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에 피벗까지…美 우량 회사채 발행 1조弗 넘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채금리 年3%대로…조달 유리
변동성 커지기 전 현금 확보 나서
투자자도 "수익률 높을때 사자"
변동성 커지기 전 현금 확보 나서
투자자도 "수익률 높을때 사자"
미국 회사채 발행 시장이 불붙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피벗(통화정책 전환) 전에 조금이라도 고수익을 챙기려는 투자 수요와 오는 11월 대선 불확실성을 피해 미리 여유 자금을 확보하려는 기업들의 이해관계가 맞물리면서다. 올 들어 발행된 우량 회사채만 1조달러를 돌파하는 등 4년 만에 발행 시장이 활황장을 펼치고 있다.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 들어 이날까지 발행된 미국 우량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 규모는 1조달러를 넘었다. 지난달에만 총 1189억달러어치 회사채가 발행됐는데, 월간 단위 기준으로 7년 만의 최대치였다.
올해보다 더 이른 시기에 회사채 발행 규모가 1조달러를 돌파한 건 2020년 5월이 유일했다. 당시엔 코로나19 확산으로 주저앉은 경기를 끌어올리기 위해 Fed가 기준금리를 긴급하게 연 0%대로 낮춘 직후였다. 지난 5일 미국 경기 침체 우려와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등으로 세계 증시가 폭락한 ‘블랙먼데이’ 이후에도 상당수 기업이 회사채 발행을 타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회사채 발행 속도가 빨라지고 규모가 커진 건 무엇보다 풍부한 투자 수요 덕분이다. 올 하반기 Fed의 금리 인하폭이 확대할 수 있다는 전망이 확산하면서 투자자는 수익률이 높을 때 회사채 시장에 뛰어들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기업 재무 담당자들 역시 11월 대선을 전후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 미리 현금을 확보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투자 수요가 충분하다 보니 웬만한 신용도만 갖춘 기업이면 회사채 발행에 큰 어려움이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최근 미국 국채 금리가 떨어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싸게 자금 조달이 가능해졌다. 기업으로선 조달 시간과 비용을 함께 단축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이날 기준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올 2월 이후 최저 수준인 연 3%대 후반에서, 5년 만기는 연 3%대 중후반에서 움직였다. 불과 두 달 전만 해도 연 4%대 중후반 수준이었다.
바클레이스는 “미국 국채 금리가 심리적 주요 저항선인 연 4%(10년 만기 기준) 밑으로 떨어지면서 변동성과 무관하게 기업 재무 담당자들이 자금 조달을 원하고 있다”며 “조달 비용 측면에서도 2022년 초 이후 가장 매력적인 환경”이라고 설명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 들어 이날까지 발행된 미국 우량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 규모는 1조달러를 넘었다. 지난달에만 총 1189억달러어치 회사채가 발행됐는데, 월간 단위 기준으로 7년 만의 최대치였다.
올해보다 더 이른 시기에 회사채 발행 규모가 1조달러를 돌파한 건 2020년 5월이 유일했다. 당시엔 코로나19 확산으로 주저앉은 경기를 끌어올리기 위해 Fed가 기준금리를 긴급하게 연 0%대로 낮춘 직후였다. 지난 5일 미국 경기 침체 우려와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등으로 세계 증시가 폭락한 ‘블랙먼데이’ 이후에도 상당수 기업이 회사채 발행을 타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회사채 발행 속도가 빨라지고 규모가 커진 건 무엇보다 풍부한 투자 수요 덕분이다. 올 하반기 Fed의 금리 인하폭이 확대할 수 있다는 전망이 확산하면서 투자자는 수익률이 높을 때 회사채 시장에 뛰어들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기업 재무 담당자들 역시 11월 대선을 전후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 미리 현금을 확보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투자 수요가 충분하다 보니 웬만한 신용도만 갖춘 기업이면 회사채 발행에 큰 어려움이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최근 미국 국채 금리가 떨어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싸게 자금 조달이 가능해졌다. 기업으로선 조달 시간과 비용을 함께 단축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이날 기준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올 2월 이후 최저 수준인 연 3%대 후반에서, 5년 만기는 연 3%대 중후반에서 움직였다. 불과 두 달 전만 해도 연 4%대 중후반 수준이었다.
바클레이스는 “미국 국채 금리가 심리적 주요 저항선인 연 4%(10년 만기 기준) 밑으로 떨어지면서 변동성과 무관하게 기업 재무 담당자들이 자금 조달을 원하고 있다”며 “조달 비용 측면에서도 2022년 초 이후 가장 매력적인 환경”이라고 설명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