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유튜브 알고리즘과 생각근육
요즘 한국 사회는 이념과 진영에 따라 심하게 양분된 모습이다. 심지어 가장 끈끈한 관계라는 고교 동기생 간 채팅방에서도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험한 말이 오가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이런 갈등의 밑바닥에는 유튜브의 정교한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이 자리 잡고 있다.

알고리즘의 영향력은 매우 강력하다. 사용자는 자신이 보고 싶은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소비하게 되고, 이는 더 편향된 사고를 낳는다. 사용자가 특정 정치 이념에 기운 영상을 한 번이라도 클릭하면 이후부터 비슷한 성향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추천한다. 이런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 누구나 그 정보가 팩트라고 확신한다. 이는 동굴 속 같은 편 메아리, 즉 확증 편향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이는 한국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다. 일부 악덕 유튜버는 조회 수와 구독자 수를 늘리기 위해 자극적인 제목과 섬네일(미리보기 이미지)을 사용한다. 심지어 인플루언서의 약점을 소재로 협박·공갈 범죄를 저지른다. 이는 일종의 호객 행위로 시청자의 관심을 끌어 돈을 벌기 위한 얄팍한 상술이다.

이럴 때일수록 각자가 책을 읽고, 사고를 정리해보는 ‘생각근육’을 튼튼히 키워야 한다. 생각근육이란 정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종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유튜브나 인터넷·AI의 정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 정보를 스스로 해석하고 판단하는 능력이다. 개인의 주체적인 의식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제부터라도 알고리즘을 활용한 상술에 자신의 정신을 맡기지 말자. 외부에서 유입되는 정보에 매몰되지 말고 생각근육을 체계적으로 키워 주체적 사고를 해 나가는 실험을 해보자. 때로는 AI에 물어보고 팩트체크라도 해보자.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단순한 비판이 아니라 스스로 사고력을 키우고,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비판적 사고는 정보를 접할 때 필요한 필수적인 능력이다. 알고리즘이 제공하는 정보는 대부분 사용자의 기존 성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돼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의도적으로 다양한 관점의 정보를 접하고, 그 정보를 비교 분석하며, 자신만의 견해를 형성해야 한다. 또한 우리는 디지털미디어의 역기능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유튜브 등 온라인 서비스의 사용을 자제하는 것을 넘어서 디지털 리터러시(정보 선택 능력)를 향상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알고리즘의 영향력 아래서 사고력을 키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생각근육을 키우면 비판적 사고를 통해 우리 사회를 더 낫게 만들 수 있다. 이제부터라도 일부 알고리즘을 악용하는 이들의 상술에 빠지지 말고 주체적인 사고를 통해 더 나은 삶을 살아가기를 소망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