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4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민의힘 신임지도부 만찬에 앞서 한동훈 국민의힘 신임 대표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 사진=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4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민의힘 신임지도부 만찬에 앞서 한동훈 국민의힘 신임 대표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 사진=뉴스1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주요 당직 인선을 고심하는 가운데, 친윤(친윤석열)계 핵심인 정점식 정책위원회 의장의 교체 여부가 당내 갈등의 씨앗이 되는 모습이다. 정치권에서는 친윤계와 친한(친한동훈)계의 주도권 다툼이 일찍이 시작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국민의힘 당 대표 시절 윤석열 대통령과 갈등을 겪었던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29일 MBC 라디오 '시선집중'에 출연해 "정점식 정책위의장을 유임하느냐 마느냐 갖고 벌써 줄다리기를 시작했다"는 관전평을 내놨다.

한 대표의 지지자들이 정 의장에게 사퇴를 요구하는 가운데, 친윤계를 중심으로 당내에선 '유임' 주장도 나오는 상황을 '줄다리기'로 해석한 것이다.

이 의원은 "저는 한 일주일 정도 후에 샅바 싸움이 있을 줄 알았는데, (한 대표 임기) 시작과 동시에 된 것 같다"며 "한동훈 대표가 참교육이 되고 있다"고 비꼬았다.

이어 '정책위의장'은 임명직이라는 점을 짚으며 "(정 의장이) 사의 표명 안 해도 그냥 (한 대표가) 임명해버리면 땡"이라며 정 의장이 사퇴하지 않고 버티는 것은 "참 특이하게 초반 기 싸움을 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실제로 '친윤계'와 '친한계'는 정책위의장 임기와 임면권에 대해 서로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다. 친한계는 당헌·당규상 정책위의장의 임면권이 대표에게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친윤계는 정책위의장의 임기가 1년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친윤계'로 분류되는 김재원 최고위원은 이날 SBS 라디오 '뉴스쇼'에 출연해 "(대표가) 당직 임면권이 있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당직에 대해서 임면권 있는지를 규정하고 있지 않다"며 "임기 있는 당직에 대해서는 어떠한지에 대해서는 함부로 얘기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 의장 교체와 관련 "상임 전국위원회에 가서 당헌을 해석하는 게 맞지 않나"라고 말했다 .

그는 "정책위의장은 원래는 선출직이었는데 이걸 지명직으로 바꾼 그 과정에 문제가 있고 그다음에 이것도 그냥 한 사람이 임명하는 것이 아니고 원내대표와 협의하고 의원총회의 추인을 받게 해뒀다"며 "다른 당직과 다르니까 차제에 명확하게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라고 덧붙였다.

반면, 정광재 전 한동훈 캠프 대변인은 "정책위의장에 대한 임면권은 당 대표가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KBS 라디오 '전격시사'와 인터뷰에서 "2021년 당헌·당규 개정 이후 다섯 분의 정책위의장이 있었는데, 모두 지도 체제가 바뀔 때마다 사의를 표하고 이후 재신임을 받거나 새로운 인물로 교체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책위의장의 임기 1년을 보장한다는 것은 사실 무의미한 규정"이라며 "정당에 새로운 지도부가 들어서면, 임명직 당직자들은 사의를 표해왔던 게 관행"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경남 통영·고성의 3선 의원인 정 의장은 검사 출신으로 윤석열 대통령과 가까운 대표적 친윤 인사로 꼽힌다. 한 대표 입장에서는 정책위 의장을 친한(친한동훈)계로 교체해야 최고위원회 구성원 9명 중 지명직 최고위원을 포함한 5명을 '우군'으로 확보하게 된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