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kg' 진서연, 몸매 비결은 이것…"칼로리 태우기 최고" [건강!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배우 진서연 매일 아침 루틴 '달리기'
"다이어트 초보자에게 가장 적합한 운동"
"다이어트 초보자에게 가장 적합한 운동"
배우 진서연의 몸매 유지 비결이 공개됐다. 바로 꾸준한 '러닝'(달리기)이었다.
지난 27일 진서연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땀이 바글바글"이라는 글과 함께 사진을 올렸다. 사진 속 진서연은 러닝을 마친 후 땀으로 젖은 운동복을 입은 채 엄지손가락을 치켜들며 윙크하고 있다.
키 168cm인 진서연은 한 방송을 통해 비수기에는 53~54kg, 활동기엔 48~49kg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혀 '자기 관리 끝판왕'으로 떠올랐다.
진서연은 새벽부터 헬스장을 찾아 무동력 트레드밀을 타기도 하고, 트랙 위에서 달리기 자세를 교정하는 모습을 공개해 왔다. 그는 "아침부터 뛰면 도파민이 폭발하고 기분이 확 좋아진다"며 매일 아침 루틴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의사 김석욱 원장은 유튜브 살빼남에 출연해 "달리기는 다이어트 초보자들에게 가장 적합한 운동이 아닐까 싶다"며 "칼로리 소모량이 높은 운동이 당연히 다이어트에 좋다. 달린다는 것 자체는 아무리 느리게 달려도 심박이 높게 유지가 된다. 꾸준히 달리기만 한다면 칼로리를 상당히 많이 태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정한 시간 동안 높은 심박수를 유지하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면 신진대사량이 높아지고 장기적으로 '살이 덜 찌는' 체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원장은 "다이어트적인 면에서 코르티솔 수치가 만성적으로 높은 사람이 아니라면 공복에 유산소를 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달리기에 입문했다면 점진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좋다. 김 원장은 "처음엔 무조건 한 시간 정도는 걸어보라고 하고 싶다. 걷다 보면 어느 날 뛰고 싶을 때가 온다. 그럼 조금 뛰다가 걷기를 반복하라. 이후 조금 느리게라도 오랜 시간 뛰어보는 것을 도전해봐도 좋다"고 조언했다.
이어 "인대나 힘줄 등을 강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0~12주 정도"라며 "아주 천천히 진행하다 보면 달리기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강한 조직을 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선 '달리기 잘 못 하면 무릎 나간다'는 말이 있다. 이에 대해 김 원장은 "사실상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관절이 상할 정도로 달린다면 의지력이 대단한 사람인데, 연부조직의 손상을 유발할 정도의 고통을 감내하며 달릴 수 있는 사람은 사실상 많지 않다"고 귀띔했다.
실제로 다양한 연구에서 달리기와 같은 신체활동이 무릎 조직을 튼튼하게 만든다는 결과가 나왔다. 김희준 봄온담한의원 원장은 "달리기 초보자들의 무릎 관절 걱정은 말이 안 된다. 문제가 생기기 전에 아프다. 그 통증을 이기고 운동을 해야 골절이 되던가 할 텐데 일반인은 통증을 넘기지 못한다. 중요한 건 아프면 그만하라"고 힘주어 말했다.
하지만 이미 무릎 건강이 좋지 않은 경우는 치료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달리기는 지속적으로 충격이 가해진다. 뼈, 관절, 근육, 인대, 힘줄이 강해지기 위해서는 이런 충격이 필요하지만, 손상이 있는 경우는 다른 이야기"라고 부연했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
지난 27일 진서연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땀이 바글바글"이라는 글과 함께 사진을 올렸다. 사진 속 진서연은 러닝을 마친 후 땀으로 젖은 운동복을 입은 채 엄지손가락을 치켜들며 윙크하고 있다.
키 168cm인 진서연은 한 방송을 통해 비수기에는 53~54kg, 활동기엔 48~49kg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혀 '자기 관리 끝판왕'으로 떠올랐다.
진서연은 새벽부터 헬스장을 찾아 무동력 트레드밀을 타기도 하고, 트랙 위에서 달리기 자세를 교정하는 모습을 공개해 왔다. 그는 "아침부터 뛰면 도파민이 폭발하고 기분이 확 좋아진다"며 매일 아침 루틴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의사 김석욱 원장은 유튜브 살빼남에 출연해 "달리기는 다이어트 초보자들에게 가장 적합한 운동이 아닐까 싶다"며 "칼로리 소모량이 높은 운동이 당연히 다이어트에 좋다. 달린다는 것 자체는 아무리 느리게 달려도 심박이 높게 유지가 된다. 꾸준히 달리기만 한다면 칼로리를 상당히 많이 태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정한 시간 동안 높은 심박수를 유지하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면 신진대사량이 높아지고 장기적으로 '살이 덜 찌는' 체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원장은 "다이어트적인 면에서 코르티솔 수치가 만성적으로 높은 사람이 아니라면 공복에 유산소를 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달리기에 입문했다면 점진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좋다. 김 원장은 "처음엔 무조건 한 시간 정도는 걸어보라고 하고 싶다. 걷다 보면 어느 날 뛰고 싶을 때가 온다. 그럼 조금 뛰다가 걷기를 반복하라. 이후 조금 느리게라도 오랜 시간 뛰어보는 것을 도전해봐도 좋다"고 조언했다.
이어 "인대나 힘줄 등을 강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0~12주 정도"라며 "아주 천천히 진행하다 보면 달리기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강한 조직을 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선 '달리기 잘 못 하면 무릎 나간다'는 말이 있다. 이에 대해 김 원장은 "사실상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관절이 상할 정도로 달린다면 의지력이 대단한 사람인데, 연부조직의 손상을 유발할 정도의 고통을 감내하며 달릴 수 있는 사람은 사실상 많지 않다"고 귀띔했다.
실제로 다양한 연구에서 달리기와 같은 신체활동이 무릎 조직을 튼튼하게 만든다는 결과가 나왔다. 김희준 봄온담한의원 원장은 "달리기 초보자들의 무릎 관절 걱정은 말이 안 된다. 문제가 생기기 전에 아프다. 그 통증을 이기고 운동을 해야 골절이 되던가 할 텐데 일반인은 통증을 넘기지 못한다. 중요한 건 아프면 그만하라"고 힘주어 말했다.
하지만 이미 무릎 건강이 좋지 않은 경우는 치료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달리기는 지속적으로 충격이 가해진다. 뼈, 관절, 근육, 인대, 힘줄이 강해지기 위해서는 이런 충격이 필요하지만, 손상이 있는 경우는 다른 이야기"라고 부연했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