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 때린 한전 사장…"변전소 늦어지면 반도체클러스터 차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자파 걱정은 악의적 괴담
서울 2㎞ 마다 변전소 있어"
서울 2㎞ 마다 변전소 있어"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사진)은 경기 하남시가 최근 안전성 등을 이유로 동서울변전소 증설 사업을 불허한 데 대해 “전자파 걱정은 일부 세력의 흑색선전과 악의적 괴담일 뿐 결코 우려할 부분이 아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2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전력망 건설은 글로벌 무한 경쟁 시대에 국가 경쟁력의 핵심인 만큼 어떠한 이유에서도 지연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사장은 “지금도 한전 직원과 가족은 대도시 지하 변전소 위와 송전선 바로 아래의 사무실, 사택에서 생활하며 나도 35만V와 15만V의 고압 변전소가 있는 한전아트센터에서 근무한다”고 강조했다. 또 “코엑스, 롯데월드타워 등 모든 건물에 대용량 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변전소가 설치돼 있다”고 했다.
한전에 따르면 서울 시내에는 평균 2㎞마다 변전소가 있어 서울 시민은 일상적으로 전자파에 노출돼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송전선로 주변 지역 전자파의 발암 등급을 절임채소, 고사리와 같은 급으로 분류한다. 전자파 우려를 없애기 위해 한전은 WHO가 관장하는 제3의 전자파 기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김 사장은 정부가 총 622조원을 투입하는 경기 용인 반도체 메가클러스터는 ‘수도권 남부에 조성되기 때문에 영향권 밖’이라는 일부 주장도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는 “우리나라 전력망은 단일이기 때문에 한 곳에 부하가 걸리면 나머지 지역에도 문제가 생긴다”며 “용인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전력 공급도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한전은 다음달 하남시를 상대로 행정심판·소송을 제기할 방침이다. 단 행정소송에서 이기더라도 사업이 1년 이상 지연되는 것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전은 동서울변전소 증설 지연으로 연간 3000억원의 전기료 인상 요인이 생길 것으로 분석했다. 6년간 사업이 미뤄진 북당진~신탕정 선로는 2조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했다.
올해 말 정부의 전기요금 인상 방침에 대해서는 “사채 발행 한도를 줄여야 하는 시기가 오면 국민이 감내할 수 없는 수준의 요금 인상 없이 (한전이) 존속할 수 없다”며 “지금부터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누적 적자에 한계에 다다른 2022년 한전은 5년 한시적으로 사채 발행 한도를 자기자본의 5배까지 늘렸다.
정영효 기자 hugh@hankyung.com
김 사장은 2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전력망 건설은 글로벌 무한 경쟁 시대에 국가 경쟁력의 핵심인 만큼 어떠한 이유에서도 지연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사장은 “지금도 한전 직원과 가족은 대도시 지하 변전소 위와 송전선 바로 아래의 사무실, 사택에서 생활하며 나도 35만V와 15만V의 고압 변전소가 있는 한전아트센터에서 근무한다”고 강조했다. 또 “코엑스, 롯데월드타워 등 모든 건물에 대용량 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변전소가 설치돼 있다”고 했다.
한전에 따르면 서울 시내에는 평균 2㎞마다 변전소가 있어 서울 시민은 일상적으로 전자파에 노출돼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송전선로 주변 지역 전자파의 발암 등급을 절임채소, 고사리와 같은 급으로 분류한다. 전자파 우려를 없애기 위해 한전은 WHO가 관장하는 제3의 전자파 기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김 사장은 정부가 총 622조원을 투입하는 경기 용인 반도체 메가클러스터는 ‘수도권 남부에 조성되기 때문에 영향권 밖’이라는 일부 주장도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는 “우리나라 전력망은 단일이기 때문에 한 곳에 부하가 걸리면 나머지 지역에도 문제가 생긴다”며 “용인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전력 공급도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한전은 다음달 하남시를 상대로 행정심판·소송을 제기할 방침이다. 단 행정소송에서 이기더라도 사업이 1년 이상 지연되는 것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전은 동서울변전소 증설 지연으로 연간 3000억원의 전기료 인상 요인이 생길 것으로 분석했다. 6년간 사업이 미뤄진 북당진~신탕정 선로는 2조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했다.
올해 말 정부의 전기요금 인상 방침에 대해서는 “사채 발행 한도를 줄여야 하는 시기가 오면 국민이 감내할 수 없는 수준의 요금 인상 없이 (한전이) 존속할 수 없다”며 “지금부터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누적 적자에 한계에 다다른 2022년 한전은 5년 한시적으로 사채 발행 한도를 자기자본의 5배까지 늘렸다.
정영효 기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