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협 없었던 'TK통합'…거대현안 후유증 예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년 만에 재점화된 '행정통합' 3개월 만에 좌초
시·군 권한 등 놓고 이견 못좁혀
정치적 유불리 따지다 불신 자초
의욕만 앞선 허술한 행정 도마에
시·도민 기대에 찬물…비판 고조
시·군 권한 등 놓고 이견 못좁혀
정치적 유불리 따지다 불신 자초
의욕만 앞선 허술한 행정 도마에
시·도민 기대에 찬물…비판 고조

‘범정부 통합지원단’ 등 행정안전부의 전폭 지원을 받으며 전국 최초의 광역단체 통합 기대를 키웠으나 조기 무산됨에 따라 대정부 신인도 하락은 물론 통합을 추진하는 부산 충청 전라권 등 다른 지역에 주도권을 뺏기게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북의 지난 8년(2015~2022년)간 지역내총생산(GRDP) 연평균 증가율은 0.1%(전국 2.5%)다. 빈사 상태에 빠진 경북이 미래를 위한 기회를 정치적 유불리 때문에 차버렸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이유다.
김일수 도의원은 “대구시는 경북 북부권 발전 방안과 행정통합의 내용을 언론에 적극 공개하고 각종 이슈를 선점한 반면 경상북도는 대구시에 끌려다니며 우왕좌왕했다”며 “도민과 도의회에 공유하지 않고 밀실에서 폐쇄적으로 추진한 데 대한 불만이 곳곳에서 표출됐다”고 지적했다.
대구경북통합특별시 추진에 따른 시·군 기초단체의 자치권 축소에도 경상북도가 솔직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22일 열린 4자회담에서 행안부 관계자는 “시·군 권한은 축소될 수도, 확대될 수도 있다”고 밝혔으나 경상북도는 시·군 권한이 축소된다면 행정통합 진행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홍 시장이 일찌감치 통합 무산 선언을 한 것도 논란이 많은 행정통합에 매몰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란 분석이다. 대신 대구경북신공항 등 대구 혁신에 집중하는 게 나을 것이란 의지로 해석된다. 경상북도의 한 경제단체장은 “경상북도가 교육혁신, 저출생 극복 등 국가적 현안에 나서면서 민생과 경제 등 본연의 정책 비중이 약화되고 있다”며 “거대 현안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동=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