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총수요 '100GW 초과' 이달만 6일…"송전망 확충·요금 인상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 여름철 대비 3배 늘어나
예비전력률 10% 미만도 잇따라
"AI 등 수요 폭증…요금 현실화를"
예비전력률 10% 미만도 잇따라
"AI 등 수요 폭증…요금 현실화를"
이상기후 등으로 열대야가 지속되면서 여름철 전력 수요가 공급 한계치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송전망을 확충하고 전력 소비를 효율화하기 위해 전기요금을 올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거래소 등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21일까지 전력 총수요 추계치가 100GW를 넘긴 날은 8월 7, 12, 13, 14, 19, 20일 등 총 6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력 총수요가 100GW를 넘긴 날(8월 7, 8일)의 세 배 수준이다.
국내 발전 가능 총전력용량은 149GW에 달하지만, 이 중 약 33GW(22.1%)는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변동되는 신재생에너지다. 전력업계 관계자는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는 날씨가 좋지 않으면 발전량이 뚝 떨어진다”며 “100GW 수준의 전력 수요는 국내 전력망에 부담이 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전력 수요가 공급 최대치에 다다르면서 정부가 안정적인 공급 기준선으로 설정한 ‘예비 전력율 10%’를 밑도는 날도 잇따르고 있다. 예비 전력률은 지난 5일 9%로 올해 처음으로 10% 미만으로 떨어졌다. 이후 12, 19, 20일에도 각각 9%를 찍었다. 예비 전력률이 10%를 밑돈 건 2022년 7월 이후 약 2년 만이다.
전력 수급이 이처럼 빠듯한 원인은 올해 무더위가 예년보다 오래 지속되는 데다 흐린 날씨 등으로 태양광 발전량이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전력 소비량이 많은 첨단산업이 성장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전문가들은 이상기후가 확산할 가능성 등을 고려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를 위해선 한국전력이 송전망 투자를 확대할 수 있도록 전기요금을 현실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전기요금이 오르면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유인도 생긴다. 전력업계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국내 첨단산업을 키우기 위해선 한전의 송전망 투자를 확대하고 전기요금을 인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
2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거래소 등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21일까지 전력 총수요 추계치가 100GW를 넘긴 날은 8월 7, 12, 13, 14, 19, 20일 등 총 6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력 총수요가 100GW를 넘긴 날(8월 7, 8일)의 세 배 수준이다.
국내 발전 가능 총전력용량은 149GW에 달하지만, 이 중 약 33GW(22.1%)는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변동되는 신재생에너지다. 전력업계 관계자는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는 날씨가 좋지 않으면 발전량이 뚝 떨어진다”며 “100GW 수준의 전력 수요는 국내 전력망에 부담이 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전력 수요가 공급 최대치에 다다르면서 정부가 안정적인 공급 기준선으로 설정한 ‘예비 전력율 10%’를 밑도는 날도 잇따르고 있다. 예비 전력률은 지난 5일 9%로 올해 처음으로 10% 미만으로 떨어졌다. 이후 12, 19, 20일에도 각각 9%를 찍었다. 예비 전력률이 10%를 밑돈 건 2022년 7월 이후 약 2년 만이다.
전력 수급이 이처럼 빠듯한 원인은 올해 무더위가 예년보다 오래 지속되는 데다 흐린 날씨 등으로 태양광 발전량이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전력 소비량이 많은 첨단산업이 성장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전문가들은 이상기후가 확산할 가능성 등을 고려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를 위해선 한국전력이 송전망 투자를 확대할 수 있도록 전기요금을 현실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전기요금이 오르면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유인도 생긴다. 전력업계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국내 첨단산업을 키우기 위해선 한전의 송전망 투자를 확대하고 전기요금을 인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surug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