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살 걸 그랬네"…'이 동네' 집값 순식간에 3억 뛰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서울 집값, 전주 대비 상승 폭 줄여…다만 22주 연속 올라
전셋값 강세 지속…"전세 수요 꾸준한데…물건 태부족"
서울 집값, 전주 대비 상승 폭 줄여…다만 22주 연속 올라
전셋값 강세 지속…"전세 수요 꾸준한데…물건 태부족"
![강남 3구 (강남·서초·송파구) 아파트단지 전경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ZN.37508839.1.jpg)
2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달 셋째 주(19일) 기준 서울 집값은 0.28% 올랐다. 전주(0.32%)보다 다소 상승 폭이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오름세는 유지하고 있다. 서울 집값은 22주 연속 상승 중이다.
강남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뛰고 있다. 서초구(0.59%)는 반포동과 잠원동 한강변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가 계속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반포동에 있는 ‘반포힐스테이트’ 전용면적 155㎡는 지난 2일 48억원에 손바뀜해 직전 거래(47억원)보다 1억원 더 올랐다. 잠원동에 있는 ‘신반포자이’ 전용 84㎡도 지난 3일 35억원에 거래돼 지난 5월 거래된 32억원보다 3억원이 뛰었다.
!["그때 살 걸 그랬네"…'이 동네' 집값 순식간에 3억 뛰었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01.37766386.1.png)
강남구(0.39%)는 압구정동과 개포동에서 가격이 뛰었다. 압구정동 ‘미성2차’ 전용 74㎡는 지난 7일 30억원에 팔려 지난 6월 거래된 27억5000만원보다 2억5000만원이 상승했다. 개포동 ‘개포우성3차’ 전용 104㎡는 지난 15일 24억8000만원에 매매 계약이 체결돼 직전 거래(7월, 24억5000만원)보다 3000만원이 더 올랐다.
이 밖에 성동구(0.57%)는 금호동과 행당동 역세권 대단지에서, 마포구(0.37%)는 아현동과 염리동 신축단지를 중심으로, 동작구(0.34%)는 노량진과 상도동 중소형 단지 위주로, 광진구(0.31%)는 광장동과 자양동 학군지 우수 단지 위주로 가격이 상승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초구와 강남구를 중심으로 상승 거래가 나오고 있다"며 "마포구나 용산구 등 강북권에 있는 인기 지역은 호가가 오르면서 관망하는 분위기가 퍼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송파구 부동산중개업소에 전세를 비롯한 매물 안내문이 붙여있다. 사진=뉴스1](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ZN.37672082.1.jpg)
성동구(0.39%)는 옥수동과 성수동2가에 있는 단지 중심으로, 강남구(0.31%)는 개포동과 역삼동에 있는 선호 단지에서, 광진구(0.3%)는 구의동과 광장동 학군지를 중심으로 전셋값이 상승했다. 노원구(0.23%), 강서구(0.23%), 동대문구(0.22%) 등 다른 자치구 역시 전셋값이 뛰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 전반적으로 전세 물건이 부족한 상황이 이어지면서 중소형 면적대를 중심으로 전세 문의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며 "역세권, 학군지, 대단지 등 실수요자들이 선호하는 단지를 중심으로 전·월세 수요가 몰리고 있고 이에 가격도 오르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