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부외과 전공의 12명 남았다…"이대로가면 심장 수술 불가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가까운 미래 심장·폐암 수술 불가할 수 있어"
의대정원 증원 갈등의 여파로 전국 수련병원에서 수련을 이어가는 흉부외과 전공의가 12명밖에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계는 상황이 바뀌지 않는다면 가까운 미래에 심장·폐암 수술은 불가능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가 29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의정 갈등 전 전국 107명이던 흉부외과 전공의 수는 현재 12명으로 크게 줄었다. 나머지 95명 중 75명은 사직 처리됐고 20명은 보류 상태로 사직 처리를 기다리고 있다.
복귀해 근무 중인 전공의는 1년차 3명, 2년차 2명, 3년차 1명, 4년차 6명 등 12명이다. 이로써 내년에 배출 가능한 전문의 수는 최대 6명이며 동시에 상황이 바뀌지 않는다면 흉부외과 전공의 수가 한자리에 불과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보면 흉부외과 전공의 12명은 대전·충남에 5명, 서울과 경북·대구에 각각 2명이 수련하고 있다. 경기·인천, 경남·부산·울산, 전남·광주 등 세 지역에선 각각 1명이 남았다. 강원·충북·전북·제주에는 한명도 없다. 의정 갈등 전 수도권 흉부외과 전공의 수는 총 79명이었다.
학회는 신규 전문의 배출과 이를 통한 지역의료 활성화는 이미 붕괴됐다고 진단했다. 지역의 권역심혈관센터나 응급의료센터도 작동할 수 없게 됐으며 향후 몇 년간 전공의 사직의 파장은 매우 클 것이라 보고 있다. 흉부외과의 경우 이미 오랫동안 전문의의 희생을 바탕으로 전문의 중심 의료체계가 확립돼있긴 하나 신규 전문의가 배출되지 않으면 이마저도 지속하기는 어렵다.
학회 측은 "수술 등 진료가 당분간은 유지될 수 있으나 신입 전문의 투입 불가로 그 지속 시간은 길지 않을 것이다. 전공의 12명으로는 연간 2만 건이 넘는 심장 수술과 폐암 수술을 완수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학회는 상급종합병원의 구조를 전문의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는 정부의 방침도 비판하고 있다. 학회는 "신입 전문의 배출 없이 전문의 중심병원은 불가능하므로 전공의들이 다시 꿈을 꾸고 환자 옆에 있을 수 있는 여건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 이 상황을 방치하면 미래의 심장병·폐암 환자들의 희생을 막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가 29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의정 갈등 전 전국 107명이던 흉부외과 전공의 수는 현재 12명으로 크게 줄었다. 나머지 95명 중 75명은 사직 처리됐고 20명은 보류 상태로 사직 처리를 기다리고 있다.
복귀해 근무 중인 전공의는 1년차 3명, 2년차 2명, 3년차 1명, 4년차 6명 등 12명이다. 이로써 내년에 배출 가능한 전문의 수는 최대 6명이며 동시에 상황이 바뀌지 않는다면 흉부외과 전공의 수가 한자리에 불과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보면 흉부외과 전공의 12명은 대전·충남에 5명, 서울과 경북·대구에 각각 2명이 수련하고 있다. 경기·인천, 경남·부산·울산, 전남·광주 등 세 지역에선 각각 1명이 남았다. 강원·충북·전북·제주에는 한명도 없다. 의정 갈등 전 수도권 흉부외과 전공의 수는 총 79명이었다.
학회는 신규 전문의 배출과 이를 통한 지역의료 활성화는 이미 붕괴됐다고 진단했다. 지역의 권역심혈관센터나 응급의료센터도 작동할 수 없게 됐으며 향후 몇 년간 전공의 사직의 파장은 매우 클 것이라 보고 있다. 흉부외과의 경우 이미 오랫동안 전문의의 희생을 바탕으로 전문의 중심 의료체계가 확립돼있긴 하나 신규 전문의가 배출되지 않으면 이마저도 지속하기는 어렵다.
학회 측은 "수술 등 진료가 당분간은 유지될 수 있으나 신입 전문의 투입 불가로 그 지속 시간은 길지 않을 것이다. 전공의 12명으로는 연간 2만 건이 넘는 심장 수술과 폐암 수술을 완수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학회는 상급종합병원의 구조를 전문의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는 정부의 방침도 비판하고 있다. 학회는 "신입 전문의 배출 없이 전문의 중심병원은 불가능하므로 전공의들이 다시 꿈을 꾸고 환자 옆에 있을 수 있는 여건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 이 상황을 방치하면 미래의 심장병·폐암 환자들의 희생을 막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