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전설' 김우진도…포상금으로 서울 중심지 집 못 산다 [집코노미-핫!부동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번째 金 김우진, 단순 계산시 포상금 11억원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12억원
8·8대책 내놓은 정부, 전문가들 "집값 안정엔 역부족"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12억원
8·8대책 내놓은 정부, 전문가들 "집값 안정엔 역부족"
2024 파리올림픽 3관왕에 오른 양궁 김우진이 10억원이 넘는 포상금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포상금으로도 강남3구(서초·송파·강남구) 등 서울 주요 주요지역에선 집 한 채를 마련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서울 평균 집값은 12억원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청주시는 '직장운동경기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에 따라 김우진에게 포상금 3000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충북체육회도 '전문체육유공자 포상금 지급 규정'에 따라 포상금 2000만원을 전달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도 포상금을 준비 중으로 규모는 직전 대회인 도쿄올림픽과 비슷할 것으로 전해진다. 도쿄 대회 당시 금메달 6300만원, 은메달 3500만원, 동메달 25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했다. 단체전의 경우 개인전 포상금의 75%를 지급했는데 금메달은 4725만원, 은메달은 2625만원, 동메달은 1875만원이다.
김우진은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지급하는 체육 연금도 받는다. 이미 4년 전 연금 상한 점수 110점을 넘어섰던 그는 금메달 3개분에 대한 연금액을 일시불로 받는다. 연금 상한 점수로 김우진의 연금을 계산하면 2억2950만원을 수령한다.
연금 상한 점수 110점을 넘은 선수가 올림픽 금메달(연금 점수 90점)을 획득하면 10점당 500만원씩 4500만원을 받는다. 가산점도 있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은 이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경우 50%의 가산점을 주고 같은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 이상 딴 경우 20%를 연금 점수에 가산해준다.
앞서 2016 리우올림픽과 2020 도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김우진은 이번 대회에서 개인전과 단체전, 혼성전에서 금메달을 따며 3관왕을 달성했다. 이번 대회 연금 점수 270점(1억3500만원)을 추가한 김우진은 가산점(전 대회 금메달 가산점 50%+이번 대회 3관왕 가산점 20%)으로 189점을 추가해 가산점으로만 9450만원을 더했다.
대한양궁협회 회장사인 현대자동차그룹이 주는 포상금도 기대해볼 만하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도쿄올림픽 당시 금메달 기준 개인전 3억원, 단체전 2억원의 포상금을 전달했다. 지난해만큼 현대차에서 포상금을 준다면 김우진은 7억원의 포상금을 수여한다. 단순 계산 시 김우진이 받을 포상금과 연금은 총 11억3700만원이다. 다만 이 금액으로 최근 서울 집값 상승을 이끈 강남3구,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서울 주요 지역에선 집 한 채도 마련하기 어렵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달 기준 12억1387만원이다. 2022년 금리가 급증한 이후 계속 조정됐던 서울 집값은 지난해 5월 11억8404만원까지 내려가기도 했지만, 다시 반등하기 시작해 올해 들어선 다시 12억원을 넘어섰다.
서울 집값은 20주 연속 상승 중이다. 강남 3구와 마·용·성 등을 중심으로 한 집값 상승세는 주변 지역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실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 거래와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고 집값이 오르는 것을 느낀 집주인들이 호가를 올리고 있지만 이를 받아들이고 매수하는 실수요자들이 나오고 있다.
집값이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자 정부는 '8·8 부동산 대책'을 내놨다. 주택공급을 위해 서울 그린벨트를 해제했고, 재건축·재개발 도시정비사업의 속도를 높여 공급을 늘리겠다고 했지만, 시장은 미지근한 반응이다.
정부가 발표한 '국민 주거 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 따르면 서울과 서울 인근의 그린벨트를 활용해 주택공급을 추진한다. 오는 11월 5만가구 규모 신규 택지를 발표하는데 여기에 서울지역 1만 가구 이상이 포함할 방침이다. 내년에는 수도권 3만가구 규모를 발표한다.
대규모 주택 공급을 위해 서울 그린벨트를 해제하는 것은 이명박 정부인 2012년 이후 12년 만이다. 다만 그린벨트를 해제하고 후보지를 발표한 이후 공공주택지구 지정, 지구계획 수립, 토지 보상 등을 거쳐 실제 입주까지는 통상 8~10년이 걸린다. 당장 집값을 잡기는 어렵단 얘기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물량을 공급, 시장 안정 효과를 얻을 수 있느냐가 관건인데 이를 통해 강남 집값을 안정시키고 이런 효과를 서울 전역으로 확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 "그렇다면 굳이 서울 그린벨트를 해제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공급 확대를 위해 재건축·재개발 지원책도 내놨다. △1주택 원조합원 취득세 40% 감면 △최대 용적률 법적 상한 추가 허용 △용적률 완화에 따라 의무 공급하는 임대주택 비율 하향 △임대주택 인수가격 현행 대비 1.4배 상향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 폐지 등이다. 재초환 폐지는 국회 논의가 필요하고, 나머지 지원책들도 사업성 개선에 큰 도움은 주지 못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재건축·재개발 촉진법 제정과 도시정비법 개정안 및 시행령 개정 등 9월 본격 진행할 관련 법안의 국회 법 개정 속도에 따라 정책 현실화에 변수가 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당장 집값을 잡기엔 역부족이란 설명이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이번 대책은 집값 상승을 이끄는 강남권, 마용성 지역의 신축 위주 시장을 대체할 수 있는 물량을 공급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 "결국 실질적으로 얼마나 공급이 되는지 등이 시장에서 확인돼야 집값이 안정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청주시는 '직장운동경기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에 따라 김우진에게 포상금 3000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충북체육회도 '전문체육유공자 포상금 지급 규정'에 따라 포상금 2000만원을 전달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도 포상금을 준비 중으로 규모는 직전 대회인 도쿄올림픽과 비슷할 것으로 전해진다. 도쿄 대회 당시 금메달 6300만원, 은메달 3500만원, 동메달 25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했다. 단체전의 경우 개인전 포상금의 75%를 지급했는데 금메달은 4725만원, 은메달은 2625만원, 동메달은 1875만원이다.
