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칼럼] '미국 대선 리스크'에 출렁이는 주식 시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지난달 본 칼럼을 통해 “하반기 자본시장의 주요 변수는 미국 대선”이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실제로 최근 미국 대선 관련 불확실성이 주식 시장을 강타하고 있다.
지난 6월 상황을 돌이켜 보자. 당시 바이든과 트럼프 양 진영에서 발표하는 정책으로 테마가 형성되고 표심을 위한 대중국 견제 수위는 점차 높아지고 있었다. 그러던 중 6월 27일 대선 TV 토론에서 바이든이 참패해 민주당원들의 대선 후보 교체 요구가 강해졌다. ‘바이든’으로는 트럼프를 이길 수 없다는 민주당의 위기 의식이 퍼지고 있는 사이, 지난달 13일 트럼프의 유세 현장 피격 사건으로 대선 분위기는 트럼프 우세로 극단적으로 기울었다. 거의 확실히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는 분위기가 되면서 바이든의 사퇴설이 강화됐다. 그리고 일주일이 지난 7월 21일 바이든 대통령은 대선 후보 전격 사퇴 발표를 했고, 현 부통령인 카멜라 해리스를 새 후보로 내세우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불과 한달이 채 안 돼 벌어진 일이다. 미국이라는 거대 국가에서 발생한 일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초유의 사건이 벌어진 것이다. 이 과정 속에서 주식 시장은 큰 변화를 겪으며 앞으로의 불확실성에 우려하고 있다.
대선 TV 토론 후 트럼프 우세론 속 일본과 대만 주가지수는 신고가를 경신했다. 국채 수익률은 상승하고 친환경 섹터 주가는 하락, 전통 산업주들은 상승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미국 대통령 TV 토론을 봤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신속히 종식하겠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을 러시아는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기자회견을 했다. 젤렌스키 역시 블룸버그 인터뷰를 통해 “트럼프를 만나 제안을 들을 준비가 됐다”고 전했다. 이후 일주일간 시장의 수급이 이동하는 흐름을 보이더니 총격 사건 이후에는 극단적으로 트럼프 정책 주도로 바뀌게 되었다. 트럼프는 공화당 대통령 후보 수락 연설에서 ‘파괴적인 인플레이션 위기를 즉각 끝내고 금리 인하’, ‘우크라이나 전쟁, 아시아 지역의 무력 충돌 위기 등 모든 지정학 국제 위기 종식’, ‘중국산 자동차에 100 ~200% 관세 부과’, ‘ 석유·천연 가스 등 화석 에너지 시추 재개’ 등의 계획을 발표했다. 더불어 ‘대만의 방어 비용 지불’, ‘해외 기업의 미국 보조금 지급 문제 제기’, ‘IRA의 전기차, 친환경 산업 보조금으로 정부 재정 낭비’ 등을 제기하며 바이든 정책으로 인한 기존 경제 흐름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정책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트럼프의 정책 제기는 시장 흐름의 근본적인 우려와 함께 각 섹터별 수급 분위기를 급변하게 하고 있다. 가장 치명적인 피해를 입고 있는 섹터는 친환경 섹터인 전기차, 이차전지, 태양력, 풍력 등이다. 우리나라는 이차전지 기업들의 주가가 고점으로부터 폭락한 상황이었지만 이번 이벤트로 인해 추가로 급락하여 신저가가 속출하고 있다. 반도체 섹터 역시 올해 가장 좋은 주가 흐름이었지만, 대만을 비롯한 미국 이외의 반도체 기업에 대한 보조금의 부정적인 시각, 중국 견제를 위한 우방 국가의 반도체 수출 통제 등으로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다. 반면, 방위산업 관련 기업들이나 전쟁 종식 이후를 고려한 재건 사업 관련 기업, 전통 내연 기관 자동차 기업과 은행의 주가는 상대적으로 견조하거나 상승하고 있다.
당장은 섹터별 수급 흐름이 바뀌고 있지만, 아직은 대선까지 3개월이 남아 있다. 시장의 수급은 향후 정책 변화 가능성에 사전적 위험관리 리밸런싱이라고 볼 수 있다. 어찌 보면 ‘예행연습’과 같다. 정책으로 인한 섹터별 수급 흐름보다 더 중요한 것은 금리와 환율 방향의 불확실성이다. 시장은 향후 연준의 금리 인하 경로에 대해 우려를 하고 있다. 소위 경기 둔화가 아닌 물가 둔화로 인한 자연적 또는 보험적 금리 인하라면 호재로 인식할 것이다. 하지만, 경기 지표가 악화되는 과정에서 금리 인하가 진행된다면 물가 지표 하락, 금리 인하 속에서도 시장은 하락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염려 속에서 복병을 만난 것이다.
