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싫어했던 기득권과 엮여서 '돌풍'의 매를 맞는 86세대 [OTT 리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드라마 ‘돌풍’은 30년 간 86세대가 쌓아 올린 부채에 집중
한국 사회 주류 86세대 기득권과 그들의 정치 문법 공격
“이 나라의 변화를 나만 할 수 있기 때문에,
나는 어떤 처벌도 받으면 안 된다고,
자기에게 관대한 사람들이 세상을,
나라를 부수고 있어!”
한국 사회 주류 86세대 기득권과 그들의 정치 문법 공격
“이 나라의 변화를 나만 할 수 있기 때문에,
나는 어떤 처벌도 받으면 안 된다고,
자기에게 관대한 사람들이 세상을,
나라를 부수고 있어!”
1994년 최영미 시인의 시집 ‘서른, 잔치는 끝났다’가 출간됐다. 시집 속에서 86세대는 ‘그러나 대체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란 말을 반복한다. 동구권 몰락과 함께 저물어버린 운동의 시대를 되돌아보며 허무를 곱씹는다. 최영미의 시집은 86세대의 혼란과 상처를 담은 ‘후일담 문학’의 정점이었다.
그후 30년, 넷플릭스 드라마 ‘돌풍’에서 86세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그려진다. 권력을 지키기 위해 살인을 서슴치 않고, 정적을 공격하려 대통령 탄핵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이용 등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적극적으로 권력을 욕망하며 고함 지르고 울부짖는다.
‘서른 잔치는 끝났다’와 ‘돌풍’은 86세대에 대한 서사라는 분모를 공유한다. 하지만 작품 속에서 그들은 당시 서른 전후에서 이제는 60세를 넘긴 나이만큼 큰 차이가 있다. ‘돌풍’은 지난 30년간 86세대가 쌓아올린 부채에 집중한다.
‘주류’ 86세대에 대한 비판
‘돌풍’은 86세대만을 비판하는 드라마는 아니다. 하지만 여기에 등장하는 재벌과 보수 정치인은 기존 문화 콘텐츠에서 묘사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돌풍의 차별화는 한국 사회의 주류가 된 86세대의 기득권과 그들의 정치 문법을 정면으로 공격하고 있다는 점이다.
드라마 전반부의 주요 악역은 시해당하는 현직 대통령이다. 인권 변호사로 정치적 기반을 다졌고, 대통령 재임 시절에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아들의 사모펀드를 불법적으로 지원하고, 이를 파헤치려든 같은당 국회의원을 살해하기도 했다. 대통령의 장례식에서 소녀 중창단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른다. 저항의 상징이었던 이 노래는 ‘돌풍’에서 처음으로 악인의 죽음을 기리는 장치로 쓰인다. 대통령의 편에서 각종 비리를 저질렀던 운동권 출신의 경제부총리는 추모사를 낭독한다. “잊지 않겠다”고 하고 “누구도 남은 가족들을 모욕하지 못하게 하겠다”며 비리 주범을 편든다. 관련 검찰 수사에 대해선 “검찰 독재 반대”라는 구호도 외친다. 이같은 모습에 시민들은 눈물 흘리며 동조한다. 드라마 후반부에선 특정 정치 세력의 요구로 집회를 기획하는 노조도 등장한다.
극적 재미를 위해 과장된 부분도 있지만 그간 86세대가 현실 정치 주류로 활동하며 보여준 모습들이 곳곳에 뒤섞여 있다. 어제의 대의와 투쟁방식으로 오늘의 권력을 쟁취하고 지키는 것이다. 드라마 같았던 그들의 실제 모습
‘서른, 잔치는 끝났다’가 출간됐을 때 꼭 만 서른살이던 김민석 의원은 2년 뒤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86세대의 정치권 진출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이는 16대에서 임종석 송영길 등이 뒤따르며 점차 확산됐고,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사태의 영향권 속에 치러진 17대 총선에서 대거 원내에 진입했다.
노무현 정부 후반기 국정 난맥에 대한 비판적 여론으로 18대에 상당수가 낙선했던 86세대 정치인들은 2009년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19대 국회에 복귀했다. 이후 국정농단 사태를 통해 집권한 문재인 정부에서 임종석(청와대 비서실장), 이인영(통일부 장관) 등이 요직을 맡았다. 올해 총선에선 개인 비리 등으로 유죄판결을 받은 조국이 창당과 국회 입성으로 위기를 돌파하고 있다. 이처럼 86세대는 2000년 이후 나타난 한국 정치사의 여러 변곡점을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활용해 왔다. 사건 자체를 본인들이 기획하지 않았다는 점은 ‘돌풍’과 다르지만, 드라마 속 주인공들처럼 현란한 순발력으로 경쟁자들의 허를 찔렀다.