김우진은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지급하는 체육 연금도 받는다. 이미 4년 전 연금 상한 점수 110점을 넘어섰던 그는 금메달 3개분에 대한 연금액을 일시불로 받는다. 연금 상한 점수로 김우진의 연금을 계산하면 2억2950만원을 수령한다.
연금 상한 점수 110점을 넘은 선수가 올림픽 금메달(연금 점수 90점)을 획득하면 10점당 500만원씩 4500만원을 받는다. 가산점도 있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은 이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경우 50%의 가산점을 주고 같은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 이상 딴 경우 20%를 연금 점수에 가산해준다.
앞서 2016 리우올림픽과 2020 도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김우진은 이번 대회에서 개인전과 단체전, 혼성전에서 금메달을 따며 3관왕을 달성했다. 이번 대회 연금 점수 270점(1억3500만원)을 추가한 김우진은 가산점(전 대회 금메달 가산점 50%+이번 대회 3관왕 가산점 20%)으로 189점을 추가해 가산점으로만 9450만원을 더했다.
대한양궁협회 회장사인 현대자동차그룹이 주는 포상금도 기대해볼 만하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도쿄올림픽 당시 금메달 기준 개인전 3억원, 단체전 2억원의 포상금을 전달했다. 지난해만큼 현대차에서 포상금을 준다면 김우진은 7억원의 포상금을 수여한다. 단순 계산 시 김우진이 받을 포상금과 연금은 총 11억3700만원이다. 다만 이 금액으로 최근 서울 집값 상승을 이끈 강남3구,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서울 주요 지역에선 집 한 채도 마련하기 어렵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달 기준 12억1387만원이다. 2022년 금리가 급증한 이후 계속 조정됐던 서울 집값은 지난해 5월 11억8404만원까지 내려가기도 했지만, 다시 반등하기 시작해 올해 들어선 다시 12억원을 넘어섰다.
서울 집값은 20주 연속 상승 중이다. 강남 3구와 마·용·성 등을 중심으로 한 집값 상승세는 주변 지역으로 퍼져나가고 있다. 실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 거래와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고 집값이 오르는 것을 느낀 집주인들이 호가를 올리고 있지만 이를 받아들이고 매수하는 실수요자들이 나오고 있다.
집값이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자 정부는 '8·8 부동산 대책'을 내놨다. 주택공급을 위해 서울 그린벨트를 해제했고, 재건축·재개발 도시정비사업의 속도를 높여 공급을 늘리겠다고 했지만, 시장은 미지근한 반응이다.
정부가 발표한 '국민 주거 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 따르면 서울과 서울 인근의 그린벨트를 활용해 주택공급을 추진한다. 오는 11월 5만가구 규모 신규 택지를 발표하는데 여기에 서울지역 1만 가구 이상이 포함할 방침이다. 내년에는 수도권 3만가구 규모를 발표한다.
대규모 주택 공급을 위해 서울 그린벨트를 해제하는 것은 이명박 정부인 2012년 이후 12년 만이다. 다만 그린벨트를 해제하고 후보지를 발표한 이후 공공주택지구 지정, 지구계획 수립, 토지 보상 등을 거쳐 실제 입주까지는 통상 8~10년이 걸린다. 당장 집값을 잡기는 어렵단 얘기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물량을 공급, 시장 안정 효과를 얻을 수 있느냐가 관건인데 이를 통해 강남 집값을 안정시키고 이런 효과를 서울 전역으로 확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 "그렇다면 굳이 서울 그린벨트를 해제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공급 확대를 위해 재건축·재개발 지원책도 내놨다. △1주택 원조합원 취득세 40% 감면 △최대 용적률 법적 상한 추가 허용 △용적률 완화에 따라 의무 공급하는 임대주택 비율 하향 △임대주택 인수가격 현행 대비 1.4배 상향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 폐지 등이다. 재초환 폐지는 국회 논의가 필요하고, 나머지 지원책들도 사업성 개선에 큰 도움은 주지 못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재건축·재개발 촉진법 제정과 도시정비법 개정안 및 시행령 개정 등 9월 본격 진행할 관련 법안의 국회 법 개정 속도에 따라 정책 현실화에 변수가 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당장 집값을 잡기엔 역부족이란 설명이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이번 대책은 집값 상승을 이끄는 강남권, 마용성 지역의 신축 위주 시장을 대체할 수 있는 물량을 공급한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 "결국 실질적으로 얼마나 공급이 되는지 등이 시장에서 확인돼야 집값이 안정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