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기 줄이자" 24억 썼는데…불만 폭발한 이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 '다회용기 배달 서비스' 도입 2년
“다회용기 쓰면 가끔 할인 쿠폰을 주니깐 쓰긴 하는데…번거롭고 귀찮아서 일회용기를 쓰게 되네요.”(서울 강남구 시민 김지환 씨(34))
서울시가 다회용기 배달 서비스를 도입한 지 2년을 맞은 가운데 사업 참여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회용기 사용을 줄이자는 취지에서 시작됐지만, 사업 효과가 떨어지는데다가 소비자들이 다회용기 사용에 불편을 겪고 있기 때문이란 지적이 나온다
29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서울 시내 '제로 식당' 정책 참여 가게 수는 895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 969개 대비 74개(7.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 시행 첫해 70개에서 지난해 5월 참여 가게수가 최대 981개까지 늘었지만, 올해 참여 점포 수가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분석된다.
제로 식당은 배달 음식을 일회용기 대신 다회용기에 담아주는 서울시 친환경 정책이다. 주문한 음식이 다회용기와 전용 가방에 담겨 배달되면 소비자가 식사를 마친 후 용기를 가방에 담아 반납 하는 방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 사용을 줄이기 위해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다회용기 사업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가 해당 사업에 들인 돈은 3년간 24억원에 달한다. 국비 8억5000만원, 시비 15억5000만원으로, 해당 사업에 참여하는 업체들에게 다회용기를 지원하는데 예산을 사용하고 있다. 자영업자들은 일회용기 구매 비용 수준으로 다회용기 수거, 세척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 취지와 달리 자영업자들과 소비자들은 정책에 허점이 많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일회용품을 줄이자는 취지 자체는 좋지만, 효과가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가장 큰 문제는 실제 다회용기 사용 신청자가 극도로 적다는 점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다회용기 주문 건수는 7만652건으로 하루 평균 약 330건의 주문 정도가 다회용기로 배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배달 주문 건수의 0.1%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알려졌다.
비용도 문제로 꼽히고 있다. 현재 다회용기 배달을 위해서는 배달 1회당 수거·세척 비용 400원가량이 발생한다. 서울시가 보조금을 부담해 이를 지원하는 구조지만 지원이 없어지면 결국엔 점주가 지불해야 하는 구조다. 일회용기 사용 시보다 비용이 크게 높아져 자발적인 다회용기 사용을 이끌어 내기엔 유인이 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이 때문에 다회용기 사업 참여를 그만두는 자영업자들도 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2022년 8월 정책 시행 이후 지난 7월까지 누적 1807개 업체가 참여했지만, 절반 이상인 911개의 업체가 다회용기 사용을 포기하거나 사업도중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제로 식당에 참여했던 강남구 내 한식당 사장 김모 씨(51)는 "피크타임엔 미리 음식을 용기에 담아 준비해 놔야 하는데, 다회용기는 주문이 적어 대응하기가 어렵다”면서 “주문이 몰릴 때는 다회용기 주문이 한 건만 섞여 있어도 일에 지장을 준다”고 했다. 이어 김 씨는 "다회용기에 모두 다 담을 수 있는 것도 아니라 일부는 다회용기에 일부는 일회용기에 담아야하는 고충도 있다”고 덧붙였다.
다회용기 사용에 불편을 느끼는 시민들도 적지 않다. 다회용기 반납 시 당일 수거가 원칙이지만 실제론 수거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시민 강 모 씨(31)는 “다회용기를 내놨더니 업체가 일주일 만에 수거해갔다”면서 “늦어진 수거때문에 복도에서 냄새가 진동해 다음 배달부턴 다회용기를 굳이 사용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행된 지 만 2년이 됐음에도 아직까지 사업의 존재 여부를 알지 못하는 시민들도 많다. 다회용기 배달은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뤄지는데,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다회용기 사용을 별도로 클릭해야만 주문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버튼이 배달 어플리케이션 상에 바로 노출되지 않고 있어 일부 시민들은 이를 '숨겨진 기능'으로 부를 정도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일회용기 줄이기에 급급할 것이 아니라 자영업자들과 소비자들이 다회용기를 사용해야할 실질적인 유인책을 제공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서울시는 올해 제로식당 참여 자치구를 서울시 15개 자치구로 확대 했다. 서울시는 오는 2026년까지 전 자치구로 범위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안정훈 기자 ajh6321@hankyung.com
서울시가 다회용기 배달 서비스를 도입한 지 2년을 맞은 가운데 사업 참여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회용기 사용을 줄이자는 취지에서 시작됐지만, 사업 효과가 떨어지는데다가 소비자들이 다회용기 사용에 불편을 겪고 있기 때문이란 지적이 나온다
29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서울 시내 '제로 식당' 정책 참여 가게 수는 895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 969개 대비 74개(7.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 시행 첫해 70개에서 지난해 5월 참여 가게수가 최대 981개까지 늘었지만, 올해 참여 점포 수가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분석된다.
