 성적 기대 이상
두번째 행사 요코하마서 개최
관람객 늘고 작품 판매도 활발
엔화 가치 떨어져 '외국인 잔치'
두번째 행사 요코하마서 개최
관람객 늘고 작품 판매도 활발
엔화 가치 떨어져 '외국인 잔치'

지난 4~7일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국제 아트페어 ‘도쿄 겐다이’가 기대 이상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올해로 두 해째를 맞는 도쿄 겐다이는 서울의 KIAF(한국국제아트페어)-프리즈 서울(프리즈), 아트바젤 홍콩과 싱가포르 아트SG 등에 맞서기 위해 야심차게 만들어진 아트페어다.
8일 도쿄 겐다이 참여 화랑 관계자들에 따르면 행사는 기대 이상의 판매 실적을 거뒀다. 아트페어에 참석한 화랑 중 가장 이름값이 높은 페이스갤러리는 9만달러에서 75만달러에 달하는 로버트 롱고의 8개 작품을 첫날 모두 팔아치웠다.
미국 로스앤젤레스(LA)를 거점으로 하는 블룸갤러리는 하종현의 작품(25만달러)과 나라 요시토모의 종이 작품(18만달러) 등을 판매하는 데 성공했다. 공식 통계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체감 관람객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도쿄 겐다이에 참석한 국내의 한 컬렉터는 “지난해보다 관람객 수가 50% 늘어난 것 같다”고 했다.
행사를 견학하고 온 한국화랑협회 관계자는 “지난해에 비해 갤러리들의 부스 전시와 전반적인 행사의 퀄리티가 높아졌는데, 지난해 저조한 실적을 만회하기 위해 준비를 많이 한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체감하는 열기에 비해 수억원대 고가 작품의 판매는 저조했다. 판매된 작품 대부분은 수백만~수천만원대였다. 미술계 관계자는 “지난해 전체 참여 갤러리 중 절반가량이 물갈이됐는데 빠진 화랑 중 상당수가 대형 화랑”이라며 “지난해 ‘일본에서는 비싼 작품이 잘 안 팔린다’는 사실을 깨달은 대형 갤러리들이 철수한 자리에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갤러리들이 들어간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9월 서울에서 열리는 KIAF-프리즈도 도쿄 겐다이의 실적에 악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도쿄 겐다이에 참석했다가 올해는 불참한 국내 한 화랑 대표는 “프리즈 서울에서 쓸 돈을 아껴놓겠다는 컬렉터가 많아 올해 행사에는 부스를 내지 않았다”고 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