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마가리타빌 리조트 타임스퀘어 홈페이지
사진=마가리타빌 리조트 타임스퀘어 홈페이지
국내 금융사들이 메자닌(중순위) 대출에 참여한 미국 뉴욕 맨해튼 소재 호텔이 헐값에 넘어가면서 관련 펀드에 투자했다 원금 손실을 입은 국내 투자자들이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소송전에 나선 투자자들은 같은 투자대상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펀드에 투자했음에도 가입한 금융사에 따라 배상받는 비율이 달라진다는 점에 항의하고 나섰다.

30일 한경닷컴 취재에 따르면 2019년 KB증권 자산관리(WM)조직에서 가입한 펀드를 통해 미 뉴욕 맨해튼 소재 고급호텔 '마가리타빌 리조트 타임스퀘어'에 투자한 개인·법인 투자자들은 집단 소송을 준비 중이다. 소송을 위해 모인 개인·법인 투자자는 총 15곳으로 이들 투자 원금은 약 114억원이다.

소송에 앞서 투자자들은 이달 초 법무법인을 통해 KB증권 측에 사적 화해를 촉구하는 내용증명을 보냈다. 사적 화해는 금융 분쟁이 발생할 경우 금융사와 투자자 간 소송으로 가지 않고 상호 합의를 통해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하는 조치다.

마가리타빌 리조트 타임스퀘어에 투자한 펀드 관련 국내 투자자 원금은 전액 손실이 난 상태다. 이 곳은 연면적 1만5793㎡ 규모의 32층 호텔이다. 미 부동산 개발사인 소호 프로퍼티가 약 4억4000만달러(약 6090억원)를 들여 고급 호텔로 지었지만, 2020년 코로나19 여파로 실적이 꺾였다. 이후 2021년 9월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빠지면서 경매에 넘겨졌고, 호텔은 당초 투자 금액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1억5000만달러(약 2070억원)에 매각됐다. 변제 순서가 중순위 대출보다 앞선 선순위 채권단조차 투자금 회수가 쉽지 않은 상황이 됐다.

이 때문에 해당 호텔 중순위 채권에 투자한 국내 투자자들로선 원금 회수가 사실상 불가능해진 셈이다. 앞서 2019년 하나증권·은행은 마가리타빌 리조트의 중순위 대출에 약 970억원을 투자한 뒤 그해 글로벌원자산운용을 통해 펀드를 설정했다. 이후 KB증권과 손해보험사 등 기관 4곳에 재매각(셀다운)했다. 당초 KB증권에 셀다운 된 금액은 369억원으로 파악됐다.

투자자들이 판매사 책임을 주장하고 나서면서 하나증권·은행은 사적 화해를 통해 손실액 대부분을 돌려주기로 결정했다.

하나증권·은행은 올 상반기 투자자들과의 사적화해를 결정하고 투자원금의 90%를 돌려줬다. 2019년의 라임자산운용 펀드 환매 중단 사태 관련해서도 당국이 손실액의 최대 80% 배상을 인정한 점을 감안하면, 90% 배상 결정은 이례적 수치다.

하나증권이 높은 배상비율의 사적 화해를 단행하면서 일각에선 실제 불건전 영업행위 소지가 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나증권은 이에 대해 "투자자 보호를 위해 선제적 조치에 나섰다"는 입장이다. 현행 자본시장법은 투자자가 입은 손실의 전부나 일부를 금융사가 사후에 보전해 주는 것을 막고 있다. 다만 위법행위 여부가 모호한 때는 예외다. 회사가 사적 화해 일환으로 손실을 배상할 수 있도록 했다.

하나증권의 대응이 알려지자 KB증권에서 관련 펀드에 가입한 투자자들 반발이 거셌다. 손실이 가시화된 지난해 4월 이미 KB증권은 개인·법인 투자자들로부터 미상환 원금의 30%를 선지급하는 대신 민원 등을 제기하지 못하게 하는 가지급금 동의서를 받아냈다. 같은 투자대상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펀드에 투자했음에도 판매사별로 배상비율이 천차만별일 수 있냐는 불만이 커진 것이다.

투자자들이 KB증권 측에 원하는 것은 배상 비율 재조정이다. "사실상 상품구조가 동일하므로 하나증권·은행이 단행한 90% 비율을 고려해 기존 30%에서 배상비율을 확대해줘야 한다"는 게 이들 입장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KB증권 측은 최근 금융감독원과 면담을 갖고 배상비율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소송을 준비 중인 투자자들로부터 민원이 집중 제기된 데 따른 조치다.

금감원은 지난달 초 KB증권을 불러 하나증권과 은행의 사례를 들면서 배상비율 재조정 의향 등을 물었다. KB증권 관계자는 "하나증권의 90%는 드문 배상비율이어서 당황스러운 상황"이라며 "다만 투자자 보호 등 차원에서 배상 비율을 기존 30%에서 확대하는 등 사적 화해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와 보험사, 자산운용사 등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는 '대체 투자'라는 명목으로 2016년 이후 빠르게 증가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달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57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북미 지역이 34조8000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미국의 상업용 부동산 시장 호황으로 자산 가격이 이미 크게 오른 시점에 투자한 금융사는 줄줄이 손실을 봤다. 금융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5조1000억원 중 2조4100억원(6.85%) 규모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도 집계됐다. 기한이익상실은 이자·원금 미지급 등 사유로 인해 채권자가 대출을 만기 전에 회수할 수 있게 되는 상태를 뜻한다.

최근 금감원은 해외부동산 사모펀드 관련해 민원이 계류 중인 회사들을 위주로 사안 파악에 나선 상황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발생한 상업용 부동산 가격 급락으로 애초 6~7%의 수익률을 목표로 했던 펀드들은 현시점에선 원금 손실 위기에 처한 상태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