기자가 2006년 열린우리당을 출입하면서 가까이서 지켜보기 시작한 86세대는 실제로 기존 정치인들과 달랐다. 당시 한나라당은 물론, 민주당 동교동계 등 기존 전치인을 압도하는 강점을 갖고 있었다. 각 사안이 기저에 깔린 모순을 꺼내고 활용해 상대를 공격·제압하는 능력이 탁월했다. 그 과정에 명분을 덧입혀 대중에게 호소허는 역량 역시 뛰어났다.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과 같은 ‘시련’이 닥쳐도 “우리가 옳기 때문에 결국 승리할 것이다”는 관념을 바탕으로 똘똘 뭉쳤다. 한국 현대사를 ‘민주와 반(反)민주’의 구도로 인식하며 보수세력에 대한 승리를 위해 기존 통념이나 규칙을 깨는 것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 박동호(설경구)와 정수진(김희애), ‘돌풍’ 속 두 주인공은 서 있는 곳이 다르지만 모두 86세대적인 인물이다.
‘대의는 간데 없고 술수만 나부껴’
돌풍의 시나리오를 쓴 박경수 작가는 1969년생으로 86세대의 일원이다. 2012년 대선에는 문재인 캠프에서 활동하며 보다 가까이서 현실 86세대 정치인을 지켜볼 기회도 가졌다. 스스로 86세대를 잘 이해는만큼 그들에 대한 비판도 거침없이 쏟아낸다. 정치권의 부패를 몰아내려는 검사출신 정치인 박동호를 통해서다.
“그들은 괴물과 싸우다 괴물이 돼 버렸습니다. 세상의 불의에는 분노하지만 자신의 불의에는 한없이 관대한 괴물!”
“전직 대통령을 성역화하는 건 살아남은 자들의 유산싸움 아닙니까.”
“세상을 더럽히는 자들보다 세상의 변화를 자기 생애에 마무리하려는 자들이 더 위험하다.”
“나만 할 수 있다고, 이 나라의 변화를 나만 할 수 있기 때문에, 나는 어떤 처벌도 받으면 안 된다고, 자기에게 관대한 사람들이 세상을, 나라를 부수고 있어!”
“공정한 나라, 정의로운 나라, 평등한 세상, 이 땅을 천국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한 자들이 세상을 지옥으로 만들었어.”
하지만 드라마의 핵심인 86세대의 모순은 운동권 출신 정치인 정수진의 입을 통해 축약된다. 드라마 중반, 자신을 비리의 사슬에 옭아맨 전대협 의장 출신인 남편을 향해 외치는 말이다. “내가, 당신이 박동호여야 했어.” 운동권에서 정치 주류로 86세대가 탈바꿈하는 지난 30년동안 처음의 지향은 실종됐다. 권력 투쟁을 위한 기법과 술수만이 앙상하게 남아 있을 뿐이다. 2016년 광장에서 그들과 함께했던 대중이 2022년 ‘운동권 정치 청산’ 슬로건에 힘을 실었던 이유고, ‘돌풍’에서 그들이 그렇게 싫어했던 기득권 세력과 같은 선상에서 비판 받는 이유다.
노경목 기자
그후 30년, 넷플릭스 드라마 ‘돌풍’에서 86세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그려진다. 권력을 지키기 위해 살인을 서슴치 않고, 정적을 공격하려 대통령 탄핵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이용 등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적극적으로 권력을 욕망하며 고함 지르고 울부짖는다.
‘서른 잔치는 끝났다’와 ‘돌풍’은 86세대에 대한 서사라는 분모를 공유한다. 하지만 작품 속에서 그들은 당시 서른 전후에서 이제는 60세를 넘긴 나이만큼 큰 차이가 있다. ‘돌풍’은 지난 30년간 86세대가 쌓아올린 부채에 집중한다.
‘주류’ 86세대에 대한 비판
‘돌풍’은 86세대만을 비판하는 드라마는 아니다. 하지만 여기에 등장하는 재벌과 보수 정치인은 기존 문화 콘텐츠에서 묘사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돌풍의 차별화는 한국 사회의 주류가 된 86세대의 기득권과 그들의 정치 문법을 정면으로 공격하고 있다는 점이다.
드라마 전반부의 주요 악역은 시해당하는 현직 대통령이다. 인권 변호사로 정치적 기반을 다졌고, 대통령 재임 시절에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아들의 사모펀드를 불법적으로 지원하고, 이를 파헤치려든 같은당 국회의원을 살해하기도 했다. 대통령의 장례식에서 소녀 중창단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른다. 저항의 상징이었던 이 노래는 ‘돌풍’에서 처음으로 악인의 죽음을 기리는 장치로 쓰인다. 대통령의 편에서 각종 비리를 저질렀던 운동권 출신의 경제부총리는 추모사를 낭독한다. “잊지 않겠다”고 하고 “누구도 남은 가족들을 모욕하지 못하게 하겠다”며 비리 주범을 편든다. 관련 검찰 수사에 대해선 “검찰 독재 반대”라는 구호도 외친다. 이같은 모습에 시민들은 눈물 흘리며 동조한다. 드라마 후반부에선 특정 정치 세력의 요구로 집회를 기획하는 노조도 등장한다.