제로 식당은 배달 음식을 일회용기 대신 다회용기에 담아주는 서울시 친환경 정책이다. 주문한 음식이 다회용기와 전용 가방에 담겨 배달되면 소비자가 식사를 마친 후 용기를 가방에 담아 반납 하는 방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 사용을 줄이기 위해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다회용기 사업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가 해당 사업에 들인 돈은 3년간 24억원에 달한다. 국비 8억5000만원, 시비 15억5000만원으로, 해당 사업에 참여하는 업체들에게 다회용기를 지원하는데 예산을 사용하고 있다. 자영업자들은 일회용기 구매 비용 수준으로 다회용기 수거, 세척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 취지와 달리 자영업자들과 소비자들은 정책에 허점이 많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일회용품을 줄이자는 취지 자체는 좋지만, 효과가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가장 큰 문제는 실제 다회용기 사용 신청자가 극도로 적다는 점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다회용기 주문 건수는 7만652건으로 하루 평균 약 330건의 주문 정도가 다회용기로 배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배달 주문 건수의 0.1%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알려졌다.
비용도 문제로 꼽히고 있다. 현재 다회용기 배달을 위해서는 배달 1회당 수거·세척 비용 400원가량이 발생한다. 서울시가 보조금을 부담해 이를 지원하는 구조지만 지원이 없어지면 결국엔 점주가 지불해야 하는 구조다. 일회용기 사용 시보다 비용이 크게 높아져 자발적인 다회용기 사용을 이끌어 내기엔 유인이 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이 때문에 다회용기 사업 참여를 그만두는 자영업자들도 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2022년 8월 정책 시행 이후 지난 7월까지 누적 1807개 업체가 참여했지만, 절반 이상인 911개의 업체가 다회용기 사용을 포기하거나 사업도중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제로 식당에 참여했던 강남구 내 한식당 사장 김모 씨(51)는 "피크타임엔 미리 음식을 용기에 담아 준비해 놔야 하는데, 다회용기는 주문이 적어 대응하기가 어렵다”면서 “주문이 몰릴 때는 다회용기 주문이 한 건만 섞여 있어도 일에 지장을 준다”고 했다. 이어 김 씨는 "다회용기에 모두 다 담을 수 있는 것도 아니라 일부는 다회용기에 일부는 일회용기에 담아야하는 고충도 있다”고 덧붙였다.
다회용기 사용에 불편을 느끼는 시민들도 적지 않다. 다회용기 반납 시 당일 수거가 원칙이지만 실제론 수거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 시민 강 모 씨(31)는 “다회용기를 내놨더니 업체가 일주일 만에 수거해갔다”면서 “늦어진 수거때문에 복도에서 냄새가 진동해 다음 배달부턴 다회용기를 굳이 사용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행된 지 만 2년이 됐음에도 아직까지 사업의 존재 여부를 알지 못하는 시민들도 많다. 다회용기 배달은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뤄지는데,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다회용기 사용을 별도로 클릭해야만 주문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버튼이 배달 어플리케이션 상에 바로 노출되지 않고 있어 일부 시민들은 이를 '숨겨진 기능'으로 부를 정도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일회용기 줄이기에 급급할 것이 아니라 자영업자들과 소비자들이 다회용기를 사용해야할 실질적인 유인책을 제공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서울시는 올해 제로식당 참여 자치구를 서울시 15개 자치구로 확대 했다. 서울시는 오는 2026년까지 전 자치구로 범위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안정훈 기자 ajh632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