트럼프의 주요 정책은 ‘관세 인상 + 감세 + 약달러를 통한 자국 기업 이익 우선’이다. ‘인플레이션 위기를 끝내고 금리인하를 하겠다’고는 하지만, 관세 인상은 미국내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 감세 정책은 정부 재정 악화를 야기할 것이며 그로 이한 국채 발행은 국채수익률을 끌어 올려 달러 강세를 이끌 수 있다.
결국 트럼프의 계획은 서로 상충된 개념을 갖고 있다. 관세를 올리지만 물가를 낮추려면 내수 시장에서의 뭔가 새로운 긴축 정책이 필요하다. 문제는 그러다 보면 경기가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감세 정책으로 부족한 재정은 IRA 보조금의 감축이나 해외에서 방위비 분담금을 더 받아내 충당하려고 하지만 그 역시 만만치 않다. 금리 인하를 추진한다고 하지만, 경기 연착륙 속에 금리 인하를 성공적으로 해내려면 국채 발행을 줄여야 하며 물가 상승을 자극하지 않아야 한다. 시장은 “이러한 난제를 ‘상충’ 없이 할 수 있을까?”라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
물론 민주당이 집권한다고 해도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인플레 문제와 경기 둔화, 지정학 리스크 등이 무난히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아마 민주당은 이들 문제를 점진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정책을 펼 것이다. 반면 트럼프는 과거 행적으로 판단했을 때 다소 빠르고 강압적 해소 정책을 펼 가능성이 높다. 이는 불확실성을 확대한다.
미국 대선은 11월 5일이다. 아직 꽤 시간이 있다. 그럼에도 미국 대선 영향으로 하반기 주식 시장은 상반기에 있었던 추세적 상승 흐름을 끝내고 변동성을 겪으며 등락하는 어려운 시장이 될 수 있다. 시장도 방향성이 없고, 섹터도 주도 섹터 및 주도 종목이 명확하지 않는 기간을 거쳐야만 한다. 대선 후 시장 역시 불확실성이 크다. 하반기 시장 대응은 상반기에 비해 매우 보수적인 대응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박병창 교보증권 이사
지난달 본 칼럼을 통해 “하반기 자본시장의 주요 변수는 미국 대선”이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실제로 최근 미국 대선 관련 불확실성이 주식 시장을 강타하고 있다.
지난 6월 상황을 돌이켜 보자. 당시 바이든과 트럼프 양 진영에서 발표하는 정책으로 테마가 형성되고 표심을 위한 대중국 견제 수위는 점차 높아지고 있었다. 그러던 중 6월 27일 대선 TV 토론에서 바이든이 참패해 민주당원들의 대선 후보 교체 요구가 강해졌다. ‘바이든’으로는 트럼프를 이길 수 없다는 민주당의 위기 의식이 퍼지고 있는 사이, 지난달 13일 트럼프의 유세 현장 피격 사건으로 대선 분위기는 트럼프 우세로 극단적으로 기울었다. 거의 확실히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는 분위기가 되면서 바이든의 사퇴설이 강화됐다. 그리고 일주일이 지난 7월 21일 바이든 대통령은 대선 후보 전격 사퇴 발표를 했고, 현 부통령인 카멜라 해리스를 새 후보로 내세우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불과 한달이 채 안 돼 벌어진 일이다. 미국이라는 거대 국가에서 발생한 일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초유의 사건이 벌어진 것이다. 이 과정 속에서 주식 시장은 큰 변화를 겪으며 앞으로의 불확실성에 우려하고 있다.
