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7월 17일 오후 4시 19분

상장사 주요주주의 ‘블록딜(시간외매매)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블록딜 사전공시 제도가 시행되기 전에 지분을 팔려는 시도가 몰리는 것이다. 오는 24일부터는 상장사 주요주주와 임원 등이 지분 1% 이상을 매매할 경우 최소 30일 전에 공시해야 한다. 이 제도가 시행되기 전 미리 지분을 처분하려는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주가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주요주주 대량 매도 행렬

"사전공시 도입 전에 미리"…블록딜 폭탄에 증시 몸살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한 달 사이에 21개 상장사의 주요주주가 블록딜 방식으로 보유 주식을 처분한 것으로 집계됐다. 덕산네오룩스한국화장품, 브이엠, 세진중공업, HPSP, 선광, 에코앤드림, 화성엔터프라이즈, 나노신소재 등 상장 기업의 주요주주와 임원들이 지난달부터 주식을 대량으로 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장은 지난 5월 블록딜 방식으로 SK 주식 8만5204주를 팔았다.

게임기업 컴투스는 지난 1~2일 이틀에 걸쳐 데브시스터즈 주식 17만3904주(108억원)를 블록딜 방식으로 매도했고, 하이브는 5월 SM엔터테인먼트 지분 75만5522주(684억원)를 축소해 현금화했다.

LG디스플레이는 10일 우리이앤엘야스, 아바텍 등 3개 코스닥시장 상장사의 지분을 줄였다. 구체적으로 아바텍 주식 24만7000주(34억1200만원)와 야스 주식 28만6000주(24억2400만원), 우리이앤엘 주식 170만 주(13억5500만원)를 매각했다.

협력사에 대한 LG디스플레이 지분 축소는 이례적이다. 유동성 확보 등의 명분으로 여러 상장사 지분을 매도했지만, 블록딜 사전 공시 의무를 피하려는 목적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한 증권사의 블록딜 담당 관계자는 “블록딜 공시 시행 전 대량 매도를 염두에 두고 연락이 오는 법인고객이 늘었다”며 “제도 시행 이후에는 대주주나 특수관계인, 일반 법인의 블록딜이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주요주주의 지분 대량 매도는 올해 초부터 시작됐다. 상반기에 삼성전자 세 모녀(3조1441억원) 블록딜을 포함해 전체 4조8000억원 안팎의 물량이 블록딜 방식으로 매도됐다.

○블록딜로 억눌린 주가

‘블록딜 사전 공시 의무제’ 시행일이 가까워지면서 매도 행렬이 더 거세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공시 의무 대상을 피하기 위해 지분율을 10%대 아래로 낮추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주요주주도 나오고 있다.

갑작스럽게 대량 매도가 쏟아지면서 주가를 짓누르고 있다. ‘쿠키런: 모험의 탑’ 흥행 기대로 상승 흐름을 타던 데브시스터즈 주가는 컴투스의 매도가 시작된 이후 이달 4일까지 사흘 동안 27% 급락했다. 우리이앤엘 주가도 LG디스플레이가 5일 매도를 시작한 이후 하락세다.

이번 제도가 시행되는 건 오는 24일부터다. 지분율 10% 이상 주요주주와 회사 경영진, 전략적투자자(SI)는 발행주식 1% 이상을 거래할 때 거래 가격과 수량, 기간을 최소 30일 전까지 공시해야 한다. 블록딜뿐 아니라 장내 매매도 해당되고 매매 기준 기한은 6개월이다. 위반 시 최대 20억원의 과징금이 부과된다.

법인 투자자는 크게 SI와 재무적투자자(FI)로 분류되는데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사모펀드(PEF), 벤처캐피털(VC)과 같은 FI는 공시 의무 대상에서 제외됐다. 경영권 참여를 목표로 한 투자자인 SI만 공시 의무가 생겼다. 한 애널리스트는 “주요주주의 거래를 미리 알려 블록딜로 인한 개인투자자 피해를 막겠다는 취지지만 시행 전 매도가 쏠리면서 주주 피해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