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성격을 1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온라인 MBTI 검사가 일본에서도 유행하며 직원 채용에까지 활용되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런 성격 검사 과학적 근거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지난 2일 아사히 보도에 따르면 일본 도야마현은 지난 6월 이직을 고민하는 사회인 대상 온라인 세미나에서 자기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16퍼스널리티즈(16Personalities)'라는 무료 MBTI 검사 서비스를 소개했다.

해당 서비스는 10분 정도 객관식 질문에 답하면 성격을 16가지로 나눈 결과를 보여준다.

일본에는 직원을 구하는 사람과 직장을 구하는 사람이 서로 '미스매치'를 줄일 수 있다며 구직자의 MBTI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하는 구인용 웹사이트도 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후쿠오카대학 인문학부 사회심리학자 나와타 켄고 부교수는 아사히와 인터뷰에서 약 2년 전 학생에게 처음 MBTI를 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4월 심리학 입문 강의에서 학생 200명에게 물었더니 90% 정도가 MBTI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런 가운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특정 성격 유형을 가진 사람은 직장에서 채용하지 않는다는 글을 종종 볼 수 있다고 한다. 아사히는 "이런 '차별'은 (과거) 혈액형에 따른 성격 진단에서도 나타났다"며 "1990년대부터 B형과 AB형인 사람은 '옆에 살고 싶지 않다'는 말을 다른 혈액형보다 많이 들었다고 한다"고 전했다.

MBTI는 스위스 심리학자 카를 구스타브 융의 이론을 바탕으로 미국에서 1960년대부터 개발된 성격 검사 도구다. 개발자 이름을 딴 '마이어스-브릭스 타입 지표'의 영어 머리글자가 MBTI다.

이와 관련해 영국에 본사를 둔 16퍼스널리티즈 운영사는 MBTI와 다른 이론의 장점을 결합했다고 웹사이트에 설명하고 있다. 일본 MBTI협회는 이 서비스에 대해 "타당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MBTI를 흉내 내고 있지만 '전혀 다른 것'"이라고 주장한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사회심리학자인 오사카 대학 미우라 아사코 교수는 "MBTI는 과거 유행했던 혈액형 진단과 마찬가지로 '의도적으로 상대를 흐릿하게 보는 도구'로 사용된다"고 말했다. 그는 "재미일 뿐이라면 상관없지만, 취업 등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순간에는 오히려 해상도를 높여야 하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