극적 재미를 위해 과장된 부분도 있지만 그간 86세대가 현실 정치 주류로 활동하며 보여준 모습들이 곳곳에 뒤섞여 있다. 어제의 대의와 투쟁방식으로 오늘의 권력을 쟁취하고 지키는 것이다. 드라마 같았던 그들의 실제 모습
‘서른, 잔치는 끝났다’가 출간됐을 때 꼭 만 서른살이던 김민석 의원은 2년 뒤 국회의원에 당선됐다. 86세대의 정치권 진출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이는 16대에서 임종석 송영길 등이 뒤따르며 점차 확산됐고,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사태의 영향권 속에 치러진 17대 총선에서 대거 원내에 진입했다.
노무현 정부 후반기 국정 난맥에 대한 비판적 여론으로 18대에 상당수가 낙선했던 86세대 정치인들은 2009년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19대 국회에 복귀했다. 이후 국정농단 사태를 통해 집권한 문재인 정부에서 임종석(청와대 비서실장), 이인영(통일부 장관) 등이 요직을 맡았다. 올해 총선에선 개인 비리 등으로 유죄판결을 받은 조국이 창당과 국회 입성으로 위기를 돌파하고 있다. 이처럼 86세대는 2000년 이후 나타난 한국 정치사의 여러 변곡점을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활용해 왔다. 사건 자체를 본인들이 기획하지 않았다는 점은 ‘돌풍’과 다르지만, 드라마 속 주인공들처럼 현란한 순발력으로 경쟁자들의 허를 찔렀다.
기자가 2006년 열린우리당을 출입하면서 가까이서 지켜보기 시작한 86세대는 실제로 기존 정치인들과 달랐다. 당시 한나라당은 물론, 민주당 동교동계 등 기존 전치인을 압도하는 강점을 갖고 있었다. 각 사안이 기저에 깔린 모순을 꺼내고 활용해 상대를 공격·제압하는 능력이 탁월했다. 그 과정에 명분을 덧입혀 대중에게 호소허는 역량 역시 뛰어났다.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과 같은 ‘시련’이 닥쳐도 “우리가 옳기 때문에 결국 승리할 것이다”는 관념을 바탕으로 똘똘 뭉쳤다. 한국 현대사를 ‘민주와 반(反)민주’의 구도로 인식하며 보수세력에 대한 승리를 위해 기존 통념이나 규칙을 깨는 것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 박동호(설경구)와 정수진(김희애), ‘돌풍’ 속 두 주인공은 서 있는 곳이 다르지만 모두 86세대적인 인물이다.
‘대의는 간데 없고 술수만 나부껴’
돌풍의 시나리오를 쓴 박경수 작가는 1969년생으로 86세대의 일원이다. 2012년 대선에는 문재인 캠프에서 활동하며 보다 가까이서 현실 86세대 정치인을 지켜볼 기회도 가졌다. 스스로 86세대를 잘 이해는만큼 그들에 대한 비판도 거침없이 쏟아낸다. 정치권의 부패를 몰아내려는 검사출신 정치인 박동호를 통해서다.
“그들은 괴물과 싸우다 괴물이 돼 버렸습니다. 세상의 불의에는 분노하지만 자신의 불의에는 한없이 관대한 괴물!”
“전직 대통령을 성역화하는 건 살아남은 자들의 유산싸움 아닙니까.”
“세상을 더럽히는 자들보다 세상의 변화를 자기 생애에 마무리하려는 자들이 더 위험하다.”
“나만 할 수 있다고, 이 나라의 변화를 나만 할 수 있기 때문에, 나는 어떤 처벌도 받으면 안 된다고, 자기에게 관대한 사람들이 세상을, 나라를 부수고 있어!”
“공정한 나라, 정의로운 나라, 평등한 세상, 이 땅을 천국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한 자들이 세상을 지옥으로 만들었어.”
하지만 드라마의 핵심인 86세대의 모순은 운동권 출신 정치인 정수진의 입을 통해 축약된다. 드라마 중반, 자신을 비리의 사슬에 옭아맨 전대협 의장 출신인 남편을 향해 외치는 말이다. “내가, 당신이 박동호여야 했어.” 운동권에서 정치 주류로 86세대가 탈바꿈하는 지난 30년동안 처음의 지향은 실종됐다. 권력 투쟁을 위한 기법과 술수만이 앙상하게 남아 있을 뿐이다. 2016년 광장에서 그들과 함께했던 대중이 2022년 ‘운동권 정치 청산’ 슬로건에 힘을 실었던 이유고, ‘돌풍’에서 그들이 그렇게 싫어했던 기득권 세력과 같은 선상에서 비판 받는 이유다.
노경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