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10개월만에 만들겠다는 '오세훈표 CES'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 품격 높여야 하지만
졸속 추진으로 기업만 들러리
김채연 산업부 기자
졸속 추진으로 기업만 들러리
김채연 산업부 기자
“3개월 만에 미국의 CES 같은 박람회를 만든다고요?”
국내 한 대기업 관계자는 의아하다는 듯 고개를 가로저었다. 서울시가 30억원을 들여 오는 10월에 기술박람회 서울스마트라이프위크(SLW)를 개최하기로 한 것에 대한 반응이다.
서울시의 계획은 ‘청사진대로만’ 실현된다면 그럴듯해 보인다. 시는 국제 협의체인 세계스마트시티기구(WeGO) 의장국으로서 도시 네트워크를 활용해 주요 도시 시장들을 불러 모아 국내 기업 판로 확대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100개 도시, 100개 기업, 2만 명 참가자를 유치하는 것이 서울시의 목표다. 3개년 로드맵에 따라 점차 규모를 키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실제 돌아가는 상황은 ‘구색 갖추기’라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아직 참여 의향을 밝힌 해외 기업이 없는 게 가장 큰 약점으로 꼽힌다. 참가 의사를 밝힌 도시가 어디인지에 대해서도 서울시는 속 시원하게 말하지 못하고 있다.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의 도시 관계자들이 머릿수를 채우기 위해 올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예산이 적고, 규모가 작다고 해서 서울시의 구상을 마냥 비판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서울이라는 글로벌 도시에 이렇다 할 대표 전시회가 마땅히 떠오르지 않는 건 서울시만의 고민은 아니다. 하지만 이를 이처럼 속전속결로 해결해야 하는지는 의문이다. 올해 CES엔 글로벌 빅테크를 포함해 약 4300개 기업, 13만5000명이 참가했다. 서울시는 당초 CES를 주관하는 소비자기술협회(CTA)와 협의해 ‘한국판 CES’를 열기로 했지만 비용 등의 문제로 협상이 결렬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의 이 같은 ‘속도전’에 애꿎은 희생양이 되는 건 결국 기업이다. 요즘 산업계는 풍전등화의 상황에 놓여 있다. 미국, 유럽 등에서 매일 들려오는 지정학적 위기에 대기업조차 한 치 앞도 내다보지 못할 정도로 위기를 호소하고 있다. 내로라하는 기업마저 사업 재편, 임직원 구조조정 등을 통해 몸집 줄이기에 한창이다.
오 시장은 올 1월 미국 CES를 방문한 자리에서 “SLW를 잘 출범시켜 3년 내 CES와 같이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산업계에선 “‘문재인표 CES’와 다를 바 있겠냐”는 볼멘소리가 벌써 나오고 있다.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9년 열린 ‘한국 전자·IT산업 융합 전시회’의 재탕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오 시장의 임기는 2026년 6월까지다. 시장이 바뀌면 사라질지도 모를 행사에 기업들을 굳이 들러리로 세워야 하나. “유력 대권주자가 주도하는 행사니 빠질 수도 없고 ‘울며 겨자 먹기’로 참여할 수밖에 없지 않을까요.” 기업 관계자의 한숨이 허투루 들리지 않는 이유다.
국내 한 대기업 관계자는 의아하다는 듯 고개를 가로저었다. 서울시가 30억원을 들여 오는 10월에 기술박람회 서울스마트라이프위크(SLW)를 개최하기로 한 것에 대한 반응이다.
서울시의 계획은 ‘청사진대로만’ 실현된다면 그럴듯해 보인다. 시는 국제 협의체인 세계스마트시티기구(WeGO) 의장국으로서 도시 네트워크를 활용해 주요 도시 시장들을 불러 모아 국내 기업 판로 확대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100개 도시, 100개 기업, 2만 명 참가자를 유치하는 것이 서울시의 목표다. 3개년 로드맵에 따라 점차 규모를 키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실제 돌아가는 상황은 ‘구색 갖추기’라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아직 참여 의향을 밝힌 해외 기업이 없는 게 가장 큰 약점으로 꼽힌다. 참가 의사를 밝힌 도시가 어디인지에 대해서도 서울시는 속 시원하게 말하지 못하고 있다.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의 도시 관계자들이 머릿수를 채우기 위해 올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예산이 적고, 규모가 작다고 해서 서울시의 구상을 마냥 비판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서울이라는 글로벌 도시에 이렇다 할 대표 전시회가 마땅히 떠오르지 않는 건 서울시만의 고민은 아니다. 하지만 이를 이처럼 속전속결로 해결해야 하는지는 의문이다. 올해 CES엔 글로벌 빅테크를 포함해 약 4300개 기업, 13만5000명이 참가했다. 서울시는 당초 CES를 주관하는 소비자기술협회(CTA)와 협의해 ‘한국판 CES’를 열기로 했지만 비용 등의 문제로 협상이 결렬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의 이 같은 ‘속도전’에 애꿎은 희생양이 되는 건 결국 기업이다. 요즘 산업계는 풍전등화의 상황에 놓여 있다. 미국, 유럽 등에서 매일 들려오는 지정학적 위기에 대기업조차 한 치 앞도 내다보지 못할 정도로 위기를 호소하고 있다. 내로라하는 기업마저 사업 재편, 임직원 구조조정 등을 통해 몸집 줄이기에 한창이다.
오 시장은 올 1월 미국 CES를 방문한 자리에서 “SLW를 잘 출범시켜 3년 내 CES와 같이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산업계에선 “‘문재인표 CES’와 다를 바 있겠냐”는 볼멘소리가 벌써 나오고 있다.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9년 열린 ‘한국 전자·IT산업 융합 전시회’의 재탕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오 시장의 임기는 2026년 6월까지다. 시장이 바뀌면 사라질지도 모를 행사에 기업들을 굳이 들러리로 세워야 하나. “유력 대권주자가 주도하는 행사니 빠질 수도 없고 ‘울며 겨자 먹기’로 참여할 수밖에 없지 않을까요.” 기업 관계자의 한숨이 허투루 들리지 않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