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비상경영체제도 '비상'…김범수 빈자리 어떻게 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카카오 쇄신 맡던 1인자 김범수 구속
CA협의체 중심 그룹 핵심과제 '경고등'
공동의장 맡는 정신아 대표 역할 주목
'불법행위 경영진' 배상책임, 김범수도?
CA협의체 중심 그룹 핵심과제 '경고등'
공동의장 맡는 정신아 대표 역할 주목
'불법행위 경영진' 배상책임, 김범수도?
카카오가 창업자 구속으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았다. 핵심 사업과 경영 쇄신 작업을 당초 계획대로 끌고 나갈 수 있을지조차 불투명한 상황이다. 그룹 컨트롤타워인 CA협의체 공동의장과 경영 쇄신 작업을 주도하던 경영쇄신위원장직을 맡았던 창업자가 구속되면서 비상경영 체제마저도 비상 상황을 맞은 셈이다.
김 위원장 구속으로 그간 그룹 차원에서 진행돼 왔던 핵심 사업과 경영쇄신 작업에 제동이 걸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힘이 실린다.
김 위원장은 구속 전인 지난 18일 임시 그룹협의회를 열고 그룹 핵심 과제를 흔들림 없이 수행할 것을 당부하면서 분위기를 다잡았다. 당시 회의도 김 위원장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라는 관측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카카오 등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은 이 자리에서 그룹 핵심 과제를 충실히 끌고가기로 뜻을 모았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엄중한 현실 인식 하에 꼭 해야 할 일들을 과감히 실행해 갈 것"이라며 "임직원들도 흔들림 없이 본업에 충실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경영쇄신 작업을 주도했던 당사자가 구속된 만큼 어떤 형태로든 상황 변화가 따를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10월 비상경영을 선언하면서 자신이 직접 CA협의체 경영쇄신위원장을 맡았다. 정 대표를 카카오벤처스 대표에서 카카오 대표로 올리고 준법경영을 위한 외부 감시기구 '준법과신뢰위원회'(준신위)를 띄운 것도 김 위원장 의중이었다.
때문에 김 위원장이 경영 전면에 나선 이래 줄곧 추진해 왔던 '선택과 집중'도 동력을 잃지 않고 이어가게 될지 관심이 쏠린다.
김 위원장은 지난 2월 CA협의체를 확대 개편해 그룹 구심력을 강화했다. 실제로 카카오는 지난달 준신위와의 워크숍에서 책임경영 기반 마련을 위해 CA협의체를 중심으로 컨트롤타워 구조를 확립하고 김 위원장 주도로 경영쇄신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카카오로선 김 위원장 구속이 창업자 개인의 신상문제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도 골칫거리다. 만약 SM엔터 시세 조종 혐의가 유죄로 판단되고 카카오 법인이 양벌규정에 따라 마찬가지로 벌금형 이상의 형이 확정된다면 카카오뱅크 대주주 자리를 내줘야 할 수도 있다. 산업자본이 인터넷은행 지분을 10% 넘게 보유하려면 최근 5년간 조세범처벌법·특정경제범죄법·공정거래법 위반 등으로 벌금형 이상을 선고받은 사실이 없어야 해서다.
준법경영 감시기구인 준신위가 창업자 구속과 관련해 별도 메시지를 낼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아직 재판이 진행 중인 상황으로 최종 결과가 나와야 메시지를 내놓을 수 있지 않겠냐는 관측이다.
김 위원장의 유죄가 확정될 경우 카카오가 배상 책임을 물을지 여부도 재판 이후 주목될 대목 중 하나다. 카카오는 앞서 준신위 워크숍을 통해 고의적인 불법행위를 한 경영진에게 배상책임을 묻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공개했다. 카카오가 불법행위를 한 경영진에게 배상책임을 묻기로 했는지, 김 위원장이 배상책임을 물을 대상에 포함되는지 등이 또 다른 논란거리가 될 수 있다.
