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한 환자가 휴식을 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한 환자가 휴식을 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국 곳곳 병원이 응급실 운영을 중단하자 환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지역에서 시작된 응급의료 위기가 서울까지 번질 것이란 위기감도 고조되고 있다.

2일 의료계에 따르면 강원대병원, 세종 충남대병원, 건국대충주병원 등이 응급의학과 전문의, 인력 부족을 이유로 야간이나 주말에 응급실 운영을 중단했다.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에서 자체 파악한 결과 순천향대 천안병원, 국립중앙의료원, 이대목동병원, 여의도성모병원도 응급실 운영 중단 등을 검토 중이다.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나면서 전국의 응급실 진료제한은 상시화 됐다. 서울시내 권역응급의료센터 7곳 중 서울의료원을 제외한 6곳에서는 일부 환자의 진료가 제한됐다.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중증·응급환자의 진료를 담당하는 거점 병원이다. 상급종합병원 또는 300병상을 초과하는 종합병원 중에서 지정된다. 서울에는 서울대병원, 고려대안암병원, 서울의료원, 고려대구로병원, 이대목동병원, 한양대병원, 강동경희대병원 등 7곳이다.

서울대병원과 고려대안암병원은 안과 응급 수술이 불가능하다고 알렸고, 한양대병원은 수술이 필요한 중증외상 환자나 정형외과 환자, 정신과 입원 환자 등을 수용할 수 없는 상태다.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이 누적된 피로로 잇따라 사직하고 의사 인력 부족으로 '배후 진료'가 원활히 제공되지 않는 상황이 겹치고 있다. 또한 해당 분야 전문의가 환자에게 필요한 수술이나 치료를 제공할 수 없는 한 응급실에 병상이 있어도 환자를 받을 수 없다.

의료계에선 특히 지역의 응급의료 위기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보고 있다. 서울은 병·의원 등 의료기관이 많고 인력 운영이 지역보다 나은 편이지만 지역에서는 이미 권역을 넘나들면서 진료받을 병원을 찾아 헤맨다는 이유에서다.

추석 연휴기간 응급실 운영 우려도 나온다. 평소보다 더 많은 환자가 응급실을 찾을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정부는 추석 연휴를 비상 대응 주간으로 정하고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를 250%까지 올리는 등 응급의료를 지원하는 내용의 특별대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