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들도 '떼창'…12만명 몰리더니 '대박' 났다 [현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A 도심서 '밤양갱 떼창'
서브컬처서 美 주류문화 된 K팝
서브컬처서 美 주류문화 된 K팝
“지난해 처음으로 친구를 따라 스트레이키즈 콘서트를 다녀온 이후 제 플레이리스트에는 K팝 노래만 있어요.”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컨벤션센터에서 만난 아비게일 헤네시(26) 씨는 “K팝은 미국 팝과는 달리 팬들과의 상호작용이 많아 푹 빠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사는 헤네시씨는 ‘케이콘(KCON) LA 2024’에 참석하기 위해 자신에게 처음 K팝을 소개해준 친구인 에밀리 토퍼(23) 씨와 함께 비행기로 4시간 거리의 LA에 왔다.
이들이 케이콘에 참석한 건 올해로 2년째. 3일간 열리는 행사를 모두 참석하기 위해 850달러(약 118만원) 상당의 3일권을 구입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때 K드라마를 보게 되며 K컬처에 입문한 토퍼 씨는 “K컬처에 푹 빠져 친구와 최소 2주 정도 한국 여행을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이들 뿐만이 아니다. 케이콘이 열린 크립토닷컴 아레나와 LA 컨벤션센터 일대는 좋아하는 K팝 아티스트를 보기 위해 미국 전역에서 온 팬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3일간 예상 관객 12만명 CJ ENM이 주최한 케이콘이 26일 총 3일간의 일정으로 포문을 열었다. 첫날 하루에만 4만명의 관객을 끌어모았다. 행사가 끝나는 28일까지 총 12만명이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케이콘에서는 K팝 아티스트들이 공연장에 모여 순서에 맞춰 무대를 펼치는 콘서트만 열린 게 아니다. 오전 9시30분부터 K팝 팬들의 커버 댄스 오디션 ‘드림스테이지’가 진행됐고, 10시부터는 아티스트와 팬들이 가까운 거리에서 만나는 ‘미트 앤 그리트’ 프로그램이 열렸다. 컨벤션센터 내부에 마련된 무대에서는 중간중간 아티스트들의 퍼포먼스와 토크쇼가 열렸다.
오후 6시30분 시작된 ‘엠카운트다운’은 행사의 백미였다. 두번째 무대로 제로베이스원이 무대에 오르자 관객들은 일제히 기립해 자신의 ‘최애’ 멤버 이름을 외쳤다. 가수 비비의 ‘밤양갱’ 무대 때는 관객들이 ‘달디달고 달디달고 달디단 밤양갱’이라는 어려운 발음의 한국어 가사를 ‘떼창’하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보이넥스트도어가 무대에 오르자 한 관객이 공연장이 떠내려가도록 멤버 이한의 이름을 외치기도 했다. 케이콘은 아티스트와 팬이 서로 소통하는 무대를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아티스트의 공연을 팬이 바라만 보는 일방향의 공연이 아닌 아티스트와 팬이 공연 전에도 만나고 본 공연 때는 직접 무대에 올라 함께 무대를 펼치기도 했다. 엠카운트다운의 마지막 순서를 장식한 샤이니 태민의 무대가 쌍방향 공연의 화룡점정이었다. 태민이 2017년 발매한 ‘MOVE’를 부르기 시작하자 무대 위로 40여명이 올라왔다. 모두 이날 오전 드림스테이지 오디션을 통과한 팬들이다. 인종·성별·연령도 모두 다른 이들은 태민과 함께 완벽한 군무를 선보였다
"K팝, 더이상 10대 아시아인 전유물 아냐" 올해 케이콘 공연장을 찾은 관객 중 아시아인은 약 30%에 불과했다. 케이팝은 미국에서 10대 여성 아시아인 사이에서만 인기있는 ‘서브컬처’에 불과하다는 선입견을 깨기에 충분했다. 케이콘을 보기 위해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4시간 넘게 운전해서 왔다는 레이븐 데모라(27) 씨는 “현재 간호사로 일하고 있는 병원 동료들은 성별, 인종, 나이 상관없이 케이팝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그의 동생 케이트 데모라(23) 씨도 “이번 케이콘 행사장에서 나이 많은 할머니들도 많이 만났다”며 “10대 아시아인 사이에서만 인기라는 건 옛말”이라고 말했다.
K팝이 미국의 주류문화 일부로 자리 잡은 증거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 미국 CW네트워크 방송은 마지막날인 28일 엠카운트다운 무대를 생중계한다. 미국 지상파 방송에서 K팝 관련 행사를 생중계하는 건 올해 케이콘이 처음이다. 실제 미국을 필두로 K팝과 K콘텐츠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크게 확대되고 있다. 최근 틱톡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류 제품 및 서비스 시장 규모는 760억달러(약 105조원)로 전망된다. 2030년에는 K컬처 시장이 올해 대비 88% 늘어난 1430억달러(약 200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 LA 근교 어바인에서 처음 시작한 케이콘은 12년 새 12배 가까운 규모로 확대됐다. 신형관 CJ ENM 음악콘텐츠사업본부장은 “지금은 미국인들의 삶의 방식 깊숙이 들어온 힙합은 9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언더그라운드 문화였다”며 “미국에서 12년 전 벤처 정신으로 K팝의 세계화 작업을 꾸준히 펼쳐온 결과 K컬처도 미국인들 삶에 깊숙이 들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로스앤젤레스=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컨벤션센터에서 만난 아비게일 헤네시(26) 씨는 “K팝은 미국 팝과는 달리 팬들과의 상호작용이 많아 푹 빠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사는 헤네시씨는 ‘케이콘(KCON) LA 2024’에 참석하기 위해 자신에게 처음 K팝을 소개해준 친구인 에밀리 토퍼(23) 씨와 함께 비행기로 4시간 거리의 LA에 왔다.
