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된 인력 양성 사업이 기대에 못 미치는 사업 성과로 도마에 올랐다. 반도체 인력 양성 사업을 마친 참여자 가운데 실제 취업으로 이어진 인원은 10명 중 3명꼴에 그쳤다. 일부 기관에선 10년도 넘은 노후된 장비로 교육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인력 양성, 실제 취업률은 30%대

국회예산정책처는 이달 발간한 산업통상자원부 결산분석 보고서를 통해 반도체 인력 양성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를 제시했다. 산업부는 범정부 종합계획인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에 따라 반도체 분야 단기재직자 교육과 고급전문 인재 양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재직자·취업준비생 대상 교육으로는 △반도체인프라 활용 현장인력양성 사업 △반도체 아카데미 구축 △시스템반도체 설계 실무인력양성 등이 있다. 반도체 인프라 활용 현장인력양성 사업은 제조·공정·장비와 후공정 분야를 중심으로 교육이 진행된다. 시스템반도체 설계 실무인력양성 과정에선 설계 분야가 중심이다. 반도체 아카데미 구축 사업은 3개 분야를 모두 포괄한다.

지난해 반도체 인프라 활용 현장인력양성 사업을 수료한 대학 재학생과 졸업생은 총 1198명. 이 중 졸업(예정)자는 329명이다. 취업자 수는 105명으로 졸업자의 31.9%에 그쳤다. 제조 부문 취업자가 81명으로 가장 많았고 후공정과 설계 부문은 각각 22명, 2명에 그쳤다. 전체 수료자(1198명)와 비교하면 취업률은 8.8%로 뚝 떨어진다.

이 사업은 효과를 높이기 위해 대학교 3~4학년 학생 등 졸업예정자와 졸업생을 우선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절반도 되지 않는 취업률로 사업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상황.

반도체 아카데미 구축 사업의 경우 지난해 대학 재학생·졸업생 수료자 338명 가운데 30.8%인 104명만 취업으로 연계됐다. 이 사업은 한국반도체산업협회가 주관한다. 교육은 협회 산하 한국반도체아카데미가 맡는다.

시스템반도체 설계 실무인력양성 사업의 취업률은 그나마 나았다. 채용연계 교육을 지원하는 과정을 수료한 대학 재학생·졸업생 196명 가운데 110명, 56.1%가 취업에 성공했다.

해당 사업 전체 취업률은 대학교 4학년 2학기 이상 재학생·졸업생(863명)을 기준으로 평균 37%(319명). 모든 재학생·졸업생(1509명)과 비교하면 21.1%에 그친다.
자료=국회예산정책처
자료=국회예산정책처

제조·장비, 후공정 분야 취업률 더 낮아

교육 분야별로 보면 설계 분야에선 졸업자 295명 중 53.2%인 157명이 취업해 가장 높은 취업률을 나타냈다. 제조·공정·장비 분야 취업률은 31.9%(졸업자 417명·취업자 133명), 후공정 분야 취업률은 19.2%(졸업자 151명·취업자 29명)에 머물렀다.

특히 2022년 시행된 반도체 인프라 활용 현장인력양성 사업과 시스템반도체 설계 실무인력 양성 사업은 취업률이 더 떨어졌다. 대학교 4학년 2학기 이상 재학생·졸업생 수료인원을 기준으로 본 이들 사업의 취업률은 각각 48.7%→31.9%, 73.9%→56.1%로 하락했다.

반도체 인프라 활용 현장인력양성 과정에선 10년도 넘은 노후된 교육장비가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 때문에 교육의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 사업엔 지난해 기준 대학 총 11곳이 참여했다. 이들 대학이 보유한 519종, 718대의 장비를 활용해 교육이 이뤄졌다. 해당 장비의 평균 연식은 6년. 이 가운데 제조 분야 장비의 평균 연식을 보면 서울대 11년, 성균관대 11년, 연세대 12년, 전북대 18년으로 확인됐다. 후공정 분야 장비의 경우 성균관대와 연세대가 각각 11년, 16년으로 조사됐다.

윤성식 국회예산정책처 예산분석관은 "지난해 교육과정을 확대하면서 수료생이 증가했지만 취업률이 전년보다 감소한 만큼 교육과정의 양적 확대에 부응한 취업실적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사업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교육장비와 관련해선 "반도체 인프라 활용 현장인력양성 사업은 대학 보유 반도체 인프라를 활용한 장비운용 교육 목적의 사업이지만 일부 대학은 장비 노후화로 일부 장비만을 활용한 교육이 이뤄져 교육수행 기관 선정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