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방위비 내야" 한마디에 대만총리 "더 많은 책임질 용의"(종합2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방위비 수용 시사' 해석 속 외교부는 논평 거부…학계 "집권당 친미 정책 위기"
친중 野의원 "양안관계 불확실해져"…네티즌들 "집권도 안했는데 방위비부터 요구?"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만에 대해 방위비 부담을 요구한 것과 관련, 대만 행정원장(총리 격)이 "더 많은 책임을 질 용의가 있다"라고 말했다고 자유시보와 중앙통신사 등 대만 언론이 1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줘룽타이 대만 행정원장은 이날 언론 간담회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 발언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 "대만해협과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전은 대만과 미국의 공동 책임이자 목표"라고 밝혔다.
줘 행정원장은 이어 "최근 몇 년간 대만과 미국의 관계가 매우 굳건했다"면서 "우리는 스스로를 방어하고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더 많은 책임을 부담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성숙한 민주주의 국가이고, 미국 국민이 확실한 선택을 할 것으로 믿는다"며 "대만과 미국은 공식 외교관계는 없지만 항상 좋은 관계를 유지해왔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우리는 미국 국민의 선택을 존중하고 축복하며, 미래 양측은 좋은 방향으로 발전해나갈 것"이라고도 했다.
줘 행정원장의 이날 발언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 후 방위비 부담을 요구할 경우, 대만 정부가 이를 받아들일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공개된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와의 사전 인터뷰에서 중국을 상대로 대만을 방어하겠느냐는 질문에 "난 대만 사람들을 매우 잘 알고 그들을 매우 존중한다"면서도 "그들이 우리 반도체 사업의 약 100%를 가져가기는 했다"고 말했다.
이어 "대만이 방어를 위해 우리에게 돈을 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우리는 보험회사와 다를 바가 없다.
대만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주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대만 외교부는 트럼프 전 대통령 발언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외교부는 간략한 성명에서 "미국 대선 기간 외교부는 후보자들의 발언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집권 민진당은 "트럼프 전 대통령 발언은 대만이 일본과 한국, 유럽연합(EU)과 마찬가지로 자국 안보를 지키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길 바라는 것"이라는 해석을 내놨다.
린여우창 민진당 비서장(사무총장)은 이날 저녁 보도자료에서 "미중 전략 구도는 변하지 않을 것이며, 중국은 미국에 가장 큰 위협"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린 비서장은 "지금은 대미 관계가 가장 좋은 시기"라며 "양측 무역과 투자는 최근 몇 년간 많이 증가했고 무기 판매와 안보 협력도 매우 원활하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펜실베이니아주 유세장서 암살 위기를 모면한 뒤 재선 가능성이 더 커진 것으로 평가받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만에 대한 인식을 언론 인터뷰를 통해 여과 없이 드러내자 대만 정치권과 학계 등은 큰 관심을 보이며 자국에 미칠 영향에 주목했다.
대만중앙통신(CNA)에 따르면 제1야당인 친중 국민당 왕훙웨이 입법위원(국회의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태도는 대만뿐 아니라 독일 등 유럽 국가,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도 똑같다"면서 "갈수록 긴장이 커지는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가 불확실한 요소로 가득 차게 됐다"고 말했다.
대만 학계는 민진당의 친미항중(親美抗中·미국과 가깝게 지내 중국에 대항한다는 뜻) 정책이 새로운 도전이 될 것으로 평가했다고 대만 연합신문망이 전했다.
양융밍 대만 문화대 사회과학대학원 특강교수는 "민진당의 완전한 친미항중 정책은 균형을 잃게 될 뿐 아니라 (트럼프의 대 대만 입장은) 우리 미래에도 새 도전"이라고 말했다.
장옌팅 전 공군 부사령관은 대만 중시신문망과 인터뷰에서 "미국은 우크라이나를 확고하게 지지한다고 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에) 국토는 만신창이가 됐다"면서 "대만은 빈부격차가 크기 때문에 미국인들에 공짜로 돈을 주지 말고 중하위 계층 민중과 젊은이들에게 (방위비가) 돌아가야 한다"며 격앙된 반응을 나타냈다.
