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주공에 무슨 일이…재건축 조합원 갈등 '시끌' [이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마감재 선택 두고 갈등 커져
서울 재건축·재개발 사업을 추진 중인 정비사업 조합에서 마감재 선택을 두고 갈등이 커지고 있다. 최근 공사비 급등으로 조합원의 부담이 커지자 조합 차원에서 마감재를 바꿔 공사비를 조금이라도 낮춰보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달리 준공 후 하자 등을 우려해 시공사가 제안한 마감재를 그대로 사용하려는 조합원도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잦은 마감재 변경이 오히려 공사비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20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시공사와 공사비 협상을 진행 중인 서초구 반포주공 1단지 1·2·4주구 조합은 최근 조합원에게 “마감재는 공사비 협상 대상이 아니다”라는 해명해야 했다. “조합이 시공사가 제안한 마감재를 임의로 변경하려 한다”는 소문이 조합원 사이에서 나오며 비판 목소리가 커졌기 때문이다.
일부 조합원은 “조합 측이 특정 마감재 업체와 계약하기 위해 마감재 사양을 변경하려 한다”며 시공사가 제안한 마감재를 그대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조합은 “특정 업체와 접촉하고 있다는 소문은 사실이 아니다”며 시공사와의 증액 협상에만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조합원이 마감재 변경에 예민해진 것은 앞서 준공한 주변 단지에서 조합이 선정한 마감재 때문에 하자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한 조합원은 “공사비 절감을 이유로 조합이 마감재를 변경했던 단지는 결로(이슬 맺힘) 등의 하자로 시달리고 있다”며 “바로 옆 단지에서 하자로 고생하는 걸 보면 예민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사정은 다른 정비사업지도 마찬가지다. 서초구의 다른 재건축 단지는 아예 조합원이 조합이 제시한 마감재가 아닌 시공사가 선정한 마감재를 선택했다. 조합이 제시한 마감재가 오히려 공사비 상승을 유발한다는 이유에서다. 앞서 마포구의 한 재건축 조합은 공사비 협상이 길어지며 조합원의 반발이 커지자 요구했던 고급 마감재를 철회했다.
전문가들은 고급 마감재를 고집하던 관례가 점차 바뀌고 있다고 설명한다. 조합의 마감재 선정과 관련된 잡음도 줄어드는 것도 이 같은 변화에 한몫하고 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관례로 조합이 선택하던 마감재가 공사비 인상 요인이라는 공감대가 생겼고, 조합원의 집행부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며 “특화 설계에 집착하면 사업 속도가 오히려 늦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
20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시공사와 공사비 협상을 진행 중인 서초구 반포주공 1단지 1·2·4주구 조합은 최근 조합원에게 “마감재는 공사비 협상 대상이 아니다”라는 해명해야 했다. “조합이 시공사가 제안한 마감재를 임의로 변경하려 한다”는 소문이 조합원 사이에서 나오며 비판 목소리가 커졌기 때문이다.
일부 조합원은 “조합 측이 특정 마감재 업체와 계약하기 위해 마감재 사양을 변경하려 한다”며 시공사가 제안한 마감재를 그대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조합은 “특정 업체와 접촉하고 있다는 소문은 사실이 아니다”며 시공사와의 증액 협상에만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조합원이 마감재 변경에 예민해진 것은 앞서 준공한 주변 단지에서 조합이 선정한 마감재 때문에 하자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한 조합원은 “공사비 절감을 이유로 조합이 마감재를 변경했던 단지는 결로(이슬 맺힘) 등의 하자로 시달리고 있다”며 “바로 옆 단지에서 하자로 고생하는 걸 보면 예민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사정은 다른 정비사업지도 마찬가지다. 서초구의 다른 재건축 단지는 아예 조합원이 조합이 제시한 마감재가 아닌 시공사가 선정한 마감재를 선택했다. 조합이 제시한 마감재가 오히려 공사비 상승을 유발한다는 이유에서다. 앞서 마포구의 한 재건축 조합은 공사비 협상이 길어지며 조합원의 반발이 커지자 요구했던 고급 마감재를 철회했다.
전문가들은 고급 마감재를 고집하던 관례가 점차 바뀌고 있다고 설명한다. 조합의 마감재 선정과 관련된 잡음도 줄어드는 것도 이 같은 변화에 한몫하고 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관례로 조합이 선택하던 마감재가 공사비 인상 요인이라는 공감대가 생겼고, 조합원의 집행부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며 “특화 설계에 집착하면 사업 속도가 오히려 늦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