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반도체 부진' 7월 산업생산 석달째 마이너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반도체와 자동차 생산이 줄어들면서 지난달까지 산업 생산이 석 달 연속 감소했다. 산업 생산이 세 달재 감소한 것은 21개월 만이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2.7(2020년=100)로 전월 대비 0.4%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은 5월(-0.8%)과 6월(-0.1%)에 이어 석 달 연속 감소했다. 3개월째 감소는 2022년 8∼10월 이후 21개월 만이다.
특히 광공업 생산이 전달보다 3.6% 줄었다. 2022년 12월(-3.7%) 이후 19개월 만의 최대 감소율이다. 광공업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조업 생산은 3.8% 감소했다.
그중 자동차 생산이 14.4% 줄었다. 2020년 5월(-24.0%) 이후 50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율이다. 지난달 국내 완성차 업체 생산량은 29만910대로 30만대를 밑돌았다. 자동사 부품사의 파업, 라인 보수공사 등의 여파로 분석된다.
지난달 반도체 생산은 8.0% 감소했다. 전달 반도체 생산이 급증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인공지능(AI), 정보기술(IT) 업황 자체는 견조하다는 게 통계청 진단이다.
이밖에 서비스업 생산은 0.7% 증가했다. 금융·보험(-1.3%), 숙박 및 음식점업(-2.8%), 예술·스포츠·여가(-1.3%) 생산이 줄었고, 정보통신(4.5%), 운수·창고(3.1%)는 증가했다. 공공행정 생산은 6.0% 늘었다.
지난달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1.9% 감소했다. 소매 판매는 4월(-0.6%)과 5월(-0.2%) 감소에서 6월(1.0%) 증가세로 돌아섰다가 다시 한 달 만에 흐름이 꺾이면서 들쑥날쑥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차량 연료 등 비내구재(-1.6%), 승용차를 비롯한 내구재(-2.3%), 오락·취미·경기 용품 등 준내구재(-2.1%) 등 모두 판매가 줄었다. 국제유가 상승, 장마와 폭염으로 외부 활동이 제약된 영향으로 추정된다.
설비투자는 10.1% 늘면서 두 달째 증가했다. 특히 운송장비 투자가 50.5% 급증하면서 전체 투자를 밀어 올렸다. 건설기성(불변)은 1.7% 감소했다. 건축(0.9%)에서 공사실적이 늘었지만, 토목(-8.9%)에서 급감했다.
정부는 전산업 생산 감소를 '일시적 조정'으로 보고 있다. 수출이 늘고 있고, 제조업의 실적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분기 초에 반도체 생산이 주춤하는 계절적인 요인과 파업·조기 휴가 등으로 조업일수가 줄어든 영향으로 보는 측면도 있다.
다만 정부는 소비 판매와 건설투자가 감소하는 등 부문별 온도 차가 존재한다는 점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현재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가 전월 대비 0.6포인트 하락하기도 했다.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 3월 3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뒤 5개월째 내림세를 보였다.
정부는 내수 보강 대책을 지속해서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김귀범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은 "하반기에 제약 요인이 완화될 수 있도록 대책을 통해 보강하는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2.7(2020년=100)로 전월 대비 0.4%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은 5월(-0.8%)과 6월(-0.1%)에 이어 석 달 연속 감소했다. 3개월째 감소는 2022년 8∼10월 이후 21개월 만이다.
특히 광공업 생산이 전달보다 3.6% 줄었다. 2022년 12월(-3.7%) 이후 19개월 만의 최대 감소율이다. 광공업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조업 생산은 3.8% 감소했다.
그중 자동차 생산이 14.4% 줄었다. 2020년 5월(-24.0%) 이후 50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율이다. 지난달 국내 완성차 업체 생산량은 29만910대로 30만대를 밑돌았다. 자동사 부품사의 파업, 라인 보수공사 등의 여파로 분석된다.
지난달 반도체 생산은 8.0% 감소했다. 전달 반도체 생산이 급증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인공지능(AI), 정보기술(IT) 업황 자체는 견조하다는 게 통계청 진단이다.
이밖에 서비스업 생산은 0.7% 증가했다. 금융·보험(-1.3%), 숙박 및 음식점업(-2.8%), 예술·스포츠·여가(-1.3%) 생산이 줄었고, 정보통신(4.5%), 운수·창고(3.1%)는 증가했다. 공공행정 생산은 6.0% 늘었다.
지난달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1.9% 감소했다. 소매 판매는 4월(-0.6%)과 5월(-0.2%) 감소에서 6월(1.0%) 증가세로 돌아섰다가 다시 한 달 만에 흐름이 꺾이면서 들쑥날쑥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차량 연료 등 비내구재(-1.6%), 승용차를 비롯한 내구재(-2.3%), 오락·취미·경기 용품 등 준내구재(-2.1%) 등 모두 판매가 줄었다. 국제유가 상승, 장마와 폭염으로 외부 활동이 제약된 영향으로 추정된다.
설비투자는 10.1% 늘면서 두 달째 증가했다. 특히 운송장비 투자가 50.5% 급증하면서 전체 투자를 밀어 올렸다. 건설기성(불변)은 1.7% 감소했다. 건축(0.9%)에서 공사실적이 늘었지만, 토목(-8.9%)에서 급감했다.
정부는 전산업 생산 감소를 '일시적 조정'으로 보고 있다. 수출이 늘고 있고, 제조업의 실적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분기 초에 반도체 생산이 주춤하는 계절적인 요인과 파업·조기 휴가 등으로 조업일수가 줄어든 영향으로 보는 측면도 있다.
다만 정부는 소비 판매와 건설투자가 감소하는 등 부문별 온도 차가 존재한다는 점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현재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가 전월 대비 0.6포인트 하락하기도 했다.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지난 3월 3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뒤 5개월째 내림세를 보였다.
정부는 내수 보강 대책을 지속해서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김귀범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은 "하반기에 제약 요인이 완화될 수 있도록 대책을 통해 보강하는 노력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