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만원짜리 책장 주문 취소했더니…"눈뜨고 코 베였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비자원 구제신청 2524건…3년 새 79.3%↑
"온라인 가구 반품비, 구매가보다 높은 경우도"
"온라인 가구 반품비, 구매가보다 높은 경우도"

#온라인에서 2만원대 접이식 테이블을 산 B씨는 실제 배송된 제품이 구매 당시 판매사이트에서 본 것과 크기가 달라 반품을 요구했다. 하지만 판매업자는 "고객의 단순 변심에 의한 반품"이라며 반품비를 청구했다.
이처럼 온라인으로 가구를 구입하는 소비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과도한 반품비 청구 등 관련 소비자 분쟁도 함께 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신청 건수는 2021년 623건에서 2022년 697건, 지난해 785건, 올해 상반기 419건으로 매년 늘었다.
신청 이유로는 가구 품질 관련 불만이 1297건(51.4%)으로 전체 신청 건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과도한 반품비 청구 등 청약 철회 관련 분쟁이 521건(20.6%)으로 뒤를 이었다.
소비자원이 제품 구입가와 반품비가 확인되는 149건을 분석한 결과, 반품비로 구입가의 절반을 넘게 청구한 경우가 30건(20.1%)에 달했다. 이 중에는 제품 가격보다 높은 금액을 청구한 사례도 4건 있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소파·의자 관련 분쟁이 654건(26.1%)으로 가장 많았고 침대(매트리스 포함) 543건(21.6%), 책상·테이블 455건(18.1%) 등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은 "가구는 다른 공산품에 비해 부피가 크고 무거워 반품할 때 반품비 분쟁이 많다"며 "구입 전 반품 요건과 반품비, 반품 방법 등을 미리 확인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소비자원은 온라인으로 가구를 구입하는 소비자에게 구입 전 판매 사이트의 제품 규격과 배송비용, 반품 요건 등 거래조건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색상이나 내부 구성 등 의심되는 부분은 판매자에게 사전에 연락해 확인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