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 상승에 위태"…'민참사업' 참여 지방 건설사의 눈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사비 증액 권고에도 지방도시공사 공사비 인상 '하세월'
"지방 건설사 쓰러지면 지역 경제 침체로 확산할 것"
"지방 건설사 쓰러지면 지역 경제 침체로 확산할 것"

30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민참사업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지방도시공사 등 공공기관이 토지를 제공하고 민간 건설사가 주택을 건설하는 방식이다. 통상 공공공사는 물가 상승 등 경제 상황 변화에 대비한 공사비 조정 조항이 명시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민참사업 현장은 물가 변동에 따른 공사비 인상 조항 없이 계약이 이뤄진다.
ADVERTISEMENT
민참사업은 계약 시 지역 건설사 참여 의무 비중 조항으로 인해 대형 건설사와 지방 건설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한다. 영세한 지방 건설사들은 부동산 시장 침체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태, 금리 인상 등으로 기초 체력이 이미 부실해진 상황이다. 여기에 민참사업에서 급등한 공사비에 따른 대규모 손실까지 떠안아야 하자 지방 건설사 사이에서 줄도산 위기감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문제가 심각해지자 국토부는 지난해 3월 '민간참여 공공주택 사업 시행지침'에 사업비 재협의 절차를 신설했다. 감사원 컨설팅을 통해 빠르게 공사비를 조정, 지방 건설사들의 숨통을 틔워 주기로 한 것이다.
ADVERTISEMENT
전문가들은 민간이 발주한 사업의 경우 공사비 인상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민참사업에서도 속도전을 통해 사업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미 지방 영세 건설사를 넘어 소규모 하도급업체까지 연쇄 부도 위기가 번지고 있는 만큼 '골든타임'이 지나기 전에 공공기관이 더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2010년대 기준 연 3~4% 정도 인상됐던 수준의 10배 이상의 공사비 상승이 단기간 이뤄진 만큼, 시공사뿐만 아니라 시행사도 함께 부담을 나눠야 한다"며 "영세한 지방 건설사의 부도가 실제로 발생하면 사업에 참여한 남은 업체들이 부도사 지분율을 떠안으며 사업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