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 10개월째 급락…지자체 "재배면적 줄여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보다 쌀 재고량 20만t 증가
소비 부진까지 겹치며 가격 '뚝'
"수입쌀 사료화 확대해야" 촉구
소비 부진까지 겹치며 가격 '뚝'
"수입쌀 사료화 확대해야" 촉구

4일 전국 광역단체에 따르면 전라남도는 벼 재배면적 감축과 쌀 수급 예측 통계 개선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쌀값 정상화 대책을 지난 2일 정부와 정치권에 건의했다. 2023년산 쌀 재고 물량을 조기에 시장 격리하고 2024년산 쌀 공공 비축 물량 외에 추가적인 시장 격리 대책을 사전에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농민들은 2023년산 쌀의 미소진 물량이 많을수록 올 수확철 농협이 매입하는 쌀값이 작년보다 더 떨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지난달 26일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농협 미곡종합처리장(RPC)의 평균 쌀 매입가는 80㎏당 12만7908원으로 산지 쌀값(20만2796원)의 63% 수준이었다. 2023년산 쌀이 추가로 시장 격리되지 않으면 농협의 올해 매입가는 지난해보다 더욱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충남도의회와 전북특별자치도는 쌀값 하락의 원인을 소비 부진으로 보고 아침밥 먹기 캠페인도 벌이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전북농협과 함께 지난달부터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아침밥 먹기 운동에 나섰다. 충남도의회도 ‘우리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아침밥 먹기 운동 촉구 건의안’을 지난달 채택한 뒤 “정부와 지자체가 아침밥 먹기 운동을 확산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안·홍성=임동률/강태우 기자 exian@hankyung.com