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배터리·태양광 '직격탄'…선박·철강은 긍정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 경제·통상에 미칠 영향
'中 때리기'에 韓 일부 반사효과
장기화 땐 對美·對中 수출 줄어
'中 때리기'에 韓 일부 반사효과
장기화 땐 對美·對中 수출 줄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9일 공화당 대선 후보 수락 연설에서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관세 장벽’을 쌓겠다는 의지를 재차 강조하면서 차기 트럼프 정부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 대선 후보 수락 연설에서 트레이드마크인 ‘미국우선주의’를 재확인했다. 그는 미국에 자동차 공장을 두지 않은 중국산 자동차에 대해 “100%에서 2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중국 때리기’에 나섰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최소 60%의 관세를 매기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지난 5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100%로 네 배 늘리며 미국 내 제조업 지대인 ‘러스트벨트’ 공략에 나서자 이에 한술 더 떠 두 배 높은 200%의 관세율을 제시한 것이다. 한국 등 주요 동맹국에 대해서도 “미국에서 만들어야 한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던졌다.
이 같은 변화는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 경제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친다. 자동차와 반도체부터 배터리, 철강, 조선, 정보기술(IT) 제품까지 수출 시장에서 경합 중인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는 큰 틀에선 한국산의 가격 경쟁력 제고로 이어지며 수출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빅테크 규제에 나섰던 바이든 정부의 정책이 폐기되면서 미국 내 AI 투자 강화로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가치 수출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하지만 관세 인상으로 미국 내에서 비싸진 수입품 가격을 상쇄할 정도로 미국 내 생산성이 개선되지 않으면 이는 소비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소비 감소가 내수 침체로 이어지면 결과적으로 한국의 대미 수출량이 줄어들 수 있다. 미국과 함께 양대 수출시장인 중국의 생산 가동률이 낮아질 경우 한국의 대중 수출마저 악화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지난 4월 보고서에서 트럼프 관세정책이 현실화하면 한국의 총수출액은 최대 241억달러(약 33조2580억원) 줄어들 수 있다고 추산했다.
전기차 확대 정책을 폐지하고 석유와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시추를 확대해 에너지 비용을 줄인다는 트럼프 정부의 방향성에 따라선 업종별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전기차와 배터리, 태양광 등 친환경 산업은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반면 화석연료의 시추와 운송을 위한 선박과 철강, 플랜트 등 인프라 산업 등은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트럼프 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 대선 후보 수락 연설에서 트레이드마크인 ‘미국우선주의’를 재확인했다. 그는 미국에 자동차 공장을 두지 않은 중국산 자동차에 대해 “100%에서 2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중국 때리기’에 나섰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최소 60%의 관세를 매기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지난 5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100%로 네 배 늘리며 미국 내 제조업 지대인 ‘러스트벨트’ 공략에 나서자 이에 한술 더 떠 두 배 높은 200%의 관세율을 제시한 것이다. 한국 등 주요 동맹국에 대해서도 “미국에서 만들어야 한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던졌다.
이 같은 변화는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 경제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친다. 자동차와 반도체부터 배터리, 철강, 조선, 정보기술(IT) 제품까지 수출 시장에서 경합 중인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는 큰 틀에선 한국산의 가격 경쟁력 제고로 이어지며 수출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빅테크 규제에 나섰던 바이든 정부의 정책이 폐기되면서 미국 내 AI 투자 강화로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가치 수출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하지만 관세 인상으로 미국 내에서 비싸진 수입품 가격을 상쇄할 정도로 미국 내 생산성이 개선되지 않으면 이는 소비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소비 감소가 내수 침체로 이어지면 결과적으로 한국의 대미 수출량이 줄어들 수 있다. 미국과 함께 양대 수출시장인 중국의 생산 가동률이 낮아질 경우 한국의 대중 수출마저 악화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지난 4월 보고서에서 트럼프 관세정책이 현실화하면 한국의 총수출액은 최대 241억달러(약 33조2580억원) 줄어들 수 있다고 추산했다.
전기차 확대 정책을 폐지하고 석유와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시추를 확대해 에너지 비용을 줄인다는 트럼프 정부의 방향성에 따라선 업종별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전기차와 배터리, 태양광 등 친환경 산업은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반면 화석연료의 시추와 운송을 위한 선박과 철강, 플랜트 등 인프라 산업 등은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