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수사학회지 논문…"이원화된 처치로 현장 훼손 가능성"
변사 현장서 구급대원 안전·경찰 보존 우선…"공동매뉴얼 필요"
사망 사건·사고 현장에 출동한 구급대원과 경찰관이 각자 주안점을 두는 현장 처치가 달라 공동 대응 매뉴얼 마련이 필요하단 제언이 나왔다.

경북대 의대 수사과학대학원 소속 박주영 소방위 등은 21일 과학수사학회지 최근호에 실린 '변사사건 현장에서 구급대원과 경찰관의 현장 보존에 관한 인식도 차이' 논문에서 경북에 근무하는 구급대원과 경찰관 각 7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주장했다.

변사 현장 도착 후 가장 먼저 하는 처치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구급대원은 '현장 안전 확인'(65.3%)을 가장 많이 꼽았고 '관계 기관 연락'(13.3%), '응급 처치'(10.7%), '현장 보존'(6.7%)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경찰관은 '현장 보존'(54.9%)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현장 안전 확인'(21.1%), '의료기관 이송'(12.7%), '응급 처치'(7.0%) 등을 꼽았다.

저자들은 구급대원이 '현장 안전 확인', 경찰관이 '현장 보존'에 중점을 두는 데 대해 "각 기관의 고유한 지침과 업무적 특성이 반영돼 구급대원은 환자 중심으로, 경찰관은 수사 중심으로 업무 분담이 이뤄지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출동 시 항상 현장 촬영을 한다'는 문항에 '매우 그렇다'고 답한 경찰관 비율(87.3%)이 구급대원(37.3%)보다 배 이상 높다는 점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경찰관의 경우 '항상 현장 촬영을 한다', '관계자 등 현장 훼손 통제'에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고, 구급대원의 경우 '사망 여부 확인', '현장 진입 시 항상 마스크와 장갑 착용'에 높은 비율을 보였다.

논문 저자들은 "초기 현장 보존은 변사 사건의 범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도 "(구급대원과 경찰관 간) 이원화된 처치로 현장 훼손이 발생할 수 있어 공동 대응 매뉴얼과 행동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