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명 구청장 "미래 100년 도시설계…강남형 콤팩트시티 조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친환경 건축 바탕 역세권 고밀복합개발…기부채납 공공시설 가이드라인 필요
규제 과감히 풀어 민간 창의성 활용…사고 싶은 곳 아닌 '살고 싶은 곳'으로 조성명 강남구청장은 "건물이 아닌 구역 개념으로 주거환경을 재정비해 강남을 '사고 싶은 곳'이 아닌 '살고 싶은 곳'으로 바꾸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사업 시행자가 토지 용도를 자유롭게 제안하는 '화이트 존' 제도를 통해 민간의 창의적 계획을 지원하고, 공공성 강화를 위해 정비사업 기부채납 공공시설 가이드라인을 만들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민선 8기 취임 2주년을 맞아 지난 10일 연합뉴스와 만난 조 구청장은 "강남 전역에 재건축 연한을 맞은 건물이 늘고 있다.
재건축을 발판으로 강남이 미래 100년을 바라보는 도시설계에 나서야 할 때"라며 이같이 말했다.
기업가 출신인 그는 강남구의회 의장,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자문위원을 지냈다.
고향은 충남 당진이지만, 강남 개발이 한창이던 1970년대부터 강남구에 터를 잡고 살아온 사실상 '강남 토박이'이기도 하다.
그런 만큼 강남 개발의 역사와 재건축 현안을 꿰뚫고 있다고 그는 자신했다.
조 구청장은 강남의 미래 청사진으로 친환경 건축을 바탕으로 한 '강남형 콤팩트시티'를 제시했다.
그는 "역세권을 중심으로 생활 거점이 형성된 강남형 콤팩트시티를 만들겠다"며 "공공기여로 받은 토지 등을 통해 공공시설이나 공원을 만들면 생활 환경을 더 쾌적하게 할 수 있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쉬운 여건을 조성하면 교통 체증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남이라는 공간의 수평적 확장에 한계가 있는 만큼, 역세권을 중심으로 복합고밀개발을 통해 새로운 강남의 모습을 그려보겠다는 구상이다.
이 같은 구상을 현실로 옮기기 위해서는 정비사업 기부채납 공공시설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구청장은 "관내 공공시설 현황을 분석하고 생활권별로 필요한 시설을 예측해 이후 주택정비사업 진행 과정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를테면 기부채납한 부지에 노인복지시설 등을 짓는다고 지역 주민의 반대에 부딪히는 경우도 생기는데, 단지 재건축 아파트 입주민만이 아니라 주민 모두가 누릴 수 있는 시설, 강남구에 꼭 필요한 시설을 넣어 균형발전 효과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조 구청장은 "아울러 공공시설의 사유화를 막기 위한 세부 기준도 마련해 누구나 내 집 주변에서 일상의 편의를 누리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토지의 용도 제한을 없애고 용적률과 건폐율도 지방자치단체가 자유롭게 정하는 '한국형 화이트존'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간과 행정 영역을 모두 경험한 조 구청장은 "사업은 어디까지나 민간이 하는 것이지 관(官)이 하는 게 아니다.
이제는 정말 모든 규제를 풀고, 아이디어가 좋다면 인센티브를 줘 활성화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정부가 화이트존 정책을 내놓았지만, 아직 기초지자체까지는 권한이 내려오지 않고 있다"며 "기초지자체도 지역 특성에 맞게 개발할 수 있게끔 권한을 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청사 건립도 숙원사업으로 꼽았다.
구는 시와 협의해 세텍(SETEC) 부지에 전망대와 공원을 갖춘 신청사를 건립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지금의 구청은 1975년 조달청 창고 건물을 리모델링한 것으로, 공공 청사로 적합하지 않은 데다 너무 낡아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조 구청장은 "하루빨리 강남의 행정역량을 집약시키고 구민이 더 편리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신청사를 조성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 구청장은 또 각종 스마트 기술을 안전관리에 접목해 성과를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취임하자마자 폭우 피해를 수습하느라 바빴고, 다양한 사건·사고를 겪으며 구민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바쁘게 뛰어다녔다"면서 "그 결과 지난해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스마트 시티 엑스포에서 안전·회복 분야 최우수 도시로 선정되기도 했다"고 소개했다.
