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이슬' 김민기, 위암 악화로 별세…향년 73세 [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대 회화과 재직 시절 '도비두'로 데뷔
1970년 명동 '청개구리의 집'에서 아침이슬 발표
설경구 황정민 김광석 등 문화예술인 키운 '거목'
1970년 명동 '청개구리의 집'에서 아침이슬 발표
설경구 황정민 김광석 등 문화예술인 키운 '거목'
'아침 이슬'의 원작자이자 대학로 소극장의 상징 '학전'을 30여년간 운영하며 후배 예술인을 배출해 온 가수 김민기가 21일 별세했다. 향년 73세.
22일 공연예술계에 따르면 김민기는 전날 지병인 위암 증세가 악화해 세상을 떠났다.
고인은 1951년 전북 익산에서 10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경기중·고등학교를 다닐 당시 미술에 몰두했던 학생이었으나 1969년 서울대학교 회화과에 입학한 뒤 붓을 놓고 가수의 길로 접어들었다.
획일적인 수업 방식에 거부감을 드러낸 그는 1학년 1학기를 마친 뒤 고등학교 동창 김영세(이노디자인 대표)와 포크송 듀오 '도비두'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70년 명동 '청개구리의 집'에서 공연을 열었고 그를 대표하는 곡 '아침이슬'을 작곡했다.
양희은이 노래한 '아침이슬'은 대학생들의 입에서 입으로 퍼져나갔다. 1987년 민주항쟁 당시 광장에 모인 군중들이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이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저
고인의 가수 생활은 불운의 연속이었다. 1971년 발표한 데뷔 음반 '김민기'는 레코드 발매 직후 압수당했다. '꽃 피우는 아이', '늙은 군인의 노래', '상록수' 등 그의 노래들은 줄줄이 금지곡으로 지정된 것이다.
고인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봉제 공장과 탄광에서 일한 적도 있다.1977년 봉제 공장에서 일하며 작곡한 '상록수'는 공장 근로자들의 결혼식 축가로 사용됐다. 1984년에는 민중가요 노래패 '노래를 찾는 사람들'을 결성해 프로젝트 음반을 발매했다.
고인은 연극에도 활발히 참여했다. 1973년 김지하의 희곡 '금관의 예수'와 이듬해 마당극 '아구' 제작에 참여했으며, 1978년 노래극 '공장의 불빛'을 시작으로 1983년 연극 '멈춰선 저 상여는 상주도 없다더냐' 등을 연출했다.
1991년 대학로에 소극장 학전을 개관한 뒤로는 공연을 연출하며 스타들을 탄생시켰다. 그곳에서 라이브 공연으로 팬들과 호흡한 고(故) 김광석은 학전이 배출한 최고 스타였다. 윤도현, 나윤선, 정재일 등 음악가들이 이곳, 혹은 김민기를 기반으로 성장했다.
1994년 초연한 록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은 한국 뮤지컬 역사에 기념비적 작품으로 남아있다. 김민기는 독일 원작을 한국 정서에 맞게 번안해 2023년까지 8000회 이상 공연을 올리며 70만명이 넘는 관객을 모았다.
고인은 2008년 '지하철 1호선'의 4천번째 공연을 올렸을 당시를 학전 역사에서 가장 의미 있는 순간으로 꼽았다.
'학전 독수리 5형제'로 불린 설경구·김윤석·황정민·장현성·조승우를 배출하기도 했다. 재정난에 시달리면서도 뮤지컬 '의형제'(2000), '개똥이'(2006)와 '어린이극 '우리는 친구다'(2004), '고추장 떡볶이'(2008) 등을 연출하며 대학로 공연 문화를 이끌었다.
올해 3월 15일 학전이 개관 33주년 만에 문을 닫으며 마지막으로 연출한 작품은 '고추장 떡볶이'가 됐다. 그는 생전 학전을 기억하는 이들에게 "좀 더 열심히, 더 많이 뛸 수는 없었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학전을 기억해 주시는 분들에게 감사하다는 말씀을 꼭 전하고 싶다"는 소회를 밝혔다.
