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가상자산 과세 아직 시기상조…'선 제도 후 과세' 원칙 적용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의힘, '가상자산 과세 현안 토론회' 개최
강명구 "과세 관련 제도 인프라 턱 없이 부족"
기본공제·취득원가 산정 등 문제점 해결이 먼저
과세 시점 재검토 필요…2027년 이후 도입이 적절
강명구 "과세 관련 제도 인프라 턱 없이 부족"
기본공제·취득원가 산정 등 문제점 해결이 먼저
과세 시점 재검토 필요…2027년 이후 도입이 적절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는 강명구 국민의힘 의원과 한국회계학회가 공동 주최한 '가상자산 과세제도 현안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는 강명구 의원을 포함해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 김기현 의원, 박수민 의원, 김재섭 의원, 김갑순 한국회계학회장, 윤한홍 정무위원장 등이 함께 참여했다.
그는 "국민의힘은 제도가 미흡해 가상자산 과세가 무리라 판단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라며 "윤석열 대통령께서도 '선 제도정비 후 과세원칙'을 적용해야한다고 말한 바 있는 만큼, 투자자들이 안전한 투자환경에서 투자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추 원내대표도 "현재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과세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면서도 "분명히 거래 투명성, 안전성, 투자자 보호에 대한 제도적 정비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정부에서도 가상자산 과세제도 완비를 위해 많은 노력을 들이고 있다"며 "다만 아직 가상자산 과세를 논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우려했다.
논란의 '가상자산 과세'…"2027년 이후 도입이 적절"

발제를 맡은 안성희 카톨릭대학교 회계학 교수는 "가상자산 과세 제도가 지금 바로 시행되기엔 너무나 많은 문제점이 산재돼 있다"며 "급하게 시행할 경우 제도가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에 영향을 주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안 교수는 가상자산 과세제도 현안으로 △결손금 이월 공제, △기본 공제 상향, △취득원가 산정 일원화, △대여소득을 비롯한 불분명한 소득 등을 꼽았다.
가상자산 과세 기본 공제를 상향해야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현재 공포된 가상자산 과세제도에서 기본 공제는 250만원으로 설정돼 있다. 이는 금융투자소득세 기본 공제인 5000만원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안 교수는 "굳이 따지자면 가상자산과 가장 비슷한 투자 상품은 주식인데, 주식 투자에 적용되는 금투세는 기본 공제를 5000만원까지 상향 조정했다"며 "과세제도의 형평성을 생각했을 때 가상자산 과세의 기본 공제도 조정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기본 공제가 250만원인 상태에서 법이 시행된다면, 세금 신고 경험이 없는 20~40대 투자자들도 납세 대상이 된다"며 "신고납부 시스템이 마련돼 있지도 않은 상황에서 적은 세금을 걷기 위해 행정력 낭비, 과도한 납세협력비용 등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김익현 법무법인 율촌 파트너 변호사도 "CARF와 국내 법제가 불일치 하는 부분이 있는 지를 검토한 후 가상자산의 정의부터 재정비해야 한다"며 "충분히 재검토가 이뤄지기 전까지 소득세 과세 유예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 '블루밍비트'에서 더 많은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손민 블루밍비트 기자 sonmin@bloomingbit.io
진욱 블루밍비트 기자 wook9629@bloomingbi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