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 높아진 e스포츠, SOOP 글로벌 확장 선봉장 될 것" [이주현의 로그인 e스포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채정원 SOOP e스포츠&게임콘텐츠사업 부문장 인터뷰
![채정원 숲 e스포츠&게임콘텐츠 부문장 (숲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411318.1.jpg)
새로운 시작에 나선 숲은 e스포츠를 통한 시청자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먼저 지난 3일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개막한 ‘e스포츠 월드컵(EWC)’의 국내 독점 중계권을 확보했다. 세계 최대 e스포츠 대회인 EWC는 1500여 명의 선수들이 21개 종목에 참가하며 총상금은 6000만 달러(약 830억 원)에 달한다. 특히 리그오브레전드 e스포츠 슈퍼스타 ‘페이커’ 이상혁의 소속팀인 T1이 지난 8일 중국의 톱 e스포츠(TES)와의 대결에서 승리해 우승을 차지하며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채 부문장은 “EWC 국내 중계권을 확보하는 것은 이전과 다른 새로운 도전이었다”라고 말했다. 기존 e스포츠 대회의 경우 주관사에서 만든 영상을 말 그대로 송출만 하는 방식인 반면 이번 대회는 원본 영상만 제공됐다. 국내 중계진 등을 직접 꾸려야 하는 부담이 존재했다. 하지만 이 부분이 숲에는 기회가 됐다. 그는 “중계진과 자체 제작 스튜디오 등 인프라를 갖춘 점이 이점으로 작용했다”라며 “이전에 다양한 종목의 대회를 제작해 본 경험이 한국에서 가장 많다는 점을 어필한 점이 주효했다”라고 강조했다.
![채정원 숲 e스포츠&게임콘텐츠 부문장 (숲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7411320.1.jpg)
숲은 해외에서 직접 e스포츠 콘텐츠 제작에도 뛰어들었다. 지난 4월 태국 현지 e스포츠 전문 기업 FPS 타일랜드를 인수해 생태계 확장에 나섰다. 해외 공략 시작점으로 태국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채 부문장은 “(태국의) 청년층이 e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고 인기 있는 게임이 한국과 비슷하다”라며 “또한 인구도 증가세라 큰 잠재력을 가진 시장이라고 판단했다”라고 설명했다.
끝으로 채 부문장은 e스포츠가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이고 그 과정에서 숲이 주요 플랫폼이 될 것이라는 포부를 전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가장 잘하는 e스포츠 콘텐츠를 갖고 있다”라며 “마치 우리가 해외 축구 최고의 리그인 영국 프리미어리그(EPL)를 즐겨보듯이 해외에서도 국내 e스포츠 중계에 큰 관심을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한국 e스포츠 콘텐츠의 수준이 높은 만큼 이를 글로벌로 송출하는 플랫폼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이라는 얘기다. 이어 그는 “앞으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e스포츠 관련 가치사슬(밸류체인)을 키워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주현 기자 2Ju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