'의형제'로 2001년 백상예술대상 연극 부분 대상과 연출상을 받았고, '지하철 1호선'으로 한국과 독일 문화교류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독일 정부로부터 괴테 메달을 수상했다.
유족으로는 배우자 이미영 씨와 슬하 2남이 있다. 빈소는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으며 오는 24일 발인 예정이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
22일 공연예술계에 따르면 김민기는 전날 지병인 위암 증세가 악화해 세상을 떠났다.
고인은 1951년 전북 익산에서 10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경기중·고등학교를 다닐 당시 미술에 몰두했던 학생이었으나 1969년 서울대학교 회화과에 입학한 뒤 붓을 놓고 가수의 길로 접어들었다.
획일적인 수업 방식에 거부감을 드러낸 그는 1학년 1학기를 마친 뒤 고등학교 동창 김영세(이노디자인 대표)와 포크송 듀오 '도비두'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70년 명동 '청개구리의 집'에서 공연을 열었고 그를 대표하는 곡 '아침이슬'을 작곡했다.
양희은이 노래한 '아침이슬'은 대학생들의 입에서 입으로 퍼져나갔다. 1987년 민주항쟁 당시 광장에 모인 군중들이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이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저
고인의 가수 생활은 불운의 연속이었다. 1971년 발표한 데뷔 음반 '김민기'는 레코드 발매 직후 압수당했다. '꽃 피우는 아이', '늙은 군인의 노래', '상록수' 등 그의 노래들은 줄줄이 금지곡으로 지정된 것이다.
고인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봉제 공장과 탄광에서 일한 적도 있다.1977년 봉제 공장에서 일하며 작곡한 '상록수'는 공장 근로자들의 결혼식 축가로 사용됐다. 1984년에는 민중가요 노래패 '노래를 찾는 사람들'을 결성해 프로젝트 음반을 발매했다.
고인은 연극에도 활발히 참여했다. 1973년 김지하의 희곡 '금관의 예수'와 이듬해 마당극 '아구' 제작에 참여했으며, 1978년 노래극 '공장의 불빛'을 시작으로 1983년 연극 '멈춰선 저 상여는 상주도 없다더냐' 등을 연출했다.
1991년 대학로에 소극장 학전을 개관한 뒤로는 공연을 연출하며 스타들을 탄생시켰다. 그곳에서 라이브 공연으로 팬들과 호흡한 고(故) 김광석은 학전이 배출한 최고 스타였다. 윤도현, 나윤선, 정재일 등 음악가들이 이곳, 혹은 김민기를 기반으로 성장했다.
1994년 초연한 록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은 한국 뮤지컬 역사에 기념비적 작품으로 남아있다. 김민기는 독일 원작을 한국 정서에 맞게 번안해 2023년까지 8000회 이상 공연을 올리며 70만명이 넘는 관객을 모았다.
고인은 2008년 '지하철 1호선'의 4천번째 공연을 올렸을 당시를 학전 역사에서 가장 의미 있는 순간으로 꼽았다.
'학전 독수리 5형제'로 불린 설경구·김윤석·황정민·장현성·조승우를 배출하기도 했다. 재정난에 시달리면서도 뮤지컬 '의형제'(2000), '개똥이'(2006)와 '어린이극 '우리는 친구다'(2004), '고추장 떡볶이'(2008) 등을 연출하며 대학로 공연 문화를 이끌었다.
올해 3월 15일 학전이 개관 33주년 만에 문을 닫으며 마지막으로 연출한 작품은 '고추장 떡볶이'가 됐다. 그는 생전 학전을 기억하는 이들에게 "좀 더 열심히, 더 많이 뛸 수는 없었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학전을 기억해 주시는 분들에게 감사하다는 말씀을 꼭 전하고 싶다"는 소회를 밝혔다.
'의형제'로 2001년 백상예술대상 연극 부분 대상과 연출상을 받았고, '지하철 1호선'으로 한국과 독일 문화교류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독일 정부로부터 괴테 메달을 수상했다.
유족으로는 배우자 이미영 씨와 슬하 2남이 있다. 빈소는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으며 오는 24일 발인 예정이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