실제 구는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폭우로 인한 침수 피해 예방과 인파 밀집지역 안전관리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수서동에는 '로봇플러스 테스트필드'를 여는 등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로봇을 개발해도 실증 공간이 부족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곤 하는데 자치구 차원에서 신규 개발된 로봇의 품질을 검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또 "지난해 배달 로봇 실증사업을 했는데 올해는 공공행정에 접목할 수 있는 로봇 기술을 가진 5개 사를 발굴해 기술 실증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임신·출산 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조 구청장은 "임신, 출산, 양육 과정에서 생기는 시간적·경제적 부담을 적극적으로 분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강남에서 첫 아이를 낳은 가정은 첫 달에 최대 740만원까지 지원받는다"고 소개했다
조 구청장은 "개포주공1단지 등 아파트 입주로 아동 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국공립 어린이집 5곳을 신설하고, 수서역세권에 다함께키움센터를 새로 열 것"이라며 "하반기에는 역삼동에 영유아 시설을 종합한 '강남어린이회관'을 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는 돌봄 인프라 강화에 집중할 생각"이라고 했다.
자녀 넷을 기른 '다둥이 아빠'이기도 한 그는 "당시에는 산아제한 정책을 펼 때라 아이를 많이 낳고도 좋은 소리를 못 들었다.
지금은 떳떳하게 말할 수 있다"고 웃었다.
지난해 강남구 출생아 수는 2천350명으로 전년보다 13.5% 늘었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유일하게 증가했다.
그는 끝으로 "강남은 이제 대한민국의 다른 도시들을 리드하는, 리더 역할을 해야 한다"면서 "주민들이 원하는 것을 잘 일궈내, 강남이 세계적인 선도도시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규제 과감히 풀어 민간 창의성 활용…사고 싶은 곳 아닌 '살고 싶은 곳'으로 조성명 강남구청장은 "건물이 아닌 구역 개념으로 주거환경을 재정비해 강남을 '사고 싶은 곳'이 아닌 '살고 싶은 곳'으로 바꾸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사업 시행자가 토지 용도를 자유롭게 제안하는 '화이트 존' 제도를 통해 민간의 창의적 계획을 지원하고, 공공성 강화를 위해 정비사업 기부채납 공공시설 가이드라인을 만들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민선 8기 취임 2주년을 맞아 지난 10일 연합뉴스와 만난 조 구청장은 "강남 전역에 재건축 연한을 맞은 건물이 늘고 있다.
재건축을 발판으로 강남이 미래 100년을 바라보는 도시설계에 나서야 할 때"라며 이같이 말했다.
기업가 출신인 그는 강남구의회 의장,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자문위원을 지냈다.
고향은 충남 당진이지만, 강남 개발이 한창이던 1970년대부터 강남구에 터를 잡고 살아온 사실상 '강남 토박이'이기도 하다.
그런 만큼 강남 개발의 역사와 재건축 현안을 꿰뚫고 있다고 그는 자신했다.
조 구청장은 강남의 미래 청사진으로 친환경 건축을 바탕으로 한 '강남형 콤팩트시티'를 제시했다.
그는 "역세권을 중심으로 생활 거점이 형성된 강남형 콤팩트시티를 만들겠다"며 "공공기여로 받은 토지 등을 통해 공공시설이나 공원을 만들면 생활 환경을 더 쾌적하게 할 수 있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쉬운 여건을 조성하면 교통 체증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남이라는 공간의 수평적 확장에 한계가 있는 만큼, 역세권을 중심으로 복합고밀개발을 통해 새로운 강남의 모습을 그려보겠다는 구상이다.
