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사진=뉴스1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쉬었다'는 청년층(15~29세)이 7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중 75%는 일하기를 원치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 청년층(15~29세) 가운데 '쉬었음' 인구는 전년 동월 대비 4만2000명 늘어난 44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팬데믹 때를 넘어서며 같은 달 기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수준이다.

쉬었음은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 막연히 쉬고 싶은 상태에 있는 이들을 가리킨다.

7월 쉬었음 청년은 2013~2017년 20만명대였으나 2018년 30만명을 넘어섰다.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 44만1000명까지 증가했다가 2022년 36만1000명으로 줄더니, 지난해(40만2000명)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인다.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도 청년층 쉬었음 수가 많아 우려가 제기된다. 지난달 40대 쉬었음 인구는 28만4000명으로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적었고, 30대도 28만8000명으로 나타났다. 50대는 39만4000명을 기록했다.

청년층 인구는 줄어드는데 쉬는 청년은 늘면서 그 비중 또한 역대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청년층 인구 815만명 가운데 쉬었음 청년이 차지하는 비중은 5.4%으로 7월 기준 가장 많았다. 이 비중은 2019년 4.1%에서 팬데믹으로 2020년 5.0%로 늘었다가 2022년 4.2%까지 줄었으나, 작년(4.8%)부터 늘더니 올해 다시 5%대로 진입했다.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MD)에 따르면 쉬었음 청년 중 일하기를 원했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한 이들은 33만5000명에 달했다. 75.6%가 구직 의사가 없었다는 뜻이다. 취업을 원했던 쉬었음 청년 가운데 구직 활동을 안 한 이유는 '원하는 임금 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42.9%)가 가장 많았다. 이어 '이전에 찾아보았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에'(18.7%), '교육·기술 경험이 부족해서'(13.4%), '근처에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11.1%) 순이었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