대만 네티즌들은 온라인 공간에서 "취임도 안 했는데 벌써 방위비부터 요구한다" 등 대체로 부정적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관세폭탄' 벼르는 트럼프…"중국산엔 60~100%, 모든 나라 10%"/ 연합뉴스 (Yonhapnews)
/연합뉴스
친중 野의원 "양안관계 불확실해져"…네티즌들 "집권도 안했는데 방위비부터 요구?"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만에 대해 방위비 부담을 요구한 것과 관련, 대만 행정원장(총리 격)이 "더 많은 책임을 질 용의가 있다"라고 말했다고 자유시보와 중앙통신사 등 대만 언론이 1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줘룽타이 대만 행정원장은 이날 언론 간담회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 발언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 "대만해협과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전은 대만과 미국의 공동 책임이자 목표"라고 밝혔다.
줘 행정원장은 이어 "최근 몇 년간 대만과 미국의 관계가 매우 굳건했다"면서 "우리는 스스로를 방어하고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더 많은 책임을 부담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성숙한 민주주의 국가이고, 미국 국민이 확실한 선택을 할 것으로 믿는다"며 "대만과 미국은 공식 외교관계는 없지만 항상 좋은 관계를 유지해왔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우리는 미국 국민의 선택을 존중하고 축복하며, 미래 양측은 좋은 방향으로 발전해나갈 것"이라고도 했다.
줘 행정원장의 이날 발언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 후 방위비 부담을 요구할 경우, 대만 정부가 이를 받아들일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공개된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와의 사전 인터뷰에서 중국을 상대로 대만을 방어하겠느냐는 질문에 "난 대만 사람들을 매우 잘 알고 그들을 매우 존중한다"면서도 "그들이 우리 반도체 사업의 약 100%를 가져가기는 했다"고 말했다.
이어 "대만이 방어를 위해 우리에게 돈을 내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우리는 보험회사와 다를 바가 없다.
대만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주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대만 외교부는 트럼프 전 대통령 발언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외교부는 간략한 성명에서 "미국 대선 기간 외교부는 후보자들의 발언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집권 민진당은 "트럼프 전 대통령 발언은 대만이 일본과 한국, 유럽연합(EU)과 마찬가지로 자국 안보를 지키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길 바라는 것"이라는 해석을 내놨다.
린여우창 민진당 비서장(사무총장)은 이날 저녁 보도자료에서 "미중 전략 구도는 변하지 않을 것이며, 중국은 미국에 가장 큰 위협"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린 비서장은 "지금은 대미 관계가 가장 좋은 시기"라며 "양측 무역과 투자는 최근 몇 년간 많이 증가했고 무기 판매와 안보 협력도 매우 원활하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펜실베이니아주 유세장서 암살 위기를 모면한 뒤 재선 가능성이 더 커진 것으로 평가받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만에 대한 인식을 언론 인터뷰를 통해 여과 없이 드러내자 대만 정치권과 학계 등은 큰 관심을 보이며 자국에 미칠 영향에 주목했다.
대만중앙통신(CNA)에 따르면 제1야당인 친중 국민당 왕훙웨이 입법위원(국회의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태도는 대만뿐 아니라 독일 등 유럽 국가,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도 똑같다"면서 "갈수록 긴장이 커지는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가 불확실한 요소로 가득 차게 됐다"고 말했다.
대만 학계는 민진당의 친미항중(親美抗中·미국과 가깝게 지내 중국에 대항한다는 뜻) 정책이 새로운 도전이 될 것으로 평가했다고 대만 연합신문망이 전했다.
양융밍 대만 문화대 사회과학대학원 특강교수는 "민진당의 완전한 친미항중 정책은 균형을 잃게 될 뿐 아니라 (트럼프의 대 대만 입장은) 우리 미래에도 새 도전"이라고 말했다.
장옌팅 전 공군 부사령관은 대만 중시신문망과 인터뷰에서 "미국은 우크라이나를 확고하게 지지한다고 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에) 국토는 만신창이가 됐다"면서 "대만은 빈부격차가 크기 때문에 미국인들에 공짜로 돈을 주지 말고 중하위 계층 민중과 젊은이들에게 (방위비가) 돌아가야 한다"며 격앙된 반응을 나타냈다.
대만 네티즌들은 온라인 공간에서 "취임도 안 했는데 벌써 방위비부터 요구한다" 등 대체로 부정적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