대선 TV 토론 후 트럼프 우세론 속 일본과 대만 주가지수는 신고가를 경신했다. 국채 수익률은 상승하고 친환경 섹터 주가는 하락, 전통 산업주들은 상승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미국 대통령 TV 토론을 봤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신속히 종식하겠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을 러시아는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기자회견을 했다. 젤렌스키 역시 블룸버그 인터뷰를 통해 “트럼프를 만나 제안을 들을 준비가 됐다”고 전했다. 이후 일주일간 시장의 수급이 이동하는 흐름을 보이더니 총격 사건 이후에는 극단적으로 트럼프 정책 주도로 바뀌게 되었다. 트럼프는 공화당 대통령 후보 수락 연설에서 ‘파괴적인 인플레이션 위기를 즉각 끝내고 금리 인하’, ‘우크라이나 전쟁, 아시아 지역의 무력 충돌 위기 등 모든 지정학 국제 위기 종식’, ‘중국산 자동차에 100 ~200% 관세 부과’, ‘ 석유·천연 가스 등 화석 에너지 시추 재개’ 등의 계획을 발표했다. 더불어 ‘대만의 방어 비용 지불’, ‘해외 기업의 미국 보조금 지급 문제 제기’, ‘IRA의 전기차, 친환경 산업 보조금으로 정부 재정 낭비’ 등을 제기하며 바이든 정책으로 인한 기존 경제 흐름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정책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트럼프의 정책 제기는 시장 흐름의 근본적인 우려와 함께 각 섹터별 수급 분위기를 급변하게 하고 있다. 가장 치명적인 피해를 입고 있는 섹터는 친환경 섹터인 전기차, 이차전지, 태양력, 풍력 등이다. 우리나라는 이차전지 기업들의 주가가 고점으로부터 폭락한 상황이었지만 이번 이벤트로 인해 추가로 급락하여 신저가가 속출하고 있다. 반도체 섹터 역시 올해 가장 좋은 주가 흐름이었지만, 대만을 비롯한 미국 이외의 반도체 기업에 대한 보조금의 부정적인 시각, 중국 견제를 위한 우방 국가의 반도체 수출 통제 등으로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다. 반면, 방위산업 관련 기업들이나 전쟁 종식 이후를 고려한 재건 사업 관련 기업, 전통 내연 기관 자동차 기업과 은행의 주가는 상대적으로 견조하거나 상승하고 있다.
당장은 섹터별 수급 흐름이 바뀌고 있지만, 아직은 대선까지 3개월이 남아 있다. 시장의 수급은 향후 정책 변화 가능성에 사전적 위험관리 리밸런싱이라고 볼 수 있다. 어찌 보면 ‘예행연습’과 같다. 정책으로 인한 섹터별 수급 흐름보다 더 중요한 것은 금리와 환율 방향의 불확실성이다. 시장은 향후 연준의 금리 인하 경로에 대해 우려를 하고 있다. 소위 경기 둔화가 아닌 물가 둔화로 인한 자연적 또는 보험적 금리 인하라면 호재로 인식할 것이다. 하지만, 경기 지표가 악화되는 과정에서 금리 인하가 진행된다면 물가 지표 하락, 금리 인하 속에서도 시장은 하락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염려 속에서 복병을 만난 것이다.
트럼프의 주요 정책은 ‘관세 인상 + 감세 + 약달러를 통한 자국 기업 이익 우선’이다. ‘인플레이션 위기를 끝내고 금리인하를 하겠다’고는 하지만, 관세 인상은 미국내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 감세 정책은 정부 재정 악화를 야기할 것이며 그로 이한 국채 발행은 국채수익률을 끌어 올려 달러 강세를 이끌 수 있다.
결국 트럼프의 계획은 서로 상충된 개념을 갖고 있다. 관세를 올리지만 물가를 낮추려면 내수 시장에서의 뭔가 새로운 긴축 정책이 필요하다. 문제는 그러다 보면 경기가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감세 정책으로 부족한 재정은 IRA 보조금의 감축이나 해외에서 방위비 분담금을 더 받아내 충당하려고 하지만 그 역시 만만치 않다. 금리 인하를 추진한다고 하지만, 경기 연착륙 속에 금리 인하를 성공적으로 해내려면 국채 발행을 줄여야 하며 물가 상승을 자극하지 않아야 한다. 시장은 “이러한 난제를 ‘상충’ 없이 할 수 있을까?”라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
물론 민주당이 집권한다고 해도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인플레 문제와 경기 둔화, 지정학 리스크 등이 무난히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아마 민주당은 이들 문제를 점진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정책을 펼 것이다. 반면 트럼프는 과거 행적으로 판단했을 때 다소 빠르고 강압적 해소 정책을 펼 가능성이 높다. 이는 불확실성을 확대한다.
미국 대선은 11월 5일이다. 아직 꽤 시간이 있다. 그럼에도 미국 대선 영향으로 하반기 주식 시장은 상반기에 있었던 추세적 상승 흐름을 끝내고 변동성을 겪으며 등락하는 어려운 시장이 될 수 있다. 시장도 방향성이 없고, 섹터도 주도 섹터 및 주도 종목이 명확하지 않는 기간을 거쳐야만 한다. 대선 후 시장 역시 불확실성이 크다. 하반기 시장 대응은 상반기에 비해 매우 보수적인 대응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