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메프' 미정산 위험 커지고 있었는데"…금융당국도 '책임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 국회 정무위 긴급 현안질의

30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금감원은 2022년 6월 티몬·위메프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위메프의 경우 누적 적자를 지속적으로 줄여 2023년 중 흑자 전환을 목표로 하겠다는 내용을 담아 경영개선계획서를 금감원에 냈다. 하지만 지난해 영업적자 1025억원을 기록했고, 완전자본잠식을 벗어나지 못했다.
전자금융감독규정 63조에 따르면 티몬·위메프 등 전자금융업자는 총자산 대비 최소 40% 이상의 유동성을 확보해야 한다. 금감원은 전자금융거래법 감독규정에 따라 티몬·위메프와 같은 이커머스의 건전성과 유동성 비율을 감독할 수 있다. 하지만 규제를 준수하라고 강제하진 못하고 MOU 체결 형식으로 지도만 할 수 있다.
금감원은 지난해 12월29일 다시 티몬·위메프와 경영지도비율 개선을 위한 경영개선협약을 맺었다. 2022년 6월 체결한 1차 경영개선협약에 따른 계획이 종료되자 2차 협약을 체결한 것.
금감원은 2차 협약에서 티몬·위메프에 "미상환·미정산 잔액에 대해 신탁, 보증보험 등을 통해 보호조치를 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라는 사업자의 노력의무를 추가했다. 판매대금 등에 대한 티몬·위메프의 미상환·미정산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금감원이 사전에 인지한 것으로 보이는 대목이다.
이 의원은 "MOU 내용을 보면 미정산 잔액과 관련한 보호조치를 요구할 수도 있고 경영계획을 지키지 않으면 전자금융업 등록 말소를 유도하는 내용도 있다"며 "금감원에서 충분히 사전에 체크했더라면 이렇게까지 심각한 사태가 되진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창민 사회민주당 의원도 "경영개선조치에 대해 MOU를 맺어 놓고도 사후관리가 전혀 안 돼 있다"며 "MOU는 그냥 종이 쪼가리냐"라고 질타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