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열풍에 MLCC도 뛴다…삼성전기 '1조 클럽' 복귀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I發 신제품 늘며 수요 회복
1위 日 무라타 가격 인상 계획
삼성전기 판매가 10% 오를 듯
실리콘커패시터 등 신제품 개발
증권업계 "실적 질주 가능성"
1위 日 무라타 가격 인상 계획
삼성전기 판매가 10% 오를 듯
실리콘커패시터 등 신제품 개발
증권업계 "실적 질주 가능성"
전자부품 중 크기가 가장 작은 적층세라믹콘덴서(MLCC)는 ‘산업의 쌀’로 불린다. 크기가 쌀알의 250분의 1 크기에 불과하지만, 전기를 저장했다가 반도체 등 전자부품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MLCC는 스마트폰부터 냉장고, 텔레비전, 로봇 등 모든 전자 기기에 들어간다.
MLCC 시장이 살아나고 있다. 인공지능(AI) 기술 확산으로 MLCC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서다. 무라타, TDK 등 글로벌 선두 MLCC 업체들이 가격 인상에 나서면서 삼성전기도 훈풍을 타고 있다. 삼성전기는 국내 대기업 중 유일하게 MLCC를 생산한다.
일본 업체의 가격 인상에 따라 삼성전기의 MLCC 평균판매단가(ASP)도 내년 10% 가까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기는 지난해 기준 세계 MLCC 시장의 21%가량을 차지한 2위 업체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AI발 수요 회복에 힘입어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MLCC 가격 인상이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자제품에 필수로 들어가는 MLCC는 최신형 스마트폰 한 대 기준 1000여 개다. 반도체에는 100여 개, 컴퓨터에는 1200여 개가 필요하다. MLCC의 개당 가격은 몇십원 수준이지만 500㏄ 와인잔을 꽉 채우면 약 3억원어치를 훌쩍 넘는 고부가가치 제품이다.
MLCC 수요는 코로나19발 재택근무로 전자제품 교체 붐이 일었던 2020년 이후 하락을 거듭했다. 당시 TV, 노트북 등을 교체한 소비자들이 새 제품 구매를 거의 끊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MLCC 평균 판매가격은 19.6% 떨어졌고, 올해 1분기에도 3.5% 하락했다.
AI 제품에 더 많은 MLCC가 소요되는 점도 기회 요인이다. AI 제품은 기존 기기 대비 MLCC가 10~20% 많이 장착된다. 사용처도 확대되고 있다. 전기차와 로봇 시장이 대표적 사례다. 전기차에는 일반 내연기관 차의 10배에 달하는 1만8000~3만 개의 MLCC가 들어간다.
MLCC가 주력 사업인 삼성전기의 실적도 턴어라운드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분기 기준 MLCC 사업은 삼성전기 매출의 39.9%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기의 내년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평균 전망치)는 1조1031억원으로 전년 대비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MLCC 불황으로 지난해 6394억원, 올해 8716억원(업계 전망치)을 기록한 이후 3년 만에 ‘1조 클럽’에 복귀하는 것이다. 2022년 삼성전기의 영업이익은 1조1828억원이다.
삼성전기는 AI, 전기차, 자율주행 등 신기술 확대를 이용해 성장에 본격 드라이브를 걸 계획이다. 삼성전기가 2~3년 내 양산을 계획 중인 신제품은 △실리콘커패시터 △글라스 기판 △소형 전고체 전지 등이 있다.
특히 기존 MLCC를 대체할 수 있는 실리콘커패시터는 오는 9월 고객사 스마트폰에 납품되며 본격 양산에 들어간다. 실리콘커패시터는 고성능 컴퓨팅이 필요한 AI 제품에 들어가는 차세대 부품이다. 전기차용 고성능 MLCC 시장도 공략한다. 삼성전기는 이날 전기차용 2000V MLCC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
MLCC 시장이 살아나고 있다. 인공지능(AI) 기술 확산으로 MLCC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서다. 무라타, TDK 등 글로벌 선두 MLCC 업체들이 가격 인상에 나서면서 삼성전기도 훈풍을 타고 있다. 삼성전기는 국내 대기업 중 유일하게 MLCC를 생산한다.
○MLCC 가격 최대 20% 인상
17일 전자업계와 외신들에 따르면 일본 무라타와 TDK는 최근 MLCC 가격을 10~20%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AI PC, AI 폰 출시에 힘입어 MLCC 수요가 회복되고 있고, 주요 원재료인 은값이 상승하고 있어서다. 무라타와 TDK는 세계 MLCC 시장을 각각 41%, 13% 점유한 1, 3위 업체다.일본 업체의 가격 인상에 따라 삼성전기의 MLCC 평균판매단가(ASP)도 내년 10% 가까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기는 지난해 기준 세계 MLCC 시장의 21%가량을 차지한 2위 업체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AI발 수요 회복에 힘입어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MLCC 가격 인상이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자제품에 필수로 들어가는 MLCC는 최신형 스마트폰 한 대 기준 1000여 개다. 반도체에는 100여 개, 컴퓨터에는 1200여 개가 필요하다. MLCC의 개당 가격은 몇십원 수준이지만 500㏄ 와인잔을 꽉 채우면 약 3억원어치를 훌쩍 넘는 고부가가치 제품이다.
MLCC 수요는 코로나19발 재택근무로 전자제품 교체 붐이 일었던 2020년 이후 하락을 거듭했다. 당시 TV, 노트북 등을 교체한 소비자들이 새 제품 구매를 거의 끊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MLCC 평균 판매가격은 19.6% 떨어졌고, 올해 1분기에도 3.5% 하락했다.
○AI발 호황으로 사용처 확대
가격 인상은 수요 회복의 신호탄으로 분석된다. AI PC, AI 폰 출시로 스마트폰과 노트북 시장에 교체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주요 동인이다. 올해 노트북 출하량은 1억7200만 대로 지난해보다 3.6% 증가하며 2021년 이후 3년 만에 반등할 것으로 전망된다.AI 제품에 더 많은 MLCC가 소요되는 점도 기회 요인이다. AI 제품은 기존 기기 대비 MLCC가 10~20% 많이 장착된다. 사용처도 확대되고 있다. 전기차와 로봇 시장이 대표적 사례다. 전기차에는 일반 내연기관 차의 10배에 달하는 1만8000~3만 개의 MLCC가 들어간다.
MLCC가 주력 사업인 삼성전기의 실적도 턴어라운드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분기 기준 MLCC 사업은 삼성전기 매출의 39.9%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기의 내년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평균 전망치)는 1조1031억원으로 전년 대비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MLCC 불황으로 지난해 6394억원, 올해 8716억원(업계 전망치)을 기록한 이후 3년 만에 ‘1조 클럽’에 복귀하는 것이다. 2022년 삼성전기의 영업이익은 1조1828억원이다.
삼성전기는 AI, 전기차, 자율주행 등 신기술 확대를 이용해 성장에 본격 드라이브를 걸 계획이다. 삼성전기가 2~3년 내 양산을 계획 중인 신제품은 △실리콘커패시터 △글라스 기판 △소형 전고체 전지 등이 있다.
특히 기존 MLCC를 대체할 수 있는 실리콘커패시터는 오는 9월 고객사 스마트폰에 납품되며 본격 양산에 들어간다. 실리콘커패시터는 고성능 컴퓨팅이 필요한 AI 제품에 들어가는 차세대 부품이다. 전기차용 고성능 MLCC 시장도 공략한다. 삼성전기는 이날 전기차용 2000V MLCC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