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척에 소방서 있는데 7명 사망…부천호텔 피해 왜 컸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스프링클러 등 방재설비 미비…에어매트·사다리차도 효과 못봐
19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부천 호텔 화재사건과 관련, 소방 인력이 신속하게 현장에 도착했지만 대규모 인명피해를 막지 못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3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이번 화재는 지난 22일 오후 7시34분께 경기도 부천시 중동의 9층짜리 호텔에서 발생했다.
평소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 한복판에서 불이 나자 오후 7시 39분부터 20여건의 화재 신고가 잇따라 119에 접수됐다.
마침 호텔에서 1.2km와 2.1km 떨어진 곳에 부천 서부119안전센터와 부천소방서가 각각 있어 소방 선착대는 신고 접수 4분 만인 오후 7시 43분에 도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소방세력의 신속한 출동에도 불구하고 인명피해는 사망 7명, 부상 12명 등 19명에 달했다.
자고 있다가 대피를 못하는 심야시간대가 아니라 비교적 이른 저녁시간대 발생한 화재이고, 초기에 화재 경보까지 울린 점을 고려하면 막대한 인명피해라고 볼 수 있다.
◇ 준공 20년 된 호텔, 방재 설비 취약
소방 당국은 인명피해가 커진 원인 중 하나로 호텔 측의 취약한 화재 설비를 꼽았다.
우선 2004년 준공된 이 호텔에는 객실에 스프링클러가 없었다.
2018년 스프링클러 설치기준 개정에 따라 6층 이상의 호텔·여관에 전층 설치 의무가 적용됐으나 이전에 지어진 건물에는 소급 적용되지는 않았다.
부천시 관계자는 "불이 난 호텔은 준공 시점 기준을 적용받아 스프링클러 의무 설치 대상이 아니었다"며 "그 이후 리모델링이나 운영도 변경 등 사정이 있어도 준공 시점에 기준이 적용되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말했다.
◇ 피난계단이 발화지점 옆…대피 어려워
피난계단이 발화지점인 810호(7층) 옆에 위치한 점도 인명피해를 키우는 하나의 원인이 됐다.
당시 투숙객들이 화재 경보를 듣고 대피에 나섰지만 발화지점인 810호 객실 문이 열려 있는 탓에 화염과 연기가 급속하게 퍼졌고 이때문에 신속한 대피도 어려웠다.
특히 건물 양쪽에 있는 피난계단 중 1곳이 810호 옆에 있다 보니 7∼8층 투숙객 상당수는 계단을 통해 1층이나 옥상으로 가기 어려웠다.
사망자 7명은 모두 7∼8층 투숙객인 것으로 조사됐다.
조선호 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은 "불이 난 객실의 문을 닫고 나왔으면 괜찮은데 문을 열고 나오면서 연기가 급격하게 확산됐다"며 "폐쇄회로(CC)TV 영상을 보면 복도에 연기가 차는데 이곳 특징상 복도가 좁고 열 축적이 많아 투숙객들이 대피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에어매트 도움 안되고…사다리차 사용 못해
구조작업 당시 여러 가지 여건이 좋지 않았던 점도 인명피해를 키웠다.
소방 당국은 현장 도착 5분 만인 오후 7시 48분 에어매트를 설치했지만 매트로 뛰어내린 남녀 2명이 모두 숨졌다.
먼저 뛰어내린 여성이 매트 가운데가 아닌 모서리 쪽으로 떨어지면서 매트가 뒤집어지는 바람에 보호막 역할을 하지 못했다.
구조 현장에서는 고가 사다리차도 사용하지 못했다.
호텔 주변에 지정 주차구역과 불법주차 차량들이 있어 7.5m 폭의 사다리차를 배치해 사다리를 위로 올리기 쉽지 않았고, 에어매트를 펴는 게 더욱 용이할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 전문가들 "노후 건물도 스프링클러 설치 필요"
전문가들은 20년 전 지어진 호텔 건물의 내장재나 외장재도 불에 잘 타지 않는 불연재가 아닌 가연물이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건축법에 따라 (최근 짓는 건물은) 내장재나 건물 외벽을 불연재료로 시공하게 하는데 오래된 건물이다 보니 가연물이 많았고 유독가스도 급속도로 퍼진 것으로 보인다"며 "복도도 최근 기준을 적용받지 않다 보니 좁아 투숙객들이 피난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오래된 건물이다 보니 스프링클러도 설치돼 있지 않았는데 법 개정 이전 건물에도 의무 설치 규정을 소급 적용할 필요가 있다"며 "병원이나 노인시설 등 피난 약자가 있는 곳에 보통 소급 적용이 돼 있는데 건물 구조에 익숙하지 않은 숙박업소 투숙자도 피난 약자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화 규정이 적용되기 전에 지어진 건물 현황을 파악하고 점검해 안전조치를 할 수 있게 하겠다"며 "사고 위험도가 높은 건축물 현황을 파악해 추후 유사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3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이번 화재는 지난 22일 오후 7시34분께 경기도 부천시 중동의 9층짜리 호텔에서 발생했다.
