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새마을금고도 한은과 RP거래…유동성 공급 속도 빨라진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7개사 공개시장운영 참여
6개 중앙회도 RP매매 가능
유동성 위기 대비 효과
6개 중앙회도 RP매매 가능
유동성 위기 대비 효과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2.37014870.1.jpg)
한은은 18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시중은행 등 57개사를 공개시장운영 대상 기관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기존 37개사에서 6개 중앙회, 자산운용사 등 20개사가 늘었다. 종류별로 보면 ‘통화안정증권 경쟁입찰·모집 및 증권단순매매’ 대상기관 23개사, ‘환매조건부증권매매’ 대상기관 44개사, ‘증권대차’ 대상기관 10개사 등(중복 선정 가능)이다. 이들 기관은 다음달부터 1년 간 한은의 공개시장운영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한은 RP를 거래할 수 있게 되면서 대규모 예금인출 등 유동성 위기가 발생할 경우 대응하기도 수월해진다. 지난해 새마을금고 사태 때는 중앙회가 국채를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이를 기반으로 자금을 빌릴 창구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었다. 한은은 새마을금고 중앙회가 RP거래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직접 나설 수 없었고, 결국 시중은행이 새마을금고와 RP매입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자금이 공급됐다. 이번 RP매입 대상기관 선정으로 각 중앙회는 보유 국채 등을 담보로 한은에서 직접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됐다.
자산운용사는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엔에이치아문디자산운용, 케이비자산운용, 하나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한화자산운용 등 7곳이 새로 추가됐다. 한은은 이들의 머니마켓펀드(MMF) 자금을 RP로 흡수해 콜금리 등이 기준금리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통해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