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업계가 최악의 암흑기를 맞고 있다고 한다. 자금난이 장기화하면서 장비 매각, 인력 감축, 임상 중단은 물론 연구소마저 폐쇄하는 기업이 속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 1000여 개 바이오기업이 모두 잠재적 매물이라는 극단적 위기감까지 도는 실정이다.

바이오 업황의 주요 가늠자 중 하나가 한국바이오협회가 운영하는 중고 장비 직거래 사이트의 매물 건수다. 현재 이 사이트에 올라 있는 매물은 최근 5개월 새 70%나 급증했다. 매물로 나와 있는 장비 내역을 보면 자금난의 심각성을 피부로 느낄 수 있다. 의약품 보관용 냉동고, 세포 배양기 등 바이오기업에 필수적인 기본 장비들조차 처분하는 상황이다. 연구실을 폐쇄한 채 무늬만 바이오기업인 곳과 직원들을 모두 내보내고 대표 혼자 덩그러니 남은 1인 기업도 있다.

바이오업계 자금난의 가장 큰 이유로는 비현실적인 상장(IPO) 관련 규제가 꼽힌다. 바이오기업처럼 기술력은 있지만 재무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혁신기업의 상장 문호를 넓혀준 제도가 기술특례 상장이다. 매출 기준으론 5년, 손실 기준으론 3년간 관리종목 지정을 유예해주는 게 골자다. 그러나 신약 개발에 통상 10년이 걸리는 사이클을 감안하면 너무 엄격하다는 게 업계 주장이다.

기술특례 상장 제도를 더 철저히 시행해 바이오업계의 신뢰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전문 평가기관들의 허술한 평가 보고서 탓에 애초 상장되지 말아야 할 기업이 상장돼 공시 위반을 거듭하면서 투자자에게 불신을 초래한 사례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여러모로 갈피를 잡기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언제나 그랬듯이 위기는 구조조정의 기회이기도 하다. 어차피 모두 살려갈 수 없다면 옥석 가리기를 통해 공멸을 막아야 한다. 정부는 일시적 자금난으로 전도양양한 바이오 벤처기업이 도산하는 일은 없도록 세심히 살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