평소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 한복판에서 불이 나자 오후 7시 39분부터 20여건의 화재 신고가 잇따라 119에 접수됐다.
마침 호텔에서 1.2km와 2.1km 떨어진 곳에 부천 서부119안전센터와 부천소방서가 각각 있어 소방 선착대는 신고 접수 4분 만인 오후 7시 43분에 도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소방세력의 신속한 출동에도 불구하고 인명피해는 사망 7명, 부상 12명 등 19명에 달했다.
자고 있다가 대피를 못하는 심야시간대가 아니라 비교적 이른 저녁시간대 발생한 화재이고, 초기에 화재 경보까지 울린 점을 고려하면 막대한 인명피해라고 볼 수 있다.
◇ 준공 20년 된 호텔, 방재 설비 취약
소방 당국은 인명피해가 커진 원인 중 하나로 호텔 측의 취약한 화재 설비를 꼽았다.
우선 2004년 준공된 이 호텔에는 객실에 스프링클러가 없었다.
2018년 스프링클러 설치기준 개정에 따라 6층 이상의 호텔·여관에 전층 설치 의무가 적용됐으나 이전에 지어진 건물에는 소급 적용되지는 않았다.
부천시 관계자는 "불이 난 호텔은 준공 시점 기준을 적용받아 스프링클러 의무 설치 대상이 아니었다"며 "그 이후 리모델링이나 운영도 변경 등 사정이 있어도 준공 시점에 기준이 적용되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말했다.
◇ 피난계단이 발화지점 옆…대피 어려워
피난계단이 발화지점인 810호(7층) 옆에 위치한 점도 인명피해를 키우는 하나의 원인이 됐다.
당시 투숙객들이 화재 경보를 듣고 대피에 나섰지만 발화지점인 810호 객실 문이 열려 있는 탓에 화염과 연기가 급속하게 퍼졌고 이때문에 신속한 대피도 어려웠다.
특히 건물 양쪽에 있는 피난계단 중 1곳이 810호 옆에 있다 보니 7∼8층 투숙객 상당수는 계단을 통해 1층이나 옥상으로 가기 어려웠다.
사망자 7명은 모두 7∼8층 투숙객인 것으로 조사됐다.
조선호 경기도소방재난본부장은 "불이 난 객실의 문을 닫고 나왔으면 괜찮은데 문을 열고 나오면서 연기가 급격하게 확산됐다"며 "폐쇄회로(CC)TV 영상을 보면 복도에 연기가 차는데 이곳 특징상 복도가 좁고 열 축적이 많아 투숙객들이 대피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에어매트 도움 안되고…사다리차 사용 못해
구조작업 당시 여러 가지 여건이 좋지 않았던 점도 인명피해를 키웠다.
소방 당국은 현장 도착 5분 만인 오후 7시 48분 에어매트를 설치했지만 매트로 뛰어내린 남녀 2명이 모두 숨졌다.
먼저 뛰어내린 여성이 매트 가운데가 아닌 모서리 쪽으로 떨어지면서 매트가 뒤집어지는 바람에 보호막 역할을 하지 못했다.
구조 현장에서는 고가 사다리차도 사용하지 못했다.
호텔 주변에 지정 주차구역과 불법주차 차량들이 있어 7.5m 폭의 사다리차를 배치해 사다리를 위로 올리기 쉽지 않았고, 에어매트를 펴는 게 더욱 용이할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 전문가들 "노후 건물도 스프링클러 설치 필요"
전문가들은 20년 전 지어진 호텔 건물의 내장재나 외장재도 불에 잘 타지 않는 불연재가 아닌 가연물이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건축법에 따라 (최근 짓는 건물은) 내장재나 건물 외벽을 불연재료로 시공하게 하는데 오래된 건물이다 보니 가연물이 많았고 유독가스도 급속도로 퍼진 것으로 보인다"며 "복도도 최근 기준을 적용받지 않다 보니 좁아 투숙객들이 피난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오래된 건물이다 보니 스프링클러도 설치돼 있지 않았는데 법 개정 이전 건물에도 의무 설치 규정을 소급 적용할 필요가 있다"며 "병원이나 노인시설 등 피난 약자가 있는 곳에 보통 소급 적용이 돼 있는데 건물 구조에 익숙하지 않은 숙박업소 투숙자도 피난 약자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화 규정이 적용되기 전에 지어진 건물 현황을 파악하고 점검해 안전조치를 할 수 있게 하겠다"며 "사고 위험도가 높은 건축물 현황을 파악해 추후 유사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