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떼 칼럼] 교실에서 고흐 그림을 떼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예술에 대한 선입관은 경험 부족 탓
주변 작품서 저마다의 얘기 만들어야
임지영 예술 칼럼니스트·즐거운예감 대표
주변 작품서 저마다의 얘기 만들어야
임지영 예술 칼럼니스트·즐거운예감 대표
나도 고흐가 좋다. 마음의 표상처럼 솟아오른 사이프러스 나무며 황금빛으로 타오르는 별빛은 그야말로 황홀경이다. 그런데 바로 그 ‘별이 빛나는 밤’이 우리의 취향을 점령했다. 예술 감성 수업 마지막 날은 ‘내가 좋아하는 그림 가져오기’를 하는데, 스무 명의 아이 중 무려 절반 가까이가 고흐의 그림을 가져왔다.
고흐 작품이 위대한 화가의 명화임은 분명하지만, 이런 쏠림은 취향 탓이 아니라 경험 부족이다. 다양한 그림을 접해보지 못해서다. 그리고 왜 학생들이 고흐 그림만 가지고 오는지 많은 학교에 다녀보며 알았다. 거의 모든 학교에 고흐의 ‘별밤’이 걸려 있었다.
유명한 명화 이미지만 걸어놓는다고 저절로 감성이 성장할까? 선생님들도 그 부분을 고민하고 있었다. 나는 예술을 활용하는 재밌고 다양한 교육 방법을 몇 가지 제시했다. 한 초등학교 교장 선생님은 좋아하는 그림에 오렌지 스티커 붙이기를 당장 해보겠다고 신나 했다. 그리고 외람되지만 자주 ‘고흐 금지!’를 외친다. 취향 발표 시간에 잘 알려진 명화 말고 우리 작가 작품 중에 찾아오라고 강력히 추천한다. 우리는 2024년 한국을 살아가고 있다. 현재를 살며 미래를 꿈꾸는 아이들에겐 동시대 작품이 가장 좋은 자극이 된다. 지금 우리의 이야기를 보여주니 좋은 질문이 될 수밖에….
저변이 넓어졌다고 해도 여전히 예술 향유층은 옹색하다. 큰 미술관이나 대형 전시에는 사람이 좀 있지만, 그 외는 드문드문하다. 미술관 좀 다닌다는 사람들도 “이렇게 보는 게 맞나”라며 그림 앞에서 자신 없어 하곤 한다. 그래서 어렸을 때부터 향유 교육이 필요하다. 예술을 좋은 삶의 매개로 활용하려면 좀 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미술작품을 구입할 정도로 여유가 많지 않다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록 활용법’을 소개해 본다. 유명 전시회에서 사 온 두꺼운 도록들, 책꽂이에 모셔져 있는 화첩, 우선 먼지부터 털어내시라. 그리고 가족이 둘러앉아서 한 장씩 넘기며 본다. 각자가 좋아하는 그림을 한 점씩 고른다. 가차 없이 오린다. 문구점에서 액자 하나를 사다가 그림을 잘 넣어서 책상에, 식탁에, 화장대에, 잘 보이는 곳에 둔다. 그리고 한 달 후 다시 그림을 바꿔보자. 중요한 것은 그림으로 나누는 대화다. 내가 왜 이 그림을 골랐는지 서로 이야기하는 것이다. 거기에 지금 나의 마음이 투영돼 있다.
얼마 전 한 초등학교 선생님이 반 아이들을 모두 데리고 갤러리에 왔다. 선생님은 유독 발달장애 학생에게 한 그림을 보여주고 싶어 하셨다. 바로 ‘겨울 토끼’라는 작품이다. 어린이 예술가 선시우가 그렸다. 발달장애 예술가로 열 살 때 그린 것인데 겨울이라 토끼가 먹을 게 없어 바싹 말랐다. 그런데도 토끼는 당근을 함께 먹자고 다정하게 말한다. 선생님은 그림처럼 조금 힘들어도 당근을 나눠주고 싶은 마음이었을 것이다. 함께 희망의 당근을 찾아주고 싶은 마음. 좁은 공간에 아이들의 웃음이 가득 찼다. 아이들은 저마다의 한 점을 찾느라 시끌벅적. 그리고 고른 그림과 함께 이야기가 송골송골 쏟아졌다. 이처럼 동시대 그림들을 보자 자유롭고 당당하게 자기표현이 풍성해졌다.