이들이 케이콘에 참석한 건 올해로 2년째. 3일간 열리는 행사를 모두 참석하기 위해 850달러(약 118만원) 상당의 3일권을 구입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때 K드라마를 보게 되며 K컬처에 입문한 토퍼 씨는 “K컬처에 푹 빠져 친구와 최소 2주 정도 한국 여행을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이들 뿐만이 아니다. 케이콘이 열린 크립토닷컴 아레나와 LA 컨벤션센터 일대는 좋아하는 K팝 아티스트를 보기 위해 미국 전역에서 온 팬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3일간 예상 관객 12만명 CJ ENM이 주최한 케이콘이 26일 총 3일간의 일정으로 포문을 열었다. 첫날 하루에만 4만명의 관객을 끌어모았다. 행사가 끝나는 28일까지 총 12만명이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케이콘에서는 K팝 아티스트들이 공연장에 모여 순서에 맞춰 무대를 펼치는 콘서트만 열린 게 아니다. 오전 9시30분부터 K팝 팬들의 커버 댄스 오디션 ‘드림스테이지’가 진행됐고, 10시부터는 아티스트와 팬들이 가까운 거리에서 만나는 ‘미트 앤 그리트’ 프로그램이 열렸다. 컨벤션센터 내부에 마련된 무대에서는 중간중간 아티스트들의 퍼포먼스와 토크쇼가 열렸다.
오후 6시30분 시작된 ‘엠카운트다운’은 행사의 백미였다. 두번째 무대로 제로베이스원이 무대에 오르자 관객들은 일제히 기립해 자신의 ‘최애’ 멤버 이름을 외쳤다. 가수 비비의 ‘밤양갱’ 무대 때는 관객들이 ‘달디달고 달디달고 달디단 밤양갱’이라는 어려운 발음의 한국어 가사를 ‘떼창’하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보이넥스트도어가 무대에 오르자 한 관객이 공연장이 떠내려가도록 멤버 이한의 이름을 외치기도 했다. 케이콘은 아티스트와 팬이 서로 소통하는 무대를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아티스트의 공연을 팬이 바라만 보는 일방향의 공연이 아닌 아티스트와 팬이 공연 전에도 만나고 본 공연 때는 직접 무대에 올라 함께 무대를 펼치기도 했다. 엠카운트다운의 마지막 순서를 장식한 샤이니 태민의 무대가 쌍방향 공연의 화룡점정이었다. 태민이 2017년 발매한 ‘MOVE’를 부르기 시작하자 무대 위로 40여명이 올라왔다. 모두 이날 오전 드림스테이지 오디션을 통과한 팬들이다. 인종·성별·연령도 모두 다른 이들은 태민과 함께 완벽한 군무를 선보였다
"K팝, 더이상 10대 아시아인 전유물 아냐" 올해 케이콘 공연장을 찾은 관객 중 아시아인은 약 30%에 불과했다. 케이팝은 미국에서 10대 여성 아시아인 사이에서만 인기있는 ‘서브컬처’에 불과하다는 선입견을 깨기에 충분했다. 케이콘을 보기 위해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4시간 넘게 운전해서 왔다는 레이븐 데모라(27) 씨는 “현재 간호사로 일하고 있는 병원 동료들은 성별, 인종, 나이 상관없이 케이팝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그의 동생 케이트 데모라(23) 씨도 “이번 케이콘 행사장에서 나이 많은 할머니들도 많이 만났다”며 “10대 아시아인 사이에서만 인기라는 건 옛말”이라고 말했다.
K팝이 미국의 주류문화 일부로 자리 잡은 증거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 미국 CW네트워크 방송은 마지막날인 28일 엠카운트다운 무대를 생중계한다. 미국 지상파 방송에서 K팝 관련 행사를 생중계하는 건 올해 케이콘이 처음이다. 실제 미국을 필두로 K팝과 K콘텐츠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크게 확대되고 있다. 최근 틱톡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류 제품 및 서비스 시장 규모는 760억달러(약 105조원)로 전망된다. 2030년에는 K컬처 시장이 올해 대비 88% 늘어난 1430억달러(약 200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 LA 근교 어바인에서 처음 시작한 케이콘은 12년 새 12배 가까운 규모로 확대됐다. 신형관 CJ ENM 음악콘텐츠사업본부장은 “지금은 미국인들의 삶의 방식 깊숙이 들어온 힙합은 9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언더그라운드 문화였다”며 “미국에서 12년 전 벤처 정신으로 K팝의 세계화 작업을 꾸준히 펼쳐온 결과 K컬처도 미국인들 삶에 깊숙이 들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로스앤젤레스=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