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해양수산자원硏…새조개 1만 마리 방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도내 어업인 소득증대 기대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가 화성시 도리도 갯벌에 어린 새조개 1만 마리를 방류한다고 16일 밝혔다. 연구소가 새조개를 시험 방류하는 것은 도내 처음이다.
연구소는 지난해 화성시 도리도 갯벌에서 새조개를 처음 발견한 후 서식지를 조사했고 올해 새조개 자원량을 늘리기 위해 인공 종자 생산 시험연구를 시작했다.
새조개는 새 부리 모양과 비슷하게 생겨 붙은 이름이다. 크기가 커서 두툼하고 쫀득한 식감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충남 홍성 등 충청 이남 갯벌에서만 잡히던 종이다.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경기도 갯벌까지 올라온 것으로 연구소는 보고 있다.
이번에 방류하는 어린 새조개 1만 마리는 연구소가 지난 4월 인공부화한 후 약 3개월간 사육한 것으로, 방류 전 수산생물 전염병 검사를 마친 1~2㎝ 크기 건강한 개체다.
김성곤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장은 “환경 변화에 대응해 신규로 출현하는 유용한 수산 자원을 지속해서 발굴해 경기도 어업인의 소득 증대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연구소는 지난해 화성시 도리도 갯벌에서 새조개를 처음 발견한 후 서식지를 조사했고 올해 새조개 자원량을 늘리기 위해 인공 종자 생산 시험연구를 시작했다.
새조개는 새 부리 모양과 비슷하게 생겨 붙은 이름이다. 크기가 커서 두툼하고 쫀득한 식감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충남 홍성 등 충청 이남 갯벌에서만 잡히던 종이다.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경기도 갯벌까지 올라온 것으로 연구소는 보고 있다.
이번에 방류하는 어린 새조개 1만 마리는 연구소가 지난 4월 인공부화한 후 약 3개월간 사육한 것으로, 방류 전 수산생물 전염병 검사를 마친 1~2㎝ 크기 건강한 개체다.
김성곤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장은 “환경 변화에 대응해 신규로 출현하는 유용한 수산 자원을 지속해서 발굴해 경기도 어업인의 소득 증대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