예술은 세계관을 넓히기에 가장 좋은 매개다. 그리하여 꼭 고흐가 아니어도 좋다. 훌륭한 그림은 우리 가까이에 많다. 그리고 좋아하는 작품을 한 점씩 늘려가는 삶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 알게 되기를 바란다. 부끄럼 타던 아이가 다가와 손에 사탕을 쥐여 주고 갔다. “오늘 제 맘이 기쁨으로 가득 찼어요!” 아이의 속삭임이 다디달았다.
고흐 작품이 위대한 화가의 명화임은 분명하지만, 이런 쏠림은 취향 탓이 아니라 경험 부족이다. 다양한 그림을 접해보지 못해서다. 그리고 왜 학생들이 고흐 그림만 가지고 오는지 많은 학교에 다녀보며 알았다. 거의 모든 학교에 고흐의 ‘별밤’이 걸려 있었다.
유명한 명화 이미지만 걸어놓는다고 저절로 감성이 성장할까? 선생님들도 그 부분을 고민하고 있었다. 나는 예술을 활용하는 재밌고 다양한 교육 방법을 몇 가지 제시했다. 한 초등학교 교장 선생님은 좋아하는 그림에 오렌지 스티커 붙이기를 당장 해보겠다고 신나 했다. 그리고 외람되지만 자주 ‘고흐 금지!’를 외친다. 취향 발표 시간에 잘 알려진 명화 말고 우리 작가 작품 중에 찾아오라고 강력히 추천한다. 우리는 2024년 한국을 살아가고 있다. 현재를 살며 미래를 꿈꾸는 아이들에겐 동시대 작품이 가장 좋은 자극이 된다. 지금 우리의 이야기를 보여주니 좋은 질문이 될 수밖에….
저변이 넓어졌다고 해도 여전히 예술 향유층은 옹색하다. 큰 미술관이나 대형 전시에는 사람이 좀 있지만, 그 외는 드문드문하다. 미술관 좀 다닌다는 사람들도 “이렇게 보는 게 맞나”라며 그림 앞에서 자신 없어 하곤 한다. 그래서 어렸을 때부터 향유 교육이 필요하다. 예술을 좋은 삶의 매개로 활용하려면 좀 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미술작품을 구입할 정도로 여유가 많지 않다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록 활용법’을 소개해 본다. 유명 전시회에서 사 온 두꺼운 도록들, 책꽂이에 모셔져 있는 화첩, 우선 먼지부터 털어내시라. 그리고 가족이 둘러앉아서 한 장씩 넘기며 본다. 각자가 좋아하는 그림을 한 점씩 고른다. 가차 없이 오린다. 문구점에서 액자 하나를 사다가 그림을 잘 넣어서 책상에, 식탁에, 화장대에, 잘 보이는 곳에 둔다. 그리고 한 달 후 다시 그림을 바꿔보자. 중요한 것은 그림으로 나누는 대화다. 내가 왜 이 그림을 골랐는지 서로 이야기하는 것이다. 거기에 지금 나의 마음이 투영돼 있다.
얼마 전 한 초등학교 선생님이 반 아이들을 모두 데리고 갤러리에 왔다. 선생님은 유독 발달장애 학생에게 한 그림을 보여주고 싶어 하셨다. 바로 ‘겨울 토끼’라는 작품이다. 어린이 예술가 선시우가 그렸다. 발달장애 예술가로 열 살 때 그린 것인데 겨울이라 토끼가 먹을 게 없어 바싹 말랐다. 그런데도 토끼는 당근을 함께 먹자고 다정하게 말한다. 선생님은 그림처럼 조금 힘들어도 당근을 나눠주고 싶은 마음이었을 것이다. 함께 희망의 당근을 찾아주고 싶은 마음. 좁은 공간에 아이들의 웃음이 가득 찼다. 아이들은 저마다의 한 점을 찾느라 시끌벅적. 그리고 고른 그림과 함께 이야기가 송골송골 쏟아졌다. 이처럼 동시대 그림들을 보자 자유롭고 당당하게 자기표현이 풍성해졌다.
예술은 세계관을 넓히기에 가장 좋은 매개다. 그리하여 꼭 고흐가 아니어도 좋다. 훌륭한 그림은 우리 가까이에 많다. 그리고 좋아하는 작품을 한 점씩 늘려가는 삶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 알게 되기를 바란다. 부끄럼 타던 아이가 다가와 손에 사탕을 쥐여 주고 갔다. “오늘 제 맘이 기쁨으로 가득 찼어요!” 아이의 속삭임이 다디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