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전북·부산 새마을금고 부실 '비상'…자본잠식 속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역별 새마을금고 주요 경영지표 단독 입수
권역 외 대출비중 3분의 1로 제한
금고실적, 경기영향 크게 받는 구조
'부동산 경기 악화' 전북·부산 휘청
회수 힘든 채권 비중 10% 넘어
건설투자 손실로 자본잠식 잇따라
부실비율 30% 넘는 곳도 수두룩
권역 외 대출비중 3분의 1로 제한
금고실적, 경기영향 크게 받는 구조
'부동산 경기 악화' 전북·부산 휘청
회수 힘든 채권 비중 10% 넘어
건설투자 손실로 자본잠식 잇따라
부실비율 30% 넘는 곳도 수두룩
새마을금고가 창립 60여 년 만에 사상 최악의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수도권과 전북, 부산 지역의 단위 금고 부실이 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 단위 금고가 내준 전체 대출 중 회수가 불투명한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 비중이 10%를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일부 단위 금고는 자본총계(자기자본)가 마이너스 상태인 완전자본잠식에 빠져 파산(합병) 위기에 처했다.
▶본지 8월 31일자 A1, 5면 참조
지역별 부실채권 비율에 차이가 나는 배경에는 ‘권역 외 대출’ 규제가 있다. 현 법령상 단위 금고는 전체 대출 중 권역 외 대출 비중을 3분의 1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단위 금고 실적이 지역 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는 구조다.
전북과 부산 지역의 새마을금고는 건설업 불황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풀이된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수도권 단위 금고도 기업대출 등에 집중한 결과 부실을 피하지 못했다. 반면 강원(5.4%), 제주(5.4%), 충북(6.2%) 지역의 새마을금고는 부실채권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지역별 순손실 규모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 새마을금고의 적자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지역 109개 새마을금고는 올 상반기 총 3065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금고별 평균 28억원 적자를 낸 셈이다. 그 뒤를 서울(-14억원·금고당 평균 순손실), 인천(-11억원)이 뒤따랐다. 수도권 새마을금고는 상대적으로 자산 규모가 커 이에 비례해 큰 폭의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 경북(-2억원), 강원(-3억원), 충북(-4억원) 새마을금고는 손실 규모가 비교적 작았다.
경북 B금고도 올 상반기 말 기준 자기자본이 -14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서울 C금고와 부산 D금고 등의 부실채권 비율은 올 상반기 말 30%를 넘어섰다.
당장 경영지표가 좋은 금고도 낙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A금고의 지난해 말 순자본비율은 11.74%로 규제 비율(4%)을 한참 웃돌았지만, 올 상반기 말에는 3.01%로 추락했다. 관리형 토지신탁, 공동대출 등 부동산 관련 대출에서 대규모 부실이 발생하면 순식간에 경영지표가 악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서형교/조미현 기자 seogyo@hankyung.com
▶본지 8월 31일자 A1, 5면 참조
수도권 금고도 부실 위기
1일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행정안전부에서 받은 ‘새마을금고 주요 경영지표’ 자료에 따르면 지역별로 단위 금고의 부실채권 비율, 순손실 규모 등이 크게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개 지역 가운데 올 상반기 말 기준 부실채권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전북이었다. 전북 59개 단위 금고의 평균 부실채권 비율은 10.9%로 집계됐다. 전국 1284개 금고 평균(9.1%)을 2%포인트가량 웃돌았다. 부산(10.8%), 인천(10.3%), 서울(10.1%), 경기(9.9%) 등도 전국 평균보다 부실채권 비율이 높았다.지역별 부실채권 비율에 차이가 나는 배경에는 ‘권역 외 대출’ 규제가 있다. 현 법령상 단위 금고는 전체 대출 중 권역 외 대출 비중을 3분의 1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단위 금고 실적이 지역 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는 구조다.
전북과 부산 지역의 새마을금고는 건설업 불황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풀이된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수도권 단위 금고도 기업대출 등에 집중한 결과 부실을 피하지 못했다. 반면 강원(5.4%), 제주(5.4%), 충북(6.2%) 지역의 새마을금고는 부실채권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지역별 순손실 규모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 새마을금고의 적자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지역 109개 새마을금고는 올 상반기 총 3065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금고별 평균 28억원 적자를 낸 셈이다. 그 뒤를 서울(-14억원·금고당 평균 순손실), 인천(-11억원)이 뒤따랐다. 수도권 새마을금고는 상대적으로 자산 규모가 커 이에 비례해 큰 폭의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 경북(-2억원), 강원(-3억원), 충북(-4억원) 새마을금고는 손실 규모가 비교적 작았다.
자본잠식 금고 속출
전국 1284개 새마을금고는 올해 상반기 총 1조2019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반기 실적 기준으로 1963년 창립 이후 최대 적자다. 일부 단위 금고는 실적이 최악으로 치달은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 A금고는 올 상반기 말 기준 자기자본이 -32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에 빠졌다. 사무소 이전 부지 분양대금 명목으로 투자한 276억원을 전액 손실 처리하며 자본 상태가 급격히 악화했다. 사실상 파산 위기에 처했는데도 이 금고는 지난 6월 연 4.2%대 고금리 특판 상품을 판매했다. 상반기 경영 실적이 공개되기 전에 자금을 끌어모은 것이다. 금고의 경영 상황을 모르는 고객이 몰리며 300억원 한도가 완판됐다.경북 B금고도 올 상반기 말 기준 자기자본이 -14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서울 C금고와 부산 D금고 등의 부실채권 비율은 올 상반기 말 30%를 넘어섰다.
당장 경영지표가 좋은 금고도 낙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A금고의 지난해 말 순자본비율은 11.74%로 규제 비율(4%)을 한참 웃돌았지만, 올 상반기 말에는 3.01%로 추락했다. 관리형 토지신탁, 공동대출 등 부동산 관련 대출에서 대규모 부실이 발생하면 순식간에 경영지표가 악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서형교/조미현 기자 seogy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