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도 안 가" 최민식 티켓값 비판에…영화인연대 '반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GV '컬쳐위크'에
"전향적 논의 나서길 기대"
"전향적 논의 나서길 기대"
배우 최민식이 영화 푯값이 비싸다며 작심 비판해 다양한 여론이 형성되는 가운데 영화인연대 측은 이같은 지적을 반겼다.
27일 영화인연대는 "그동안 여러 차례 극장이 팬데믹 이후 2년이라는 짧은 기간, 세 차례에 걸쳐 큰 폭의 티켓값 인상을 한 것이 영화산업 침체 및 관객 수 감소의 원인 중 하나라는 점을 지적했다"며 "한국 영화산업과 생태계를 위해 영화 티켓값 인하 목소리를 내준 최민식 배우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연대 측 설명에 따르면 한국은 8월 25일 기준, 극장 전체 관객 수는 8540만 명으로 동 기간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대비 56%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는 전년도인 2023년과 비교해도 적은 수치다.
연대 측은 "이런 이벤트는 단발성일 뿐 영화계와의 근본적 합의가 없이는 지속될 수 없다는 것을 CGV 측은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최민식은 지난 17일 MBC '손석희의 질문들'에서 "지금 극장 값도 많이 오르지 않았나. 좀 내려라. 물 들어올 때 노 젓는다고 갑자기 그렇게 확 올리면 나라도 안 간다"고 극장 산업 현실을 꼬집었다.
최민식의 발언이 방송된 후 이병태 카이스트 교수는 그를 향해 "한심하다"며 비난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한국 영화가 이처럼 커지고 배우들이 지금처럼 대접받는 시절이 온 것은 누가 뭐래도 대기업들이 국민의 소득 수준에 걸맞은 극장 사업을 벌여왔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영화 관람료가 비싸다고 내지르기 전에 지금 극장 사업을 하는 그 기업들의 재무제표라도 한번 살펴보았나. 그들의 수익성이 얼마나 된다고 영화표 가격 올려서 독과점 초과 이익을 내는 양 주장하는 것인지 한심해서 한 소리"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후 CGV는 매달 마지막 수요일 오후 극장 티켓값의 절반 수준인 7000원에 볼 수 있는 ‘문화가 있는 날’(컬처 데이)을 ‘컬처 위크’로 확대해 26일부터 나흘간 진행한다고 밝혔다. 영화산업 활성화를 위해 제작사, 배급사와 협의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첫 시도라는 설명이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
27일 영화인연대는 "그동안 여러 차례 극장이 팬데믹 이후 2년이라는 짧은 기간, 세 차례에 걸쳐 큰 폭의 티켓값 인상을 한 것이 영화산업 침체 및 관객 수 감소의 원인 중 하나라는 점을 지적했다"며 "한국 영화산업과 생태계를 위해 영화 티켓값 인하 목소리를 내준 최민식 배우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연대 측 설명에 따르면 한국은 8월 25일 기준, 극장 전체 관객 수는 8540만 명으로 동 기간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대비 56%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는 전년도인 2023년과 비교해도 적은 수치다.
연대 측은 "이런 이벤트는 단발성일 뿐 영화계와의 근본적 합의가 없이는 지속될 수 없다는 것을 CGV 측은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최민식은 지난 17일 MBC '손석희의 질문들'에서 "지금 극장 값도 많이 오르지 않았나. 좀 내려라. 물 들어올 때 노 젓는다고 갑자기 그렇게 확 올리면 나라도 안 간다"고 극장 산업 현실을 꼬집었다.
최민식의 발언이 방송된 후 이병태 카이스트 교수는 그를 향해 "한심하다"며 비난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한국 영화가 이처럼 커지고 배우들이 지금처럼 대접받는 시절이 온 것은 누가 뭐래도 대기업들이 국민의 소득 수준에 걸맞은 극장 사업을 벌여왔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영화 관람료가 비싸다고 내지르기 전에 지금 극장 사업을 하는 그 기업들의 재무제표라도 한번 살펴보았나. 그들의 수익성이 얼마나 된다고 영화표 가격 올려서 독과점 초과 이익을 내는 양 주장하는 것인지 한심해서 한 소리"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후 CGV는 매달 마지막 수요일 오후 극장 티켓값의 절반 수준인 7000원에 볼 수 있는 ‘문화가 있는 날’(컬처 데이)을 ‘컬처 위크’로 확대해 26일부터 나흘간 진행한다고 밝혔다. 영화산업 활성화를 위해 제작사, 배급사와 협의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첫 시도라는 설명이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