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왕 생일에 민족대표 30명이 낸 전단, 국가등록문화유산 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가유산청,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과 선언서' 등록 예고
3·1운동 이후 독립운동 양상 확인…고창 문수사 대웅전 등 보물 지정 3·1 만세 운동으로 전국이 들썩이던 1919년 독립을 향한 열망을 보여주는 자료가 국가등록문화유산이 된다.
국가유산청은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이 소장한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과 선언서'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할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
등록 예고된 자료는 축하문과 선언서 2점으로, 1919년 10월 31일 발행됐다.
1919년 4월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임시정부가 수립된 이후 국내의 '한성정부', 연해주의 '대한국민의회' 등과 통합해 대한민국임시정부로 출범한 것으로 기념하고자 제작했다.
김구, 박은식 등 '대한민족 대표' 30명의 이름이 적힌 축하문에는 "10년의 노예 생활을 벗어나 오늘에 다시 독립 대한의 국민이 되었도다"고 시작한다.
"우리 국민은 다시 이민족의 노예가 아니요 또한 다시 부패한 전제 정부의 노예도 아니요 독립한 민주국의 자유민이라."
축하문에는 만세를 부르자는 노랫말이 담긴 축하가도 실려 있다.
선언서는 3·1운동과 같은 전국적 시위운동을 다시 전개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선언서는 "한 번 더 평화로운 만세 소리로 우리 대한민국의 독립국이오 우리 대한민국의 자유민임을 일본과 세계 만국의 앞에 선언하노라"며 '제2차 독립시위운동'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우리 민족은 대한민국의 국민이오 우리 민족을 통치하는 자는 대한민국의 임시정부니 우리 민족은 영원히 다시 일본의 지배를 받지 아니할지라"라고 강조했다.
국가유산청은 "당시 다이쇼(大正) 일왕의 생일인 10월 31일에 맞춰 이 문서들을 발표해 3·1운동과 같은 전국적 시위운동을 다시 전개하고 일제에 저항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두 자료는 고(故) 김양선(1907∼1970) 숭실대 교수가 학교에 기증하면서 존재가 알려졌다.
실물 전단 형태의 문건이 남아있는 유일한 자료다.
매산(梅山) 김양선 교수는 평양숭실대학 출신의 장로교 목사이자 고고학자로, 그가 설립·운영하던 한국기독교박물관을 토대로 숭실대 부속박물관이 출범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3·1운동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당시 독립운동 전개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라며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국가유산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들은 뒤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과 선언서'을 등록할 예정이다.
한편, 국가유산청은 이날 전남 여수 거문도의 구 삼산면 의사당, 해저통신시설 등을 아우르는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확정했다.
1885년 영국군이 거문도를 불법 점령했던 사건 등 근대기에 주요한 역사적 사건이 발생했던 지역으로, 보존·활용 가치가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문화·역사적 가치가 큰 사찰 건물인 '고창 문수사 대웅전'과 '의성 고운사 가운루'를 보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3·1운동 이후 독립운동 양상 확인…고창 문수사 대웅전 등 보물 지정 3·1 만세 운동으로 전국이 들썩이던 1919년 독립을 향한 열망을 보여주는 자료가 국가등록문화유산이 된다.
국가유산청은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이 소장한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과 선언서'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할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
등록 예고된 자료는 축하문과 선언서 2점으로, 1919년 10월 31일 발행됐다.
1919년 4월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임시정부가 수립된 이후 국내의 '한성정부', 연해주의 '대한국민의회' 등과 통합해 대한민국임시정부로 출범한 것으로 기념하고자 제작했다.
김구, 박은식 등 '대한민족 대표' 30명의 이름이 적힌 축하문에는 "10년의 노예 생활을 벗어나 오늘에 다시 독립 대한의 국민이 되었도다"고 시작한다.
"우리 국민은 다시 이민족의 노예가 아니요 또한 다시 부패한 전제 정부의 노예도 아니요 독립한 민주국의 자유민이라."
축하문에는 만세를 부르자는 노랫말이 담긴 축하가도 실려 있다.
선언서는 3·1운동과 같은 전국적 시위운동을 다시 전개하자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선언서는 "한 번 더 평화로운 만세 소리로 우리 대한민국의 독립국이오 우리 대한민국의 자유민임을 일본과 세계 만국의 앞에 선언하노라"며 '제2차 독립시위운동'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우리 민족은 대한민국의 국민이오 우리 민족을 통치하는 자는 대한민국의 임시정부니 우리 민족은 영원히 다시 일본의 지배를 받지 아니할지라"라고 강조했다.
국가유산청은 "당시 다이쇼(大正) 일왕의 생일인 10월 31일에 맞춰 이 문서들을 발표해 3·1운동과 같은 전국적 시위운동을 다시 전개하고 일제에 저항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두 자료는 고(故) 김양선(1907∼1970) 숭실대 교수가 학교에 기증하면서 존재가 알려졌다.
실물 전단 형태의 문건이 남아있는 유일한 자료다.
매산(梅山) 김양선 교수는 평양숭실대학 출신의 장로교 목사이자 고고학자로, 그가 설립·운영하던 한국기독교박물관을 토대로 숭실대 부속박물관이 출범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3·1운동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당시 독립운동 전개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라며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국가유산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들은 뒤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대한민국임시정부 성립 축하문과 선언서'을 등록할 예정이다.
한편, 국가유산청은 이날 전남 여수 거문도의 구 삼산면 의사당, 해저통신시설 등을 아우르는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확정했다.
1885년 영국군이 거문도를 불법 점령했던 사건 등 근대기에 주요한 역사적 사건이 발생했던 지역으로, 보존·활용 가치가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문화·역사적 가치가 큰 사찰 건물인 '고창 문수사 대웅전'과 '의성 고운사 가운루'를 보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