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박정민처럼 카메라 앞에 앉았다. 류덕환이 묻는다 "넌 왜 살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 성동구 앤더슨씨에서
NONFUNGIBLE : 대체불가 전시 도전
'배우들의 저작권'에 대한 질문 던져
NONFUNGIBLE : 대체불가 전시 도전
'배우들의 저작권'에 대한 질문 던져
![지난 9일 서울 성동구에서 'NONFUNGIBLE : 대체불가' 전시를 연 배우 류덕환과의 인터뷰.](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01.37674055.1.jpg)
3년 전, 집 소파에 앉아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화면을 뒤적이던 류덕환은 스스로에게 이런 질문을 했다. 분명 자신이 나온 드라마와 영화인데, 정작 '소유한' 작품은 없다는 걸 깨달으면서다. 그리곤 배우의 저작권에 대한 고민을 시작했다. '타인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 직업인 배우들이 '자기 작품'을 만들거나, 가지기 어렵다는 결핍에 대해 함께 논의하고자 했다.
그렇게 류덕환의 전시 프로젝트 '에틱'이 시작됐다. 2년 동안의 준비를 끝낸 류덕환의 첫 번째 전시가 지난 2월 열렸다. 관객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그로부터 6개월이 지난 8월, 그는 또 한번의 전시 기회를 얻었다. 서울 성동구 앤더슨씨에서 'NONFUNGIBLE : 대체불가'를 열고 관객을 기다리는 배우이자 연출가, 류덕환을 만났다.
류덕환에게 '에틱'의 시발점에 대해 물었다. 그는 "나는 연기하는 배우이지만, 누군가 '너의 영화를 어디서 봐야 하냐'고 물으면 내가 꺼내 보여줄 수 없다는 아이러니가 있었다"며 "연기를 잠시 쉬는 동안 미술과 음악을 하는 아티스트들을 만나면서 이런 결핍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류덕환이 연출을 맡은 전시 'NONFUNGIBLE : 대체불가'에 참여한 배우 류승룡, 천우희, 지창욱, 박정민.](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01.37697227.1.jpg)
류덕환에게 왜 이 4인방을 섭외했는가에 대해 질문하자 그는 "친해서"라는 다소 단순한 답변을 내놨다. "나와 친하다는 게 가장 중요한 포인트다"라고 다시 한 번 강조한 그는 "관객과 독대하는 느낌을 내기 위해 격식 없는 반말 연출을 의도했다"며 "평소 잘 아는 사람들을 섭외하면 준비한 질문이 소진되거나 혹여 인터뷰가 다른 길로 새더라도 자연스럽게 다른 이야기를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집안 숟가락 개수'까지 속속들이 다 알고 있는 친구들이지만, 류덕환은 촬영을 하며 네 명의 배우에게 수도 없이 놀랐다고 한다. "솔직해서 오히려 걱정됐을 정도"라며 웃어보인 그는 "한시간 반의 인터뷰를 하는 동안 배우들이 소통의 창구가 필요했다는 걸 깨달았다"며 "본인의 이야기를 쏟아내는 모습을 보며 배우들이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고민과 고충이 있다는 사실에 공감도 됐다"고 말했다.
인터뷰 영상의 내용은 이런 식이다.
류덕환 : "너가 이 영상으로 사람들한테 하고 싶은 말이 뭐야? "
박정민 : "배우가 멋져 보여도 결국 다 똑같은 인간이라는 거지. 일반 대중이나 관객이 TV를 통해 바라보는 배우의 인생은 세상 달콤하잖아, 내 안에 썩은 걸 볼 수 없으니까. 사람들이 '저 배우도 똑같이 살아가고 있구나' 생각하면 좋겠다. 쉽지 않겠지?"
![지난 9일 서울 성동구에서 'NONFUNGIBLE : 대체불가' 전시를 연 배우 류덕환과의 인터뷰.](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01.37674062.1.jpg)
류덕환은 "관객 인터뷰를 통해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를 모르고 산다는 걸 알게 됐다"고 했다. 그리곤 "인간은 스스로를 모르는 것을 참기 힘들어하지만, 그건 절대 창피한 것이 아니다"라며 "타인이 좋아할 걸 찾다 보니 나를 챙길 시간이 없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가 이번 전시에 관객 인터뷰를 마련한 것도 '잠시라도 나를 바라볼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다. 그는 "일부러 쉬운 질문 대신 '살면서 절대 안 받아볼 것 같은 질문'만 넣었다"며 "모두 한번쯤은 단 1분이라도 그런 시간이 있으면 좋지 않겠나"고 했다.
이어 류덕환은 "2월 첫 전시를 해보니 일반인들은 인터뷰를 하기 싫어할 줄 알았는데, 아니었더라"며 "1500편의 인터뷰를 모두 봤는데,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대답 대신 노래를 하거나, 말을 않는 사람들도 있었다"며 "하지만 '최근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 언제인가'라는 질문에 1분 내내 울다 '없다'는 한 마디를 뱉고 사라진 관객의 영상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모든 관객은 인터뷰 이후 자신의 영상을 가지고 돌아갈 수 있다. 자신이 담긴 영상물의 소유자가 되는 것이다. 모든 관객에게 영상을 선물하는 번거로움을 택한 이유를 묻자 류덕환은 "미디어 전시인데, 미디어를 가지고 돌아가야 하지 않나"고 했다.
![지난 9일 서울 성동구에서 'NONFUNGIBLE : 대체불가' 전시를 연 배우 류덕환과의 인터뷰.](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01.37674045.1.jpg)
인터뷰를 끝내며 류덕환에게 '앞으로 배우 류덕환으로, 연출가 류덕환으로 보여주고 싶은 모습이 있다면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어떤 어려운 질문에도 거침없이 답하던 그는 처음으로 입을 꾹 닫은 채 오래 생각했다. 1분 가까운 시간 동안 홀로 먼 곳을 바라보며 고민한 그가 내놓은 대답은 "대중으로 하여금 류덕환이 자기 직업을 사랑한다는 걸 느끼도록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어 그는 "연출가로서의 나는 뛰어난 것을 만들고 싶거나, 돈을 잘 버는 게 목표가 아니다"라며 "이런 기획을 하는 이유는 오직 배우라는 직업을 사랑하기 때문에 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류덕환의 특별한 전시는 8월 25일까지 이어진다.
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