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타기 편해지려나"…LG전자, 충전인프라 확대 '시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G전자·서울시, 업무협약 체결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주력
교통약자 맞춤형 충전기도 구축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주력
교통약자 맞춤형 충전기도 구축

LG전자는 30일 서울시와 '이용하기 편리한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이 자리엔 우종진 LG전자 BS연구소장, 여장권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 등이 참석한다.
LG전자는 넥씽 등 충전사업자(CPO)에 △급속(200·100kW)·완속(7kW) 충전기 △로봇 충전 솔루션을 공급한다. 서울시는 전기차 충전기가 필요한 공간을 찾고 행정적 지원을 제공한다.
LG전자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건물, 공원, 주차장 등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를 교체하거나 추가 공급하는 방식으로 2026년까지 급속충전기 50대 이상을 설치한다. 복지센터를 중심으로 두산로보틱스와 공동 개발한 로봇 충전 솔루션을 10대 이상 설치해 교통약자도 편리하게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인프라를 갖출 계획이다.
LG전자는 또 클라우드 기반 관제 플랫폼 '이센트릭'을 통해 충전 현황 등 충전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지난해 말부터는 평일 주간 시간대에만 제공하던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간을 평일 야간과 주말로 확대해 운영 중이다.
LG전자는 국내·외 다양한 파트너십을 활용해 전기차 충전 솔루션 사업을 계속해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지난달엔 북미 1위 충전사업자인 차지포인트와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차지포인트는 미국과 캐나다 전역에 전기차 충전소를 운영하고 있다. 유럽 16개국과 인도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전기차 충전 사업을 진행 중이다.
서흥규 LG전자 EV충전사업담당은 "차별화된 품질의 충전기와 관제 플랫폼이 결합된 최적의 충전 솔루션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수요를 공략해 신뢰할 수 있는 ‘충전 솔루션 사업자’로서 입지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