김 위원장의 빈자리는 CA협의체와 협의체 공동의장을 맡는 정 대표를 중심으로 채워나갈 것으로 보인다. 정 대표는 카카오 대표직에 내정되면서 공동의장을 함께 맡았다. 그는 공동의장직을 맡게 될 당시 "CEO들의 위원회 참여를 통해 그룹의 의사결정 맥락 이해를 높이고, 높아진 해상도를 바탕으로 내부 통제를 강화하게 될 것"이라며 "그동안의 느슨한 자율경영 기조를 벗어나 구심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경영쇄신 등 그룹 핵심 과제 '경고등'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법 한정석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새벽 SM엔터테인먼트 시세 조종 혐의(자본시장법 위반)를 받는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전날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자정을 넘겨 "증거인멸과 도주 염려가 있다"면서 이 같이 판단했다.김 위원장 구속으로 그간 그룹 차원에서 진행돼 왔던 핵심 사업과 경영쇄신 작업에 제동이 걸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힘이 실린다.
김 위원장은 구속 전인 지난 18일 임시 그룹협의회를 열고 그룹 핵심 과제를 흔들림 없이 수행할 것을 당부하면서 분위기를 다잡았다. 당시 회의도 김 위원장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라는 관측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카카오 등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들은 이 자리에서 그룹 핵심 과제를 충실히 끌고가기로 뜻을 모았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엄중한 현실 인식 하에 꼭 해야 할 일들을 과감히 실행해 갈 것"이라며 "임직원들도 흔들림 없이 본업에 충실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경영쇄신 작업을 주도했던 당사자가 구속된 만큼 어떤 형태로든 상황 변화가 따를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10월 비상경영을 선언하면서 자신이 직접 CA협의체 경영쇄신위원장을 맡았다. 정 대표를 카카오벤처스 대표에서 카카오 대표로 올리고 준법경영을 위한 외부 감시기구 '준법과신뢰위원회'(준신위)를 띄운 것도 김 위원장 의중이었다.
때문에 김 위원장이 경영 전면에 나선 이래 줄곧 추진해 왔던 '선택과 집중'도 동력을 잃지 않고 이어가게 될지 관심이 쏠린다.
김 위원장은 지난 2월 CA협의체를 확대 개편해 그룹 구심력을 강화했다. 실제로 카카오는 지난달 준신위와의 워크숍에서 책임경영 기반 마련을 위해 CA협의체를 중심으로 컨트롤타워 구조를 확립하고 김 위원장 주도로 경영쇄신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1인자 빈자리·카뱅 지분·배상책임 등 '주목'
김 위원장 구속으로 카카오 주요 계열사들 사이에선 긴장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카카오 주요 계열사들은 바람픽처스 인수 관련 시세 조종, 카카오T 블루 콜 몰아주기, 가상화폐 횡령·배임 등 각종 의혹으로 수사를 받고 있다. 창업자 구속으로 리스크가 언제든 현실화할 수 있는 상황까지 내몰린 것이다.카카오로선 김 위원장 구속이 창업자 개인의 신상문제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도 골칫거리다. 만약 SM엔터 시세 조종 혐의가 유죄로 판단되고 카카오 법인이 양벌규정에 따라 마찬가지로 벌금형 이상의 형이 확정된다면 카카오뱅크 대주주 자리를 내줘야 할 수도 있다. 산업자본이 인터넷은행 지분을 10% 넘게 보유하려면 최근 5년간 조세범처벌법·특정경제범죄법·공정거래법 위반 등으로 벌금형 이상을 선고받은 사실이 없어야 해서다.
준법경영 감시기구인 준신위가 창업자 구속과 관련해 별도 메시지를 낼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아직 재판이 진행 중인 상황으로 최종 결과가 나와야 메시지를 내놓을 수 있지 않겠냐는 관측이다.
김 위원장의 유죄가 확정될 경우 카카오가 배상 책임을 물을지 여부도 재판 이후 주목될 대목 중 하나다. 카카오는 앞서 준신위 워크숍을 통해 고의적인 불법행위를 한 경영진에게 배상책임을 묻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공개했다. 카카오가 불법행위를 한 경영진에게 배상책임을 묻기로 했는지, 김 위원장이 배상책임을 물을 대상에 포함되는지 등이 또 다른 논란거리가 될 수 있다.
김 위원장의 빈자리는 CA협의체와 협의체 공동의장을 맡는 정 대표를 중심으로 채워나갈 것으로 보인다. 정 대표는 카카오 대표직에 내정되면서 공동의장을 함께 맡았다. 그는 공동의장직을 맡게 될 당시 "CEO들의 위원회 참여를 통해 그룹의 의사결정 맥락 이해를 높이고, 높아진 해상도를 바탕으로 내부 통제를 강화하게 될 것"이라며 "그동안의 느슨한 자율경영 기조를 벗어나 구심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