이 같은 구상을 현실로 옮기기 위해서는 정비사업 기부채납 공공시설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구청장은 "관내 공공시설 현황을 분석하고 생활권별로 필요한 시설을 예측해 이후 주택정비사업 진행 과정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를테면 기부채납한 부지에 노인복지시설 등을 짓는다고 지역 주민의 반대에 부딪히는 경우도 생기는데, 단지 재건축 아파트 입주민만이 아니라 주민 모두가 누릴 수 있는 시설, 강남구에 꼭 필요한 시설을 넣어 균형발전 효과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조 구청장은 "아울러 공공시설의 사유화를 막기 위한 세부 기준도 마련해 누구나 내 집 주변에서 일상의 편의를 누리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토지의 용도 제한을 없애고 용적률과 건폐율도 지방자치단체가 자유롭게 정하는 '한국형 화이트존'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간과 행정 영역을 모두 경험한 조 구청장은 "사업은 어디까지나 민간이 하는 것이지 관(官)이 하는 게 아니다.
이제는 정말 모든 규제를 풀고, 아이디어가 좋다면 인센티브를 줘 활성화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정부가 화이트존 정책을 내놓았지만, 아직 기초지자체까지는 권한이 내려오지 않고 있다"며 "기초지자체도 지역 특성에 맞게 개발할 수 있게끔 권한을 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청사 건립도 숙원사업으로 꼽았다.
구는 시와 협의해 세텍(SETEC) 부지에 전망대와 공원을 갖춘 신청사를 건립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지금의 구청은 1975년 조달청 창고 건물을 리모델링한 것으로, 공공 청사로 적합하지 않은 데다 너무 낡아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조 구청장은 "하루빨리 강남의 행정역량을 집약시키고 구민이 더 편리한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신청사를 조성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 구청장은 또 각종 스마트 기술을 안전관리에 접목해 성과를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취임하자마자 폭우 피해를 수습하느라 바빴고, 다양한 사건·사고를 겪으며 구민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바쁘게 뛰어다녔다"면서 "그 결과 지난해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스마트 시티 엑스포에서 안전·회복 분야 최우수 도시로 선정되기도 했다"고 소개했다.
실제 구는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폭우로 인한 침수 피해 예방과 인파 밀집지역 안전관리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수서동에는 '로봇플러스 테스트필드'를 여는 등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로봇을 개발해도 실증 공간이 부족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곤 하는데 자치구 차원에서 신규 개발된 로봇의 품질을 검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또 "지난해 배달 로봇 실증사업을 했는데 올해는 공공행정에 접목할 수 있는 로봇 기술을 가진 5개 사를 발굴해 기술 실증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임신·출산 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조 구청장은 "임신, 출산, 양육 과정에서 생기는 시간적·경제적 부담을 적극적으로 분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강남에서 첫 아이를 낳은 가정은 첫 달에 최대 740만원까지 지원받는다"고 소개했다
조 구청장은 "개포주공1단지 등 아파트 입주로 아동 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국공립 어린이집 5곳을 신설하고, 수서역세권에 다함께키움센터를 새로 열 것"이라며 "하반기에는 역삼동에 영유아 시설을 종합한 '강남어린이회관'을 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는 돌봄 인프라 강화에 집중할 생각"이라고 했다.
자녀 넷을 기른 '다둥이 아빠'이기도 한 그는 "당시에는 산아제한 정책을 펼 때라 아이를 많이 낳고도 좋은 소리를 못 들었다.
지금은 떳떳하게 말할 수 있다"고 웃었다.
지난해 강남구 출생아 수는 2천350명으로 전년보다 13.5% 늘었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유일하게 증가했다.
그는 끝으로 "강남은 이제 대한민국의 다른 도시들을 리드하는, 리더 역할을 해야 한다"면서 "주민들이 원하는 것을 잘 일궈내, 강남이